Chapter 3. 근대 이스라엘국가 설립
Establishment of Modern Israel
디아스포라시대때 많은 유대인들이 팔레스타인 땅을 떠나 전 세계에 흩어져
살았지만 성지에는 항상 조그마한 유대인들이 그들이 형성한 지역에서 살고있었다.
이들은 거의 종교적인 상징을 띠고 있었다.1 그러나 19 세기의
시오니즘(Zionism)운동은 세계각지에 사는 유대인들로 하여금 팔레스타인 땅으로
돌아 오도록 하였다.2 그리하여 수 많은 유대인들은 약속의 땅인 성지로 돌아왔다.
돌아온 이들은 이 땅이야 말로 약속의 땅, 그리고 이들의 상속권이라고 믿었다.3
이제 이스라엘국가가 탄생함으로 디아스포라라는 단어는 불필요 해졌다.
그리고 이제 남은 것은 모든 유대인들이 고향에서 합하는 것 만남았다.
19 세기때 유대인들이 팔레스타인 지역에 살고 있었을 당시 팔레스타인은
오스만제국(the Ottoman Empire)의 소유에 있었다.4 그 당시 유대인 공동체는 매우
작았다. 그리고 이들은 대부분 유대교를 엄격히 엄수하는 랍비들과
율법학자들이었다. 이들의 도움은 거의 유럽에 있는 유대인들로 부터 왔다.
그러나 19 세기 말 무렵에는 팔레스타인 지역에 새로운 유대인들이
들어오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러한 이민을 돕기 위해서 금융가였던 에드몬드 데
로스차일드(Edmund de Rothchild, 1845-1934)는 재정적으로 도왔다.5 누구든지
팔레스타인 땅으로 가기를 원하는 유대인들에게 대해서 로스차일드는 재정으로
가능케 하였다. 그래서 시작된 이민자들은 농사를 짓기 시작했으며 새로운 국가를
세우는 데 헌신했다.
또 하나의 이민자들이 팔레스타인 땅에 발을 밟았다. 이들을
알이야(Aliyah)라고 부른다. 이름의 의미는 ‘이민’, 또는 ‘올가간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6 그래서 나중에는 다섯번의 알이야(Aliyah)의 그룹들이 이민을 오게
되었다. 특히 많은 이민자들은 러시아의 학살사건 때 건너 온 자들이다. 러시아에
살고 있는 유대인들은 학살사건을 기다리고 싶은 마음이 전혀 없었다. 그래서
이들은 고향으로 돌아 온 것이다.7
첫번째 알리야(First Aliyah)시기는 1882 년에서 1903 년으로 보고있다.
처음에 도착한 자들은 많은 것들에 적응하지 못했다. 사막의 날씨와 비옥하지 못한
땅등은 이들로 하여금 새로운 정착생활에 좋은 인상을 주지는 못했다.8 그리고
터키 정부가 이들에게 부과한 세금은 매우 높았다. 그리고 그들의 이웃인
아랍인들은 이들을 못살게 굴었다. 그리고 아랍인들과 가끔 충돌이 일어났으며
계속 험란한 관계를 유지하게 되었다. 그래서 처음 돌아 온 이민자들 중에서 반
이상은 5 년 만에 다시 유럽으로 돌아가기도 하였다. 그러나 계속해서 새로운
유대인들이 들어오면서 정착하는 숫자는 늘어났다. 후에 이스라엘이 터키정부에서
독립한 후에는 각 처에서 이스라엘로 돌아왔다.
많은 유대인들이 팔레스타인 땅으로 돌아왔지만 숫자의 폭발은 시오니즘의
이후였다. 서 유럽에 살고 있는 유대인들은 주류사회로 동화되어가고 있었다.
그런데 왜 팔레스타인 땅에서는 시오니즘이 시작되었는가? 여기에는 이유가
있었다.
시오니즘의 시작은 여러가지 반유대주의 사건들에서 시작 원인이 되었다.9
그 중에서도 중요한 사건은 드레퓌스사건(The Dreyfus Affair)이다.10 이 사건은
첫번째 알리야와 두번째 알리야 이민시대 사이에 일어난 반 유대주의의
사건이었다. 사건의 주인공인 알프레드 드레퓌스(Alfred Dreyfus, 1859-1935)는
프랑스의 장교였다. 그는 유대인 출신으로써 프랑스의 비밀(the bordereau)11을
독일에게 넘겼다는 비난을 받았다. 프랑스에서는 나라의 비밀이 새 나간것에
대해서 누군가를 비난해야 했으며 그 사람이 드레퓌스가 되었다. 그는 1894 년에
재판을 받았으며 계급도 빼앗겼다. 그리고 그는 종신형을 받았다. 그는 악마섬으로
추방되었다. 12
그러나 이 사건을 지켜본 조게즈 픽쿠아트(Georges Picquart)는 재 조사를
통해서 드레퓌스가 장본인이 아니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픽쿠아트는 프랑스의
정보 담당장교였다. 그는 비록 반유대주의자였지만 사실은 밝혀져야한다고
믿었다.13 그리고 그 장본인은 웰신 페르난드 에스터해이지(Walsin Ferdinand
Esterhazy)였다.14
그러나 두번째 재판에서도 또 드레퓌스는 반유대주의자들로 인해서 유죄
판정을 내렸다.15
드레퓌스를 살린사건은 신문기사였다. 소설가 에밀리 졸라(Émile Zola)가
쓴 기사의 내용에서 증거가 나왔다. 기사의 제목은 “내가 고발한다”
(J’accuse!)였다.16 이로써 드레퓌스의 사건은 그의 무죄로 끝이났으나 그의 계급이
복귀되기 까지는 1906 년에서 였다.17
36
서 유럽에 사는 유대인들은 드레퓌스의 사건에 대해 매우 분노했다. 많은
유대인들은 그들이 사는 나라에 당당한 시민인 줄 알았으나 이러한 꿈이
깨져버렸다. 특히 문명이 발전되고 개화된 프랑스나라 정부 차원에서 시도한
차별은 이들로 하여금 동화되는 것에 다시 생각하게 만들었다. 여기에 동조한 자가
테오도 헤르즐(Theodor Herzl, 1860-1904)이었다.
테오도르 헤르즐은 시오니즘(Zionism)의 아버지로 알려져있다.18 헤르즐은
폴란드 부다페스트(Budapest)에서 태어났다.19 그리고 그가 열여덞살이되었을 때
그는 부모와 함께 빈으로 이사를 갔다.20 그는 거기서 법학박사를 취득하였다.
그리고 그는 작가와21 저널리스트가 되었다.22 1894 년에는 드레퓌스 사건을
다루었다. 그리고 그는 기사를 빈의 자유주의 신문에 기고했다.
그는 드레퓌스사건 전에는 유대인들이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은 오직
동화되는 것으로 믿었다. 그러나 드레퓌스사건이후로 그는 그의 마음을
바꾸었다.23 그리고 1894 년도에 “유대인들은 죽어야한다”라는 슬로건을 본 후
그는 반유대주의들에 대해 다른 방법으로 대해야 했다.
테오도르 헤르즐은 2 년후에 조그마한 책을 출판하였다. 책의 제목은
“Judenstaat”이였다.24 이 뜻은 유대인 나라였다. 유대인은 단일 민족이며 차별에
대한 대책은 유대인들이 살 수 있는 나라를 설립하는 것이었다. 그는 어떤땅이든지
상관하지 않았다. 다만 유대인들이 자기들의 나라라고 부르기만 하면 족했다. 많은
조언가운데 아르젠티나에 땅을 허락받았다. 그리고 로스차일드는 계속해서
팔레스타인땅에 거주하는 유대인들을 재정적으로 도와주었다. 그리고 헤르즐은 또
하나의 책을 써 그의 꿈을 세계에 알렸다. 책의 제목은 Altneuland “구와신지”(Old37
New Land)라는 것이었다.25 헤르즐은 상류층의 유대인들에게는 인기를 얻지
못했으나 유대인들의 대중에게는 따르는 자들이 많았다. 그러나 그는 많은 여행을
통해 많은 지도층의 사람들을 만나서 그의 꿈을 알렸다.
테오도르 헤르즐은 무리한 여행과 일들로 건강을 해쳤다. 그의 나이
사십사세에 그는 폐렴과 심장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비록 그는 이스라엘의 나라를
못 보았지만 그는 새로운국가가 세워질것은 시간 문제인 줄 믿었다. 1949 년도에
그의 시신은 이스라엘에 묻혔다.26
그리고 헤르즐이 죽은 때에 또 한번의 대 이민자들이 러시아에서 왔다. 이
그룹들은 두번째 알이야(Second Aliyah)였다. 두번째 알이야는 알리야중에 가장
중요한 정착운동이였다. 시기는 1904 년부터 1914 년으로 약 30,000 명의
이민자들이 도착했다.27 그리고 새로 도착한 이민자들은 키부츠를 설립해 국가의
농장업을 시작했다. 이러한 가운데서도 유대인에게 이스라엘의 삶이 쉽지는
않았다. 다시한번 두번째 온 알이야그릅들은 반이상이 그들이 왔던 고향으로
돌아갔다.
테오도르 헤르츨의 유산중에 하나는 세계시온협회(World Zionist
Organization)을 설립 한 것이다.28 그의 많은 수고와 헌신으로 1897 년 8 월 29 일에
첫번째 세계시온협회를 스위스의 바젤(Basel)에서 열렸다. 여기에 참석한 대표는
약 200-250명 가량 이며 24 개국에서 왔다.29 그리고 여기에 첫번째 회장을
헤르즐로 임명했다.30
그리고 협회에서 결정한 내용들은 국제법을 따라 이스라엘 나라를
설립하는 것이며, 또한 바젤프로그램을 결정했다. 바젤프로그램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스라엘땅에 거하는 자들은 유대인 농부들, 공장인들 그리고 사업가들이며,
또한 시오니즘에 관한일에 대해서는 온 세계에 사는 유대인들은 모두참여
해야하며, 유대인의 정체성을 항상 기억해야하며, 유대인의 국가를 위해서 정부와
지도자들의 공의와 협조를 구할것을 결정했다.31
세계시온협회는 1918 년까지 매년 모였다. 그리고 나서는 제 1 차
세계대전때에는 정지되었으나 이후에는 2 년에 한번씩 모였다. 1945 년이후로는
매 4 년에 한 번씩 모였다. 그리고 이스라엘국가가 설립된 후에는 모이는 장소를
예루살렘으로 결정했다.
시오니즘의 초기에는 많은 마찰들이 있었다. 특히 세속화된 유대인들은
자유를 주장했으며 또한 정통 유대인파들은 종교의 모든것을 묶었다.
1902 년에는 종교적인 파들이 미즈라히(Mizrachi)라는 운동을 시작했다. 32그리고
초기에는 영국의 권유로 러시아에서 온 유대인들을 우간다에 정착시키는 안건을
가지고 많은 논쟁이있었다. 이 제안은 4 년동안 토론이 되었다. 그리고 결론은
우간다에 정착하는 것에 반대하였다.33
1907 년에는 우간다 안건을 부결시키고 팔레스타인 땅을 유대인들의
고향으로 결정할것을 택했다. 많은 시온주의자들과 유대인들의 거처는
팔레스타인이였다. 그리고 이것에대해서는 절때로 타협하는 일이 않생겼다. 34
영국의 위임통치국은 유대인들에게 매우 중요한 시대였다. 제 1 차
세계대전이 끝날 무렵에 국제 연맹국가 (the League of Nations)는 팔레스타인
지역을 영국에게 위임하였다.35 그리고 이스라엘의 국가설립에 대한 문제도 잘
해결될 수 있도록 맡겼다.
그 다음해에는 요단강 동쪽편에 있는 영토는 요단의 하심왕국(Hashemite
Empire, 1921-현재)으로 넘어갔다. 그 때의 요단강 동쪽지역은 팔레스타인땅전체의
75 퍼센트였다. 영국인들의 우려는 과연 이스라엘국가가 팔레스타인에
세워질것인가 아니면 아닌가였다. 이러한 문제는 매우 민감하였다. 특히
팔레스타인지역은 다른 민족들도 살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많은 아랍인들은
유대인들과 함께 땅을 나누어 쓰는 것을 원치 않았다.
1917 년 11 월 2 일에 영국 외무부 장관인 아터 제임스 발포(Lord Arthur
James Balfour)는 워터 로스차일드에게 편지를 써서 영국이 유대인들을 위한
국가를 팔레스타인지역에 세울것을 지지한다고 발표했다.36 그리고 이러한
추진을 지역에 사는 다른민족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진행 할것을 또한
발표했다.
여기에 적임자는차임 웨이즈만(Chaim Weizmann)이었다. 그는
영국의회(Parliament)의 회원인 허버트 사무엘과 같이 일을 하도록 선정했다.
웨이즈만은 러시아에서 1874 년도에 태어났다.그리고 그는 독일에가서
화학을 전공하고 영국으로 와서 맨체스터대학의 교수로 있었다. 그리고 그는
영국의 시민권을 신청한 후에 영국인 시민이되었다. 웨이즈만은 어려서 부터
시오니즘의 지지자였다. 그리고 그는 세계시온협회의 두 번씩이나 회장(1920-1931,
그리고 1935-1946)으로 뽑혔다.37 그리고 그는 이스라엘의 첫번째 대통령이
되었다.38
제 1 차세계대전이 끝난 후, 그리고 영국의 신탁통치가 들어서기 전에 벌써
많은 유대인들은 팔레스타인지역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세번째
알이야(Third Aliyah)때는 90,000 명의 유대인들이 도착했다. 그리고 이들은 다
이곳에 정착하였다. 이때당시 이들은 또 노동조합을 조직하였으며 또한 이들
끼리의 방위대를 조직하였다. 그리고 이것을 하가나(Hagana)라고도 부른다.39
영국의 위탁정부 당시(1922-1948)에는 이곳의 경제가 살아났다. 그리고
문화와 교육적인 면에서도 번영하였다. 그리고 아랍인들과 유대인들 사이에
일들은 각각 자율적으로 맏아서 다스렸다. 이런것들은 아랍인들과 유대인들사이에
마찰을 줄였다. 이때에 유대인지역을 “이슈브”(yushuv)라고 불렀다.40 이슈브는
시위원들과 국회의 지도자들을 선거를 통해서 선출했다.41
네번째 알이야(Fourth Aliyah)는 1924-28 년도에 도착했다. 그리고 새로운
이민자들은 계속해서 1929 년까지 끊임없이 들어왔다. 이 당시에 도착한
유대인들은 대부분 폴란드의 차별 이유로 떠나온 자들이었다. 이 들은 폴란드에
있었을 때 상업을 한 자들이었다. 그리고 사업가들도 있었다. 약 67,000 명이
팔레스타인 땅에 도착했으며 약 1/4 은 다시 폴란드로 돌아갔다.42
네번째 도착한 이민자들은 특히 도시에 정착했다. 이들은 또한 첫번째
이민자들을 따라 새로운 도시들을 창조하였다. 그리고 아랍의 도시인
야파(Jappa)43를 개발한 다음에 텔아비브(Tel Aviv)라는 도시로 만들었다.44 텔
아비는 이스라엘의 첫번째의 근대의 도시이다.
다섯번째 알이야(Fifth Aliyah)는 1929-39 년에 도착했다. 약 250,000 명이
돌아왔다. 이들이 설립한 공동체가 ‘이슈브’(Yishuv)였다. 이들은
제 2 차세계대전전에 팔레스타인에 도착했다. 이들 중에 많은 자들은 나치의
위협과 오스트리아로 부터 망명 온 자들이었다. 독일에서 온 자들중에 많은 자들은
41
전문직을 가진자 들이었다. 그리고 이들은 이들의 실력과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였다.45
이러므로 말미암아 팔레스타인 지역에 정착한 유대인들의 삶은
진보적이었으며 또한 윤택해졌다. 특히 독일계 유대인들은 공업사업을 통해
해변가근처에 항구도 세우고 새로운 도시와 공동체를 건설하였다. 그리고
다섯번째 아일라가 막을 내릴때에 팔레스타인 지역에는 약 450,000 명의
유대인들이 살고있었다.
영국위탁정부시대에는 팔레스타인 땅은 보편적으로 평화스러웠다. 특히
“이슈브”지역에도 인종에 대한 문제는 일어나지 않았다. 그리고 그 당시 유대인의
지도자는 두번째 알리아로 팔레스틴에 정착한 카리스마적인 데이빗 벤
구리온(David Ben Gurion)이었다.46 구리온은 폴란드에서 온 자였다. 그리고 그는
팔레스타인에 도착하자 마자 잘 적응하였다. 그리고 나서는 정치계에 발을 디뎠다.
그가 지도자가 된 후에 유대인에 대한 폭행이 발생했다. 1929 년에
아랍인들과 유대인들사이에 폭동이 일어났었다. 아랍인들은 유대인들을
예루살렘과 헤브론과 사페드지역에서 공격을 했다. 아무런 방어대책을 갖지
못했던 유대인들은 많은 인명피해와 부상을 당했다.
사실상 유대인들은 자신을 보호할 수 가없었다. 영국정부는 유대인들이
방위군을 구성하는 것을 금했기 때문이었다. 한 때 갈릴리지역에서 레지스탕트를
조직한 자를 영국군인들이 잡은 다음 15 년간 징역을 살게하였다.
아랍인들은 1936 년에 알 후세이니(al-Husseini)를 조직해서 유대인들의 나라
설립을 반대하였다. 그리고 전 아랍나라들도 이스라엘의 국가조직을 반대하였다.
아랍인들은 계속해서 유대인들을 공격하였으며 또한 이들의 공동체도
파궤해버렸다. 영국정부는 1939 년에 ‘백서’(White Paper)를 써서 유대인들이
공동체에 사는 숫자를 오년동안 75,000 명으로 제한했다.47 이것은 아랍인들에게는
기쁨이었지만 유대인들에게는 타격이었다.
유대인들은 나찌 당시에 육백만명의 목숨을 잃었다.48 그리고 세계는
유대인들이 안전하게 살 곳을 인정하였다. 1947 년 11 월 29 일에 UN 총회는
팔레스타인지역에 두 나라가 존속 할 것을 통과 시켰다.49 이 두나라는 아랍인들과
유대인나라였다. 유엔 총회에서 이스라엘은 갈릴리 동쪽 지방, 그리고
해변지역쪽에 정착할것을 정했고 나머지는 아랍인들이 정착하도록 결정했다.
이러한 안건이 통과되자 아랍인들은 반대를 표시했다. 그리고 각처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여기에서 피해를 본 숫자는 유대인 아랍인 영국인을 합해서
천명이 희생을 당했다.
계속해서 전투가 팔레스타인지역에서 벌어졌다. 이러는 가운데 영국인들은
팔레스타인지역을 아랍인들에게 넘기고 지역을 떠났다. UN 에서는 투쟁의
원인이 아랍인것을 알고도 아무런 대책을 세우지 않았다. 많은 나라들도
유대인들의 나라설립을 인정했으나 내란에 대해서는 아무런 대책을 세우지 않았다.
미국을 비롯해서 많은 나라들이 무기를 수출하는것은 금했으나 이것은
유대인들에게 도움이 되지 못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유대인지도자들은 이스라엘의 독립을 선언했다. 1948 년
5 월 14 일에 벤 구리온은 두루마리에 적힌 이스라엘국가의 설립을 낭독하였다.
그리고 임시 이스라엘 정부가 설립되었다.50
그러나 그 다음날에 전쟁이 터졌다. 이스라엘역사에는 이 전쟁이
독립전쟁(War of Independence , 1948-9)었다.51 아직도 길에서 춤을 추던
이스라엘백성은 아랍인들의 공격으로 도망을 갔다. 아랍인의 공격은 이스라엘
나라를 폐지하려는데 목적이 있었다.
독립전쟁을 통해서 이스라엘은 국방부가 설립되었다. 이것은 하가나의
배경으로 시작되었다. 그리고 나중에는 이스라엘 국방부(Israel Defense Forces)가
되었다.52 이스라엘군인들은 목숨을 걸고 싸웠다. 그리고 몇 달이 지난 후
이스라엘군인들은 10,000 이나 되었다. 그리고 계속해서 다른 지역까지 점령하였다.
그래서 이스라엘군인들은 디베리야지역, 하이파, 사페드와 얍파와
아크레지역들을 장악하였다. 그러나 예루살렘은 계속해서 나누어졌다.
1949 년 1 월달에 휴전선포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난 후 6 개월 후에 이집트,
레바논, 요단과 시리아가 휴전선포에 서약했다. 이라크는 서약하지 않았다.
벤 구리온은 그가 읽은 이스라엘의 독립선언문을 통해서 세계에 흩어진
유대인들을 초청하였다. 그리고 유대인들의 단합을 강조하였다. 1949 년 1 월에는
이스라엘 국회(Knesset)가 설립되었다. 53 1950 년에는 이스라엘의회(Knesset)에서
“돌아오라는법”(The Law of Return of 1950)을 통과시켰다. 이 법은 어느 유대인이
든지 이스라엘에 들어올 수 있으며 이들에게는 이스라엘의 시민권을 허락하는
것이었다. 유대인들의 출생율은 이웃의 나라에 비해서 낮았다. 1951 년당시
출생율은 26.3 퍼센트였으며 다른 민족의 출생율은 37.6 퍼센트였다.54 나라의
정책은 인구의 숫자가 두배로 느는 것이였다. 법이 통과된지 일년만에 700,000 명이
이스라엘 땅으로 돌아왔다.55
나라가 세워졌을때 인구는 650,000 이였다. 그리하여
백만명이 넘였다. 이들 중에 많은 자들은 나찌시대 대학살때 살아남은 자들이었다.
그리고 다른 이들은 리비아(Libya), 예멘 (Yemen) 그리고 이라크 (Iraq)에서 온
자들이었다.56 그리고 십년 후에는 북 아프리카의 모로코 (Morocco),
튀니지(Tunisia), 이집트(Egypt)와 폴란드의 헝거리(Hungry, Poland)에서 많이
이주했다.57 이러한 나라들은 유대인들을 적대시 했던 나라들이다. 그리고 미국과
카나다에서도 이스라엘땅을 찾았다. 이러한 나라들로부터 온 유대인들은 안전을
위해서 온 것이 아니라 약속의 땅에 대한 이상과 영적인것과 그리고 종교적인
이유로 온것이다.
유대인들 중에서 가장 많이 이주해 온 나라는 러시아(Russia)였다. 처음에는
유대인들이 이스라엘로 이주하는 것을 금한 러시아는 드디어 문을 열어주었다.
그래서 1970 년도 말에는 140,000 명의 소비엣 유대인(Soviet Jews)들이 이스라엘로
갔다. 그리고 계속해서 이주하였다. 그리고 소비엣연방공화국이 무너진 후 계속해
1990 년도 까지는 약 300,000 명의 러시아 유대인들이 이스라엘로 이주하였다.58 그
결과로 약 백만명의 유대인들이 20 세기가 끝날 때까지 이주했다. 그래서
이스라엘의 초창기의 역사는 이스라엘에서 태어난 자들 보다는 다른나라에서
태어난 유대인들의 나라였다.
지리적으로 이스라엘은 작은나라이다. 남한보다도 작으며, 아시아,유럽,
아프리카의 교차로에 있는 나라이다. 면적은 약 21,946 제곱킬로미터가 되며,
길이로는 450Km (290 마일)이며 폭은 130Km (85 마일) 밖에 되지 않는 나라이다.
남한의 4.5 분의 1 에 해당한 나라이다. 아랍인들이 장악하고 있는 땅에 비해서는 점
하나 밖에 안되는 영토이다. 이스라엘을 폐지하려는 아랍인들의 열정은
대단하였다. 그 수 없이 넓고 큰 영토을 놔두고 이스라엘을 멸하려는 아랍인들의
생각속에는 땅이 목적이 아니었다. 이들에게는 이스라엘이 문제였다.
인구적으로 아랍인들은 2 억반이넘으나59 유대인들은 5 백만밖에
되지않는다. 60그리고 아랍인들은 사실상 이스라엘의 이웃이다. 그리고 만일
아랍인들이 이스라엘을 공격하면 이스라엘인들은 도움을 받을 곳이 없었다.
이유는 이들을 둘러 싼 모든 지역이 아랍인들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경험을 통해서
유대인들에게 아랍인들의 공격은 현실이다. 이러한 면에서 이스라엘에 사는
유대인들은 갇쳐있는 셈이다. 아랍인들은 유대인들을 항상 공격하려는 자세로
대했다.
1949 년도에 평화조약을 맺은 후 아랍인들은 두 가지 조건을 내세웠다.
하나는 이스라엘은 장악한 지역을 1947 년 경계선때 처럼 돌려주어야
하며.(아랍인들은 이것들까지도 싫어했다.) 두번째는 팔레스타인들을 다시
받아드릴것과 웨스트뱅크(West Bank)에 사는 자들을 인정할 것을 요구했다. 그
당시 웨스트 뱅크는 요단에 속했었다. 여기에서 양쪽은 원만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이집트의 인도로 모임을 마쳤다.
그리고 나서는 전쟁이 일어났다.61 이 전쟁은 수에즈운하(Suez
Canal)때문이었다. 1956 년도에 수에즈운하에 대한 주도권의 문제였다.62 그 당시
운하는 영국이 담당하고 있었다. 수에즈운하는 매우 중요한 곳이었다.63 홍해(Red
Sea)와 사우디 아라비아(Saudi Arabia)를 통과하는 중요한 전략요지였다. 이 운하는
이스라엘에게도 필요한 곳이었다.
러시아가 이스라엘국가 건설을 거부하였다. 그리고 러시아는 아랍 나라들과
손을 잡았다. 1955 년에 이집트는 러시아로 부터 무기를 실은 컨테이너를 받았다.
이스라엘에서도 테러의 전쟁으로 이집트와 요단에서 군인들을 훈련시키고 있었다.
1956 년 6 월에 이집트 대통령인 가말 아베드 나세가 티란협해(Tiran Straits)를
차단시키고 수에즈운하를 국가 소유로 인정해버렸다. 그리고 나세는 운하를
시리아와 요단이 지키도록하였다. 이 의미는 전쟁선포였다.
전쟁을 막기위해서 이스라엘이 먼저 이집트를 공격했다. 날짜는 1956 년
10 월 29 일이였다.64 영국과 프랑스도 수에즈운하 문제로 이스라엘을 도왔다.
이스라엘국방군(IDF)은 이집트인을 무찔렀다. 그리고 시내반도(Sinai Pennisula)를
정복했다.65
미국과 소비엣공화국은 영국과 프랑스에게 압력을 가했다. 그리고 정복한
땅을 돌려줄 것을 강조했다. 이것을 계기로 해서 수에즈운하는 UN 감시하에
운영되었다. 66 또 다시 이스라엘은 전쟁을 치루었다.67 1967 년 5 월에 이집트는
UN 이 수에즈운하에서 떠날 것을 요청했다. UN 은 순복했다. 이집트는 군사들을
동원해서 시내산지역에 모였다. 그리고 시리아군인들은 골란하이트(Golan
Height)에 모였다. 약 250,000 명의 군인들이 이집트, 시리아, 요단과 레바논에서
왔다. 이들은 이스라엘 국경에 깔려있었다. 그리고 다른 아랍나라들은 군대를
지원할 것을 약속하였다. 아랍군인들은 소비엣 군수물자들과 무기를 공급받았다.
1967 년 5 월 22 일 이집트는 이스라엘배를 티레협해에서 봉쇄했다. 6 월
5 일 이스라엘군인은 미리 공격을 했다. 이스라엘의 승리는 전 세계를 놀라게
하였다. 그리고 아랍나라들은 더욱 더 놀랬다. 이스라엘군인들은 골란하이트를
정복하였으며 또한 시내산, 가자와 웨스트뱅크를 장악하였다. 이 전쟁으로
이스라엘은 26,000 에이커의 땅을 확보하였다.
그리고 구 예루살렘을 아랍의 손에서 빼앗았다. 많은 팔레스타인들은 이
지역에서 도망쳤다. 그러나 많은 자들은 남아있었다. 68
그리고 6 월 10 일에 휴전선언을 했다. 6 일전쟁(Six days war)은 이스라엘
역사에 중요한 사건이었다. 1967 년 11 월에 UN 안보회의에서 Resolution 22 를
통과시켰다. 이 법은 이스라엘이 정복한 모든 땅과 지역을 돌려주는 대신에
평화협정의 약속을 하자는 것이였다. 많은 아랍나라들은 이 약조를 인정하지
않았으나 이집트대통령 안와 사닷트(Anwar Sadat)는 이 평화조약에 사인을 하였다.
그리고 이스라엘에게 평화를 약속했다. 그리고 이집트는 시내(Sinai)지역을 돌려
받았다.
1967 년 전쟁은 아랍나라들에게는 실패한 전쟁이었다. 그러나 이들은
이것을 인정하지 않으려 했다. 1973 년 10 월 6 일에 이집트와 시리아군인들이
욤키퍼(Yon Kippur)를 지키는 때에 쳐들어왔다.69 약 80,000 명의 이집트군인들이
이스라엘땅을 공격했다. 이 날은 유대교의 중요한 절기이다. 그 당시 500 명 밖에
없었던 이스라엘군인들은 아무런 대책이 없었다. 그리고 많은 아랍나라들은 이
전쟁에 이집트 군인을 돕고있었다.70 그리고 요단은 직접 전쟁에 개입했다. 미국의
개입과 압력에도 이들은 개의치 않았다.
군사력을 다시 동원한 이스라엘군인들은 다시 전쟁을 하였다. 그리고
이집트, 시리아와 요단군인들을 몰아내었다. 그리고 빼앗겼던 영토를 다시 찾았다.
그리고 UN 안보회의에서는 전쟁을 멈출 것을 요구했다. 전쟁이 끝날 무렵에는
이스라엘군인들이 이집트의 시내산에 있었다.71
욤 키퍼전쟁(Yon Kippur War)은 이스라엘나라의 20 세기의 마지막
전쟁이었다. 그러나 이집트와 요단과의 평화 조약속에서도 군사적인 사건들은
계속 일어났다. 특히 시리아와 레바논과의 관계는 계속 마찰이 심했다.
걸프전쟁(Gulf War)때에도 이스라엘은 이라크군인들에 의해 폭탄세례를
받았었다.72 이것은 미국과 약속한 조약을 어기는 것이었다. 이스라엘나라는
이렇게 위험과 전쟁의 공포속에서 생존하고 있는 것이다.
오늘날 이스라엘의 생존의 문제는 나라 안에서와 밖에서 항상 같이
공존한다. 그리고 평화는 약속을 할 수 없는 것이 되어버렸다. 유대인들과 아랍인들
사이에 있는 감정은 항상 전쟁을 유발할 수 있는 조건이 된다.
1987 년도에 첫번째 인티파다(Intifadah)가 일어났다.73 그리고 두번째
인티파다는 2000 년에 일어났다. 인티파다는 아랍인과 유대인들사이에 일어난
전쟁이다.
영원한 순환의 전쟁, 보복, 평화조약은 돌고 또 돈다. 이스라엘정부는 어떻게
방지를 해야하는가?
이스라엘의 영원한 평화는 어디에 있을까? 이스라엘의 미래와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헤르즐의 꿈은 이루어졌으나 평화는 오는가?
오늘날의 시온주의는 평화를 가져오는가? 우리는 반 유대주의를 어떻게
받아드려야 하는가? 홀로코스트가 끝난지 65 년이 지난 오늘에도 반유대주의는
다시 상승하고 있다.74 이러한 현상은 젋은 세대들이 역사 또는 과거를 잘 모르는
가운데 일어나고 있다. 또는 부모의 무지와 편견을 배운 결과이기도 하다. 반
유대주의의 뿌리를 뽑아낼 수 는 없지만 교육과 역사공부를 통해서 개선해 나갈 수
있다. 특히 유대인의 홀로코스트의 교육은 매우 유익하다고 본다.75 이유는
홀로코스트는 반유대주의의 해독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유대인에 있어서 이들은 긍극적으로는 동화되기를 바라나 76 많은 조건들,
사회조직, 사상, 문화적인 것들이 이를 막고 있다. 사르트르는 유대인에 있어서
완전한 동화는 불가능하다고 말한다.77 동화될 수 없는 이들의 현실은 항상
사람들에게 주목의 대상이 될것이며 또한 유대교는 항상 믿는 모든자들에게
도전과 동기를 줄것이다.
각주 Endnote s
1 David Vital, The Origin of Zionism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75). P. 4 바이탈의 견해는
유대인들은 모든것이 다 하나님이 뜻(Divine Will)으로 받아드린다.
2 시온주의의 정신은 유대인나라가 팔레스틴땅에 건설되어야 한다는 민족독립운동이였다.
시온주의 시초에 대해서는 그 당시 유럽, 러시아에서 일어나고 있었던 반유대주의에 향한 반응으로
부터 시작되었다. 1881 년 러시아에서 대학살사건으로 인해 ‘시온사랑’(Love of Zion 또는 Hibbat
Zion)이라는 국립유대단체를 구성했다. 그리고 1840 년에 미국유대인인 모르드게 마누엘
노아(Mordecai Manuel Noah)가 제시하였다. 그는 미국지역의 나이아가라강엽에 유대나라를
설립할것을 주장하였으나 실천에 옮기지 못했다. 후에 많은 유대인들은 유대나라는
이스라엘땅이여야 한다고 여겼다. “Zionism”, XVI., "Encyclopaedia Judaica," (New York: McMillan,
1993).pp. 1031-1164.
3 이들은 하나님께서 모든 민족들에게 살 땅을 준것같이 유대인들에게도 살 땅을 허락했다고 믿고
있다. 이 땅을 이스라엘로 보고 있다. Vital.
4 오스만제국은 주후 1299 년 부터 1923 년까지 터키를 비롯해 서쪽의 모로코(Morroco)부터 동쪽의
아제르바이잔(Ajerbaizan)에 이르러 북쪽의 우크라아나(Ukrain)에서 남쪽의 예멘(Yemen) 까지의
영토를 이슬람교를 주장하며 지배한 제국이다. 팔레스틴지역도 지배하였다.
5 Vital. p. 183, 213. 그는 야고보 야곱 로스차일드(James Jacob Rothschild)의 네 째였으며 막내
아들이었다. 그는 사업사의 기질보다는 인본주의적에서 자선사업하기를 좋아했다. 그리고
이스라엘땅이 유대인들에게 필요함을 깨닭고 개입하였다.
6 “Aliya”, "Encyclopedia of Zionism and Israel," ed. Raphael Patai (New York: Herzl Press, 1971). P. 21.
알리야는 시온주의개념에서 ‘개척자’ 또는 ‘정착하는 자’라는 의미를 말한다. 그리고 히브리어로는
‘올가간다’라는 뜻을 내포하기도 하다.
7 David Vital, Zionism: The Formative Year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82). P. 385.
8 Howard Marley Sachar, A History of Israel: From the Rise of Zionism to Our Time (New York: Alfred A.
Knopf, 1976). P. 71.
9 시온주의의 설립에 있어서 많은 사건들이 원인이 되었다. 1882 년에 ‘시온의 사랑하는자’(Lovers
of Zion), 그리고 헤르즐의 팜플렛 ‘유대국가’(The Jewish State”의 출판등이 원인들로 보고 있다.
Nahum Sokolow, History of Zionism: 1600-1918 (New York: KTAV Publishing House, Inc., 1969). P. 112.
10 이 사건의 시작은 1884 년 10 월 31 일에 군서법원 재판에 시작됬음.이 사건은 온 세계의 분노를
샀다. 이 사건은 법정에서 뿐만 아니라 투표를 통해서 그리고 많은 언론의 개입을 불러온 사건이다.
Max I. Dimont, Jews, God, and History, 2nd ed. (New York: New American Library, 2003). P. 336.
11 1894 년 가을에 불란서 군부의 비망록(bordereau)가 독일군부에 전했졌다. 이 비망록(비망록은
나중에 위조문으로 밝혀짐)이 다시 불란서 정보부로 넘어갔다. 비방록의 필서를 통해 드레픠스가
장본인으로 결정한 군사 정보부는 그를 체포한다. 그리고 이 일로인해서 드레퓌스는 반역자로
몰리고 군사법원의 결정으로 악마섬으로 추방당함. 그리고 몇번의 재판을 통해서 그는 나중에
무죄로 석방하게 됨. 그러나 이 사건은 유대인들로 하여금 안전한 곳이 없음을 알게 되었다.
"Encyclopaedia Judaica," (New York: MacMillan and Keter Publishing House, 2007). VI., pp. 18-19. ;
Betty Schechter, Teh Dreyfus Affair: A National Scandal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1965). P.
12 Cecil Roth, A History of the Jews: From the Earliest Times through the Six Day War (1971). Pp. 349-50.
13 옛날의 이스라엘 선지자처럼, 픽쿠아트는 자신의 안전보다 정의가 저 중요하다고 믿었다. 그리고
사건을 재 검토하라는 제시를 냈다.Dimont. P. 338.
14에스터해이지는 고백을 했다. Ibid. p. 339.
15 첫번 군사재판은 1894 년 12 월 19 일에 열렸으며 여기서 드레퓌스는 유죄판결을 받고 종신형벌을
언도 받았음. 그가 종신형을 받았을때 감옥벽에다 머리를 쳐서 자살시도를 했었다. 그리고 두번째
군사재판은 레네스(Rennes)에서 1899 년 9 월 9 일에 열렸으며 여기서도 역시 종신형에서 10 년으로
형을 감했다. 그는 말하기를 ‘나의 아내를 위로해주시오’라고 그의 결백을 밝혔다. Schechter. pp. 41-
52; 205-226.
16불란서어이며 한글로는 ‘나는고발한다.”임. 에밀리 졸라(Emily Zola)와 아나토레 프랑스(Anatole
France)는 글을 통해서 불란서군부의 부정을 전세계에 사건의 부적절함을 밝힘으로 끝이 났다.
Raymond P. Scheindlin, A Short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P.
168; Schechter. Pp. 124-136. 1898 년 1 월 1 일 졸라는 불란서 신문인 L’Aurore 에다 ‘나는
고소한다(J’Accuse)’라는 기사를 실었다. 두레퓌스의 누명을 밝힌글이다. 그는 이일로 1898 년
2 월에 고소를 당하고 유죄로 판결을 받았다. 이일로 인해 시민들은 두레퓌스의 대해 더욱 관심을
갇도록 만들었다. 두레픠스의 두번째 재판이 열린것이다. Ibid. Pp. 137-156.
17 1906 년 7 월 12 일 불란서 법정은 그를 무죄로 인정하고 그를 자유인으로 선포했다. 이로써
두레픠스 사건은 막을 내렸다 Schechter. Pp. 251-53.
18 헤르즐은 그이 ‘유대국가’(The Jewish State, 1896)라는 책을 통해서 유대나라가 세워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Vital, The Origin of Zionism. P. 3; Scheindlin. P. 220; Historical Dictionary of Israel, ed.
Bernard Reich and David H. Goldberg (Lanham, Maryland: The Scarecrow Press, Inc, 2008). P. 217.
19 그의 계보는 랍비의 집안이었다. Jacob de Haas, Theodor Herzl: A Biographical Study, I-II vols.
(Chicago & New York: The Leonard Company, 1927). Pp. 30-31.
20 그는 폴란드에서 태어났으나 그의 교육은 독일계였다. 그는 어릴때부터 헝가리언어를 회피했다.
나중에 이것을 후회한다고 말한다. Ibid. p. 31.
21 그의 저서중에 ‘새로운 겟토’(The New Ghetto)( 1894 년 10 월 11 월사이때 씀)는 연극각본이다.
내용은 유대인들을 위한고 유대인에게 썼다. 내용가운데는 새로운 유대인의 이미지를 발굴하자는
것이 담겨져있음. 어떤 면에는 자서전같이 보임. .Ibid. i, pp. 42-43.
221891 년 10 월. 그는 비엔신문사(Neue Freie Presse)의 기자로 파리에 파견됨. Ibid. p. 149.
23 그는 회고하기를 드레퓌스사건을 인해서 그는 시온주의자가 되었다고 함. Ibid. p. i. 50.
24 ‘유대국가’(The Jewish State).
25 이 책은 1902 년 10 월 1 일에 출판됨. 영어로는 Oldnew land 로서 내용은 원하면 무엇이든지
가능하다는 내용을 담은 소설책이다. de Haas. ii , 95.
26 1904 년 7 월 3 일 44 세에 소망했다.
27 Sachar. P. 72.
28이회를 ‘Proto-Zionism’이라고 부르며, 회의는 시민의 협력이었다고 말함.이 회의는
바젤(Basel)에서 열렸으며 목적은 유대인들의 고향땅을 팔레스틴에 얻는것’이었다. 그리고 이것을
법으로 규정한다는 내용이었다. 그리고 유대인들은 두려움에서 부터 자유스러워함을 원한다는
내용들이다. de Haas. p. 77; Vital, Zionism: The Formative Years. p. 3.
29 더 많은 대표들이 참석을 했으나 돌아갈때 안전때문에 이름을 제외해달라는 자들도 있었다. Vital,
Zionism: The Formative Years. p. 356.
30부회장들에는 막스 노르다우(Dr. Max Nordau) , 살트(Dr. Salz) 와 엠 사무엘 브네레스( M. Samuel
Pineles)로 임명됬다. Sokolow. P. 269.
31 Ibid. pp. 134.
32 이 운동은 히브리어로 ‘영성센터’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전투적인 정신을 가진 운동이다.
목표는 이스라엘땅은 이스라엘백성의 것이며 토라에 근거를 두고 있다.”Mizrachi”, "Encyclopaedia
Judaica." Xiv. P. 389.
33 Vital, Zionism: The Formative Years. p. 159-60.
34 Ibid.
35 영국의 시온주의의지지는 이스라엘 국가 설립에 매우 중요한 역활을 했다. Ibid. p. 146.
36영국이 유대인들에게 대전쟁때 도와준것에 대해 감사하는 표시의 상징이기고 하다.여기에 공을
드린자가 차임 웨이즈만이였다. Dimont. P. 421.
37 “Weizmann, Chaim”, "Encyclopaedia Judaica." Xx., p. 744-752.
38 Roth.p. 415.
39“Haganah”, "Encyclopaedia Judaica." Viii., 200-3.
40 ‘정착’(Settlement)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음. Vital, Zionism: The Formative Years. p. 21.
41 Ibid. p. 410.
42 “Aliyah”, "Encyclopaedia Judaica." I. p. 661.
43 1921 년경에는 야파에 유대인들이 약 3600 명이 주거하고 있었으며 이지역을 정원처럼 아름답게
개조했다. Sachar. P. 155.
44 Ibid. P. 155.
45 "Encyclopaedia Judaica." 역사적으로 여섯번째 또는 일곱번째 알리야가 있다고 본다. 시대는 1940-
48 년경으로 본다.
46 Norman F. Cantor, The Sacred Chain (San Francisco, CA: HarperCollins Publishers, 1994). Pp. 292-3.
47 ‘백서’는 영국정부의 공식보고서이며, 유대인들에게 팔레스틴땅에 이민오는 숫자를 줄였으며
또한 벨포어 선언을 취소하였다. Roth. Pp. 387-8.
48 홀로코스트때 목슴을 잃은 유대인들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드 랑지( De Lange)는 5 백만 에서
7 백만으로 본다. 이 숫자는 유럽에 사는 2/3 와 전 세계에 흩어진 3/1 의 숫자이다. 크로우(Crowe)는
4,707,056-7,442,390 명으로 보고 있다. 참조: The Illustrated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ed. Nicholas
De Lange (New York and San Diego: Harcourt Brace & Company, 1997). P. 300; David M. Crowe, The
Holocaust: Roots, History, and Aftermath (Boulder, Colorado: Westview Press, 2008). P. 447.
49 Scheindlin. P. 231. 총회의 분할구역에 대한 투표결과는 찬성이 33 표, 반대가 13 표로
통과되었다.Dimont. p. 428.
50 독립선언서가 선언된 곳은 텔라비 박물관(Tel Aiv Meseum)이었다. 시간은 오후 4 시 30 분이였다.
David Gurion-Ben, Israel: A Personal History (New York and Tel Aviv: Funk & Wagnalls, Inc, 1917). Pp.
79-82.
51 5 월 15 일, 독립된 이스라엘 임시정부가 들어선지 8 시간 만에 아랍군의 침범이 시작되었다.
이집트공군의 공격으로 텔라비 도시가 폭격을 당했다. 아랍인들은 안식일(금요일)을 존중하기
않았다. Ibid. p. 94; 102-9.
525 월 23 일 이스라엘 임시정부는 IDF 설립할것을 결정했다. Ibid. p. 109.
53 Ibid. p. 331-6.
54 이 전에 대한 통계는 나와 있지 않다. Ibid. p. 837.
55 The Illustrated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Pp. 358-60.
56 Ibid. p. 358.
57 Ibid. p. 360.
58 Cantor. P. 383.
59 아랍인의 전세계인구는 2 억 5 천에서 3 억으로 보고있다. http://www.
ko.wikipedia.org/wiki/아랍인
60 2008 년의 통계로는 약 5,550,000 이 이스라엘에 살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는 13,300,000 이
살고있다. http://www. Jewishvirturallibrary.org
61 수에즈전쟁은 이스라엘이 건립하고 난 두번째 치룬전쟁이었다.The Illustrated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P. 364.
62 수에즈전쟁은 후에 1967 년 육일전쟁(Six Day War)의 전주곡이었다. Cantor. p. 375.
63 수에즈운하는 인간이 만든 운하이다. 이집트의 운하가 지중해와 홍해를 가르는 지역이다. 운하의
길이는 119 미터이다.
64 The Illustrated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P. 364.
65 공군공격으로 일주일 만에 시내반도를 점령하였다. Ibid.
66 유엔의 관리는 프랑스와 영국의 일반적인 세력의 세약됨을 보여주는 계기도 되었다. Ibid.
67 육일전쟁은 이스라엘이 치룬 세번째 전정이였다. 또는 3 차 중동전쟁이라고도 한다. Ibid. p. 365.
68 땅을 확보함으로써 이스라엘은 책임이 더욱 커졌다. 점령한지역과 포로들을 보호해야할 책임이
커진것이다. Cantor. P. 379.
69 욤키퍼전쟁은 이스라엘의 다섯번째의 전쟁이였다. 이 전쟁은 이스라엘의 절기인 ‘속죄의 날’에
일어났기 때문이다. The Illustrated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P. 367.
70 러시아군인들도 이집트군인을 돕고 있었다. Scheindlin. P. 243.
71 전쟁에 승리한 이스라엘 군인들은 아무런 기쁨이 없었다. 6 일전쟁때 가졌던 용기와 자신감이
무너진것이다. 이런 가운데 더욱 심한 테러를 조작한 조직이 PLO (Palestine Liberation Organization,
팔레스틴 해방기구)이다. Raymond P. Scheindlin, The Chronicles of the Jewish People (New York:
Smithmark Publishers, 1996). Pp. 142-3.
72 걸프전쟁은 1991 년 1 월에 일어난 전쟁이였다. 미국과 영국과 다른 유럽의 나라들이
아랍나라들인 사우디 아라비아, 이집트, 다른 아랍나라들이 합동해서 쿠에이트(Kuwait)를 강제로
침범한 이라크(Iraq)를 비난하고 공격한 전쟁이었다. 걸프전쟁때 이스라엘은 개입하지 않았지만
마음을 못 놓았다. The Illustrated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P. 394.
73 7 번째 일어난 이스라엘-아랍 전쟁이었다. ‘인티파다’는 폭동이라고 부른다. 팔레스틴 소년들이
이스라엘인들에게 돌을 던지며 테러를 주동한 사건이다. 이 폭동이 일어난 지역은 웨스트뱅크와
가자지역이였다. 이 지역은 아랍인들이 모여 사는 곳이였다. Scheindlin, A Short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P. 245.; The Illustrated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Pp. 369-70.
74 반유대주의(Anti-Semitism)은 2000 년의 역사속에서 끊임없이 있었다. 그러나 2000 년부터 다시
증가하기 시작했다. 특히 2 번째 인티파타후(2000 년 가을에 일어난 폭동)에 더욱 그리하다. Kenneth
S. Stern, Antisemitism Today: How It Is the Same, How It Is Different, and How to Fight It (American
Jewish Committee, 2006). P. 2.
75 Ibid. p. 4.
76 물론 정통유대교는 전통을 유지하고 있음.
77 사르트르는 말하기를 진정한 유대인은 완전 동화가 불가능하다고 말하고 있다. 이유는
반유대주의이며 그리고 오늘날 유대인은 계속 반 유대주의와 전쟁을 하고 있다고 말한다.Jean-Paul
Sartre, Anti-Semite and Jew (New York: Schocken Books, 1995). P. 150-1.
참고문헌 Bibliography
Ahlstrom, Sydney E. A Religious History of the American People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72.
"Encyclopedia of Zionism and Israel." edited by Raphael Patai. New York: Herzl Press,1971.
"Encyclopaedia Judaica." I-XVI. New York: McMillan, 1993.
The Illustrated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Edited by Nicholas De Lange. New York and San Diego: Harcourt Brace & Company, 1997.
"Encyclopaedia Judaica." New York: MacMillan and Keter Publishing House, 2007.
Historical Dictionary of Israel, Edited by Bernard Reich and David H. Goldberg.Lanham, Maryland: The Scarecrow Press, Inc, 2008.
Bauer, Yehuda. Rethinking the Holocaust.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Press, 2001.
Berenbaum, Michael. Witness to the Holocaust. New York: HarperCollinsPublishers,1997.
Cantor, Norman F. The Sacred Chain. San Francisco, CA: HarperCollins Publishers,1994.
Crowe, David M. The Holocaust: Roots, History, and Aftermath. Boulder, Colorado:Westview Press, 2008.
de Haas, Jacob. Theodor Herzl: A Biographical Study. I-II vols. Chicago & New York:The Leonard Company, 1927.
Dimont, Max I. Jews, God, and History. 2nd ed. New York: New American Library,2003.
Gilbert, Martin. The Jews in the Twentieth Century. New York: Schocken Books, 2001.
Goldhagen, Daniel Jonah. Hitler's Willing Executioners: Ordinary Germans and the Holocaust. New York: Vintage Books, 1997.
Gurion-Ben, David. Israel: A Personal History. New York and Tel Aviv: Funk & Wagnalls, Inc, 1917.
Levin, Nora. The Holocause: The Destruction of European Jewry, 1933-1945. New York:Schocken Books, 1973.
Mordecai, Paldiel. Saving the Jews: Amazing Stories of Men and Women Who Defied the "Final Solution". Rockville, Maryland: Schreiber Publishing, 2000.
Nicosia, Francis R. Zionism and Anti-Semitism in Nazi German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Robinson, George. Essential Judaism: A Complete Guide to Beliefs, Customs, andRituals. New York: Pocket Books, 2000.
Roth, Cecil. A History of the Jews: From the Earliest Times through the Six Day War,1971.
Sachar, Howard Marley. A History of Israel: From the Rise of Zionism to Our Time. NewYork: Alfred A. Knopf, 1976.
Sartre, Jean-Paul. Anti-Semite and Jew. New York: Schocken Books, 1995.
Schechter, Betty. Teh Dreyfus Affair: A National Scandal.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1965.
Scheindlin, Raymond P. The Chronicles of the Jewish People. New York: Smithmark Publishers, 1996.
Scheindlin, Raymond P. A Short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Sokolow, Nahum. History of Zionism: 1600-1918. New York: KTAV Publishing House,Inc., 1969.
Stern, Kenneth S. Antisemitism Today: How It Is the Same, How It Is Different, and How to Fight It: American Jewish Committee, 2006.
Vital, David. The Origin of Zionism.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75.
Vital, David. Zionism: The Formative Year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82.
Walker, Williston and Richard A. Norris, David W. Lotz, Robert T. Handy. A History ofChristian Church. New York: Scribner,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