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2. 홀로코스트
The Holocaust
홀로코스트는 이제 유대역사에 한 부분으로 남아있는 사건이었다.1 홀로코스트의
단어는 그리스어이며 의미는 ‘번제’(Holocaust)이다.2 그리고 히브리어로는 ‘쇼아’
(Shoah)에서 나왔다. 히브리어 의미는 회오리바람이란 뜻이다. 유대인의 역사와
증오는 떼어 놓을래야 떼어 놓을 수 없는 현상이었다. 많은 사람들은 어떻게 높은
문화를 가진 문화인이 이러한 대학살을 범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질문을 한다. 이
대학살은 도발적으로 행한것이 아니라 세밀하게 계획하고 조직적이고 이해할 수
없는 엄청난 군사력과 인력을 최대로 이용해 아무힘이 없는 여인들과 아이들을
무참히 죽였던 것이다. 더 놀라운 사실은 이러한 흉악한 일이 벌어졌지만 많은
유럽인들에게는 놀라운 일이 아니었다. 이것이 얼마나 유대인들에 대한 미움과
증오를 갖고 있었는지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3
반유대주의(Anti-Semitism)에 대한 단어는 1879 년도에 독일의 윌헴
마(Wilhelm Marr)가 사용함으로 유례되었다. 4 반유대주의란 뜻은 유대인들을
경멸하는 의미해서 사용되었으며 이 의미는 동양의 셈(Shemites)인종을 겸해서
말하고 있는 것이다. 셈족 인종은 아랍인들로 부터 북아프리카인종까지 합해서
부르고 있다.
반유대주의자들은 여러가지 모양으로 이들에 대한 증오와 미움을 표시했다.
유럽의 역사는 반유대인에 대해 여러 모양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유대인들은
마귀의 상징으로 묘사도 되었다.5 그리스도교인들에게서는 마귀는 그리스도의
적이었다 그래서 유대인들을 공격하고 미워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그리고
유대인들을 인류역사에서 제거하는 것이 인류에게 유익하다고 믿었다. 유대인은
또 사탄으로 비유하였으며 사탄은 하나님의 적이므로 더욱 이들을 없애야 한다고
믿었다.6 그리고 유대인들은 그리스도를 죽인자들임으로 더욱 학대하였다.7
20 세기 무렵에 새로운 반유대주의에 대한 일이 벌어졌다. 이 일은 시초는
유대인들이 세계를 지배한다는 음모설이었다. 이 음모설의 누설은 서류의
발견에서부터 시작이되었다. 이서류는 ‘시온의 칙훈서’(Protocols of the Elders of
Zion)이라는 것이었다8 이 프로토콜의 내용은 유대인들의 지도자들의 모임의
대화를 기록한것이였으며 이것은 유대인들이 100 년씩을 나누어 어떻게 세계를
다스릴것인가를 다룬문서이다. 물론 이 문서는 조작된 것으로 판결이 났지만
반유대주의자들은 이 문서를 통해서 유대인들을 적대시 하였다. 이 서류로
말미암아 많은 미국인들은 속아 넘어갔으며 또한 반유대주의를 정당화하였다.
그리고 여기에 영향을 받은 자들중에 헨리 포드(Henry Ford)가 포함되었다. 포드는
미국의 자동차산업의 창설자이다.9
유럽에 생겨난 민족주의사상(Nationalism)은 19 세기 까지 계속
번져나갔다. 10 각 유럽나라의 정치당원들과 지도자들은 유대인에 대해 반기를
들었으며 또한 이들을 나라에서 추방시켜야 할 것을 법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남아있는 자들에게는 심한 제한과 한정된 자유를 주었다. 이러한 반유대주의
사상은 전 유럽뿐 아니라 미국에도 스며들어오게 되었다. 그래서 미국에서도
유대인들에대한 반감이 생겨난것이다.11
그리고 반유대 주의가 다시 재기하게된 원인이 여기에 있었다.
반유대주의는 왜 전세계가 대학살이 일어나는데도 잠잠히 있었는지를
이해하게한다. 특히 비독일계들이 대 학살사건때에 참여하고 나찌를 도와줬는지
그 이유를 알게된다. 특히 동 유럽나라들과 오스트리아는 독일이 유대인들을
대학살하는데 참여하게 되었다.
제 1 차 세계대전때에는 독일에서 만큼 유대인들이 성공한 나라도 없었다.
그러나 전쟁이 끝난 후 독일은 멸망하였다. 이들은 세계인들앞에서 창피와 수치를
당했다. 특히 독일은 전쟁터에서와 평화상에서 수치를 당했다. 그리고 이들은
경제적으로 큰 타격을 받았다. 이제 이들에게는 희생 양이 필요했던것이다. 여기에
가장 적합한 민족은 유대인들이였다.12
아돌프 히틀러(Adolf Hitler, 1889-1945)는 유대인들에 대한 반유대감을
독일민족들에게 잘 이용했다. 히틀러는 오스트리아인이었다. 13 그는 빈에서
자라났다. 빈은 유대인에 대한 감정이 좋지 않은 곳이었다. 그가 자라났을때 그는
반유대감정을 가지고 자랐음에 틀림없다. 많은 자들은 오늘날에도 왜 히틀러는
유대인을 증오하는지에대해 반문하고있다. 아뭏든 히틀러는 그의 죽는 날까지
유대인을 미워하였다.14
히틀러의 자서전인 ‘나의 투쟁 (Mein Kampf)’를 감옥에서 쓰면서 그는 그의
정치세계와 유대인들에 대한 일들을 자세히 기록해 놓았다.15 히틀러는 계속해서
독일인들과 오스트리아인들을 선동한 후에 유대인에 대해 위협했다. 유대인들은
러시아혁명 당시 볼쉐빅당원으로써 공산주의를 지지했다는 점과16 유대인들의
세계지배라는 음모설, 그리고 동유럽의 오스트쥬덴등을 앞세워 반유대주의를 계속
선동했다. 17 인종에 있어서 힛틀러는 아리안(Aryan)인종과 노르딕(Nordic)인만
우수한 독일인종이라했고 반대로 유대인은 혼합인종이라고 했다. 18 그리고
계속해서 히틀러는 유대인은 방랑자이며, 사회의 질병이며, 여러가지의 병들을
전염까지 시킨 자 들이라고 주장했다.19
히틀러의 유대인에 대한 공격은 대단하였다. 그리고 그들은 사회에
해충이라고 이야기했다.20 그는 또한 그의 지지를 얻기위해서 과학자들, 철학자들
그리고 의사들과 교사들을 동원시켜서 독일의 모든사람들로 하여금 그의
반유대주의를 정당화 시키려고 노력하였다. 그리고 많은 독일의 교회의
지도자들도 그의 연설에 동참하였다.21 교회와 정부의 지지를 받은 히틀러는 이제
그의 계획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그당시 히틀러와 나찌를 거절한 교회들도
있었다.22
히틀러는 독일을 통합한후 그의 유대인 학살의 계획은 세 단계로
나누어졌다. 첫번째 단계는 아리안계가 아닌 민족은 다 정부직에서 물러나는
것이었으며, 또한 의과계, 교육기관과 공공기관에서 박탈시키는 것이었다. 23
그리고 두 번때 단계는 유대인들을 2 등의 시민으로 취급하는것과 1935 년도에
누렘버그회(Nuremberg Laws)의 에서 통과한 법을 무효화하는 것이었다24 그리고
마지막 단계인 3 번째에서는 1938 년도부터 유대인들은 정치 경찰기구에게 넘겼다.
이 경찰기구는 케쉬타포(Gestapo)였으며 이 조직의 손아래 두었다. 유대인들은
이제 그들의 재산을 등록해야만 했고 그리고 이들로 하여금 독일 땅에서
추방하려고 했다.
이러한 히틀러의 반유대주의 정책은 유대인들을 괴롭혔다. 그리고 그에게는
약 50 만명의 젊은 나찌들로 하여금 언제든지 유대인들을 억압하고 학대할 준비가
되어있었다. 그리고 그는 정치 경찰기구(Apparatus of Terror)를 설립해 제국에
도입하였다. 25 첫번째 기구는 게쉬타포(Gestapo)였으며 26 두째로는 SS
(Schutzstaffeln)이라는 나치 친위대(Elite Guard)을를 설립해서 법을 집행하였고
또한 유대인들을 감시하는 데에도 사용하였다. 27 그리고 나중에는 유대인
대학살당시 히틀러의 명령을 관리하기도했다. 그당시 SS 의 책임자는 29 살의
하인리치 힘러(Heinrich Himmler)이었다. 그의 부친은 바바라아 지역의
학교선생이었다. 그리고 그는 친위대를 설립했다. 그리고 힛틀러는 세번째
공포조직으로 비밀정보부(S.D.)를 설립하고 총책임자를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Reinhard Heydrich)를 택했다. 28 이 세 공포의 기구는 독일전쟁때
유대인들을 공포의 도가니로 몰아넣었다. 29 나중에 비밀정보부(S.D.)와
게쉬타포는 전쟁마지막당시 살인특무부대(Murder Squad, Einsatzgruppen)를
구성했다.30
1938 년 11 월 9 일에 학살사건이 일어났다. 이 사건을 “깨진유리의 밤”
(독일어,Kristallnacht)이라고도 부른다.31 잘 계획되고 조직된 독일 돌격대(SA)가
유대인의 사는 지역을 습격해 회당에 불을 지르고, 여인들을 강간하고 삼천여명의
유대인들을 체포하였다. 이러한 조직적인 학살은 이제 온 세계가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이 학살로 말미암아 유대인들은 그들의 집들이 없어졌고 갈 곳이 없게
되었다.
이때에 이디쉬(Yiddish)어노래가 나왔다.32 “Wie a heen zul Ich gayn?” 내가
어디로 갈꼬?라는 노래였다. 33 나찌들은 유대인들에게 추방령을 내렸다. 많은
유대인들이 독일을 떠나려고는 했지만 막상 갈 곳이 없었다.34
1938 년도 이비안협의(Evian Conference)35 에서 오직 도미니칸 공화국만
독일에 사는 유대인들에 대한 할당을 높였다. 그리고 할당이 있는 나라들도
유대인들로 다 채우지는 못했다. 미국에서도 전쟁당시에는 유대인에 대한 할당이
21,000 명밖에는 되지않았다. 이 숫자는 전쟁전인 1938-9 년에 85,000 명을
입국시킨것에 비해서는 매우 적은 숫자였다. 그리고 전 유럽에서도 유대인에 대한
할당을 줄였다. 오직 영국이 한번 유대인들의 자녀들 9,500 명을 받아 준 적이
있었다. 이것을 “어린이수송” (kindertransport)이라고 불렀다.36
역사적으로 독일제 3 공화국이 시작될 때에 유대인들에게 가혹한 정책을
펼쳤다. 그때에 세계들은 유대인들에게 문을 닫았다. 그리고 유대인들은 갈곳이
없었다. 이들은 조직적인 민족적 대량학살을 당했다.
겟토는 19 세기에 와서 사라졌으나 히틀러가 나타나자 겟토는 다시
생겨났다.37 전쟁당시 약 400 의 겟토가 생겨났다.38 이곳에만 유대인들이 살도록
되어있었다. 옛날의 겟토와는 다르게 이곳에서는 이들은 이 지역을 떠날 수 없게
되었다. 그리고 겟토의 목적은 조직적인 대 학살의 준비였다.39 그리고 대부분의
겟토는 동유럽지역에 많이 세워졌다. 겟토의 상황은 비 위생적이었으며,
영양실조가 만연했다. 그리고 전염병으로 인해 목숨을 많이 잃었다.
유대인들의 겟토가 제일 큰 곳은 폴란드의 바르샤바(Warsaw)지방이었다.40
겟토가 크다는 말은 겟토들이 두 개 이상 모여있었다는 것을 말한다. 그
1941 년당시 폴란드에서 445,000 명이 도시의 2.4 퍼센트 안에서 비좁게 살고
있었다.41 이것은 유대인들의 비참한 삶의 모습을 보여주고있었다.
그리고 다른 겟토지역으로는 로츠(Lodz), 크라쿠프(Krakow),
비알리스토크(Bialystok), 빌나(Vilna), 르보브(Lvov), 체스토쵸바(Czestochowa)와
루브린(Lublin)지역이었다. 그리고 1944 년도에 겟토를 설립한 이유는 유대인들을
대학살하는데 편리하게 위해서 였다. 42
유대인들이 이렇게 겟토에서 살고 있었을때 이들은 유대인의 상징인 다윗의
별(Star of David)을 붙이고 다녔으며 또한 겟토의 삶의 모든 행정은
유대지도자들이 직접돌보았다.43 그리고 그안에는 유대인경찰이 있어서 나찌의
명령을 집행했다.44
겟토안에서의 삶은 다양했다. 어려운 환경 가운데서도 이들은 자녀들에게
교육을 시키려고 했으며 문화의 삶을 계속해서 유지하도록 노력도 했다. 그리고
겟토안에서도 유대교를 준수했다. 그리고 음식을 밀수해오기도 했으며 또한
저항의 움직임도 보였다. 그러나 결국에는 겟토의 삶은 무너지기 시작했다. 이곳에
사는 유대인들은 강제수용소로 끌려가 거기서 죽음을 당했다.
강제수용소(Concentration Camp)는 원래는 감옥수용소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독일지방에서는 닥하우(Dacau), 부센발트 (Buchenwald) 와
작센하우젠(Sachsenhausen)에 강제수용소가 위치하고 있었다. 그곳에 수용 된
자들은 나찌의 적들, 공산주의자들, 여호와의 증인들, 집시와 동성연애자들이
있었다. 이제 이러한 곳에 유대인들이 들어오게되었다. 강제수용소는 케쉬타포가
관할하고있었다. 이들은 가혹한 방법으로 갇힌자 들을 학대했다. 그리고 원하며는
언제든지 목숨을 빼앗아 갈 수 있었다. 강제수용소안에 있는 의사들은 감옥인들을
실험의 대상으로 삼기도하였다. 이렇게 의료실험의 대상이 된 자들은 기형이
되거나 죽음을 당했다.45
1939 년 때에 나찌들은 감옥인들을 노동자로 이용했다. 그리고 겟토에 사는
유대인들도 불러다가 강제 노동을 시켰다. 독일은 전쟁통으로 인해서 일손이
부족했다. 그래서 이들은 강제노동을 통해서 이들의 부족한 일손을 충당했다.
그리고 1942 년 부터는 유대인들을 선택해서 강제노동에 참여하도록 시켰다.
그래서 많은 유대인들은 나찌가 있는 지역에서 강제 노동을 했다. 여기에서 이익을
본 회사들도 많았다. 독일전쟁때 많은 독일회사들이 강제노동의 열매로 이익을
보기도하였다.
그리고 강제노동은 또한 굶주림과 지쳐서 죽는일을 가져다주었다. 그래서
많은 감옥에 갇힌 자들은 노동을 하다가 목숨을 잃은 경우도 허다하다. 이중에는
많은 유대인들도 포함되었다. 46 이러한 정책은 나찌들의 조직적이고 계획된
것이었다. 이 정책은 일을 하다가 지쳐서 죽은 것이었다.
나찌의 계획중에는 임시캠프들(Transit Camp)이라는 곳이 있었다.47 이곳은
사실상 나찌의 죽음의 수용소들(Extermination Camps)까지 가는 마지막 장소였다.
독일어로 테레지엔슈타트(Theresienstadt) 임시캠프라고 부르는 이곳은 체코에
위치하고 있었다. 그리고 체코(Czech)어로는 Terezin 이라고도 부른다.48 그당시
나찌는 이러한 임시캠프를 설립해 우방국에다 선전하는 캠프로도 사용하였다49.
보기에는 그럴듯한 곳이었다. 그리고 이 곳에 갇힌 자들은 옛날에 전쟁에 동참한
은퇴한 군인들이었다. 나중에는 많은 유대인들이 이곳에도 갇혀있었다.
그리고 1941 년과 1943 년도에는 히틀러는 또 하나의 잔인한 모습을
드러냈다. 이번에는 기동살인 부대(Mobile Killing Squad, 독어.Einsatzgruppen)를
조직했다.50 살인기동 부대는 한 마디로 유대인들을 잡아서 마구 죽이는 부대였다.
이들은 유대인의 전문직에있는 변호사, 설계사, 경제학자등등의 사람들을 죽였다.
히틀러는 계속 나찌들을 훈련시킨다음 유대인들을 학살 할 것을 지시했다.
여기에서 나찌들은 정어리를 채우는것처럼 유대인들을 빽빽하게 채워 죽이는
것이었다.51 첫번때 유대인들을 손을 펼치게 한 다음 줄을 맞춰 마루에 엎드리게 한
후에 이들을 총으로 쏜 후에 두 번째 유대인들도 똑같이 죽이는 방법이었다.
이렇게 해서 다섯 또는 여섯줄을 시체로 쌓는 일을 했다.
어린아이들역시 줄을 세워놓고 총으로 쏘아죽였다. 그리고 떨어지는
시체들은 구덩이로 떨어졌다.52 그리고는 모래로 무덤을 덮었다.
이렇게 해서 약 일백오십만의 유대인들이 죽이는 군대의 잔인한 손에
목숨을 잃었다. 숫자적으로 죽이는 부대의 수로는 이같이 많은 인민들을 살해할 수
없었다. 여기에서 누군가가 이들에게 협력했거나 도와주었다는 결론이 내린다.
이들을 도와준자들은 독일군인들도 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동 유럽의 군인들도
있을 수 있다. 많은 유럽에 사는 자들이 유대인 학살사건에 참여했다는 결론이다.
숫자적으로 1.5 백만명이 죽었다는 것은 전쟁을 하는 동안에 하루에
2,500 명씩 죽었다는 결론이 나온다.
독일군의 심리상태에도 문제가 생겼다. 이렇게 많은 사람을 죽이는 일은
사람의 심리를 변화시킨다.54 많은 독일군인들은 밤에 잠을 이루지 못했으며 또한
죄책감과 우울증에 사로잡혔다. 독일정부에서는 이들에게 약과 치료를 제공했지만
도움이 되지 못했다.
Fianl Solution (최종적 해결)은 히틀러의 유대인에 대한 마지막
해결책이었다.55 1942 년도 1 월 20 일에모임이 있었다. 여기에 참석 한 자들은
SS 대표자들과 케쉬타포의 지도자들 그리고 나찌의 요지 인물들이였다. 이들의
모임을 반제회의(Wansee Conference)라고 부른다.56 이 모임의 주동자는 라인하드
헤이드릭(Reinhard Heydrich)이었다. 그는 모든 유대인들이 죽어야만 하고 이것을
한곳에서 이루게 하자는 결정을 지었다. 57 놀라운사실은 이러한 계획이 히틀러의
자서전인 나의 투쟁(Mein Kampf)에 기록되어 있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Wansee회의에서 결정난 상황은 이미 다 알고 있는 사실이었던 것이다. 문제는
언제 시작하며 어디서 할 것인가만 남은것이다. 그리고 죽이는부대에서 이미
이러한 작업을 시작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이제 남은것은 실천뿐이었다. 히틀러는
1941 년에 힘머(Heinrich Himmler)에게 죽음의수용소 설치할것을 명령했다.
그리고 힘러(Himmler)은 루돌프 호스(Rudolf Höss)에게 폴란드
아우슈비츠(Auschwitz, Poland)에다가 설립할것을 지시했다. 그래서 1941 년 7 월
31 일에 라이하드 헤이드릭은 아돌프 에익만(Adolf Eichmann)에게 죽음의
수용소를 관할할것을 지시했다. 힘멜의 만남으로 에익만은 만장의 준비를 다했다.
강제수용소는 나찌에게 많은 혜택을 가져다 주었다. 특히 사람들을 이동
시킬 때에 강제수용소는 편리하였다. 그리고 일손이 필요한곳에 사람들을
데려다가 강제노동을 시키는 데도 편리했다. 그러나 강제수용소 중 6 개는
죽음의수용소로 사용되었다. 이곳은, 벨젝(Belzec), 소비보(Sobibor),
마이다넥(Majdanek), 트리불링카(Treblinka), 아우슈비츠 2 -비르케나우 Auschwitz
II-Birkenau58 와 헤움노(Chelmn)였다. 이곳은 다 폴란드에 있었다. 처음 죽음의
수용소는로츠(Lodz)였다. 이곳에서 대학살이 시작되었다. 59 1941 년사이 약
150,000 에서 340,000 명의 유대인들이 가스로 죽임을 당했다.
두번째 죽음의 수용소는 벨젝(Belzec)이였다.60 여기서는 약 600,000 명의
유대인들이 가스로 죽임을 당했다. 여기에 사용된 가스는 일산화탄소
(Carbommonoxide)였다.61 그리고 Sobibor 에서는 약 250,000 명이 가스로 죽임을
당했고62 1942-3 년에는 마이다네(Majdanek)에서 170,000 명의 유대인들이 가스로
죽었다. 63 그리고 트리불링카(Treblinka)에서는 800,000 명의 유대인들이 1942 년과
1943 년 10 월사이에 가스로 죽었다.64
죽음의수용소에서 가장 크고 오래 지속된곳은아우슈비츠 2 –
비르케나우(Auschwitz II-Birkenau) 였다. 65 이곳은 1942 년에서 부터 1944 년
11 월까지 사용되었다. 다른곳의 죽음의 수용소에서는 많은 동 유럽 유대인들이
죽었지만, 아우슈비츠 2–비르케나우(Auschwitz II –Birkanau)에서는
서유럽유대인들이 많이 죽은 곳이다. 이곳에서 한때는 하루에 4 곳의 가스방이
가동을 했으며 하루에 8,000 명씩의 유대인들이 가스로 죽어가고 있었다. 이때에
사용된 가스는 Zykon B 의 가스였다. 66
아우슈비츠(Auschwitz)에서 죽은 유대인은 백만이나 된다.67
전쟁이 끝난 후 세계인들은 독일군인들이 이렇게 잔인한 행동을 한 것을
이해하지 못했다. 그리고 독일시민들까지도 이러한 끔찍하고 무서운 학살이
범행되어 졌다는 것을 믿지 못했다. 그러나 어느 정도는 독일사람이면 알고있었을
것이다. 우선 독일군인을 제외하고서 약 90 만명의 독일인들이 SS 와 최종적
해결에 동참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많은 독일인들은 이들이 나라를 위해 싸웠다고
자부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많은 독일인들은 전쟁을 돕고 있었다.
또 하나의 질문은 왜 유대인들은 반항하지 않았는가이다. 왜 이렇게 수 많은
유대인들은 대학살에 묵묵히 순종해야만 했는가이다. 68 거기에는 많은 해명이
있었다. 69 우선 독일군인들은 매우 섬세하게 조직적으로 유대인들을 속였다.
독일군은 유대인들에게 이들을 다른곳으로 운반한다는 속임수에 넘어간것이다.70
둘째로 유대교에서는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라는 것을 믿는다. 그래서 이들이
당면한 앞일에 대해서도 반항하지 않고 순종하였다.
그리고 유대인들은 자신들이 이렇게 대학살을 당하리라는 것을 생각지
못했던 것이다. 그리고 이들은 단순히 독일인들의 말에만 의존한것이다. 우리들도
원하는것만 믿고 원치않는것은 안 믿는 습관이있듯이 유대인들도 그들의 생애에
대학살이 있을 것을 예상치 못했던것이다.
그러나 유대인들의 반항이 아주 없었던 것은 아니었다.71 규모가 크지는
않았지만 수용소안에서 여기 저기서 반항은 있었다. 제일 큰 반란은 바르샤바
겟토(Warsaw Ghetto Uprising)에서 일어난 것이다. 유대인들의 반항그룹들이
조직되어서 나찌들과 싸웠다. 그러나 반란을 일으킨 유대인들은 다 학살되었다.72
현실적으로 겟토의 몇명이 독일군과 싸운다는것은 불가능 한 일이었다. 그리고 몇
군데서도 반란이 일어났다.
몇몇의 유대인들은 강제수용소를 탈출해서 레지스탕스(Resistance)에
가입해서 독일군을 상대로 싸우기도 하였다. 그러나 어떤 곳에서는 유대인이
레지스탕스에 가입하는 것을 금한 곳도 있었다.
유대인들의 긍극적인 레지스탕스는 적을 대적하거나 현실에 매여있는 것이
아니라 영적인 힘이었다. 이들은 이러한 어려운 상황속에서도 인간의 긍지를
찾으려고 하였고 이들의 닥친 상황에 대해서 비난도 하지않았다. 유대교를 버린
자들도 없었다. 이들은 더욱 기도를 하였고 또한 될 수 있는 대로 유대교의 절기를
지키려고 노력하였다. 이들은 굶어 가면서도 유대교의 절기에 금식을 명하면
음식을 입에 대지 않았다. 그리고 끝까지 신앙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들에게
있어서 대적은 적에게 하는 것이아니라 인간의 모습을 잃지 않으려는 것에 대해서
저항했다.
유대인들이 대량 학살때에 보여준것은 많이 있으나 이들은 끝까지 삶을
인정하였고 또한 인간적으로 가장 힘든 가운데서도 이들은 인간의 긍지를 버리지
않았으며 유대교를 통해서 영적으로 해답을 얻으려고 했다. 또한 이것만이
신앙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죽음의 수용소는 그의 구실을 잘 감당하였다. 전쟁이 끝나고 난 후에 아군이
수용소들을 보았을때에 남아있었던 자 들은 몇 되지 않았다. 그리고 마지막 까지
나지들은 러시아인군인들이 독일땅으로 전진해 올 때 이들은 죽음의 걸음이라는
것을 통해서 포로 들을 걷게 만들었다. 그리고 걷다가 쓰러진 자들은 총으로 죽였다.
그리고 미군과 러시아군이 수용소를 점검 했을때 이들은 독일군의 잔인함과
무시무시한 일들을 저지른것을 보게되었다. 그리고 많은 수용소들은 나지찌로
인해서 파괴되었지만 죽음의 방들은 남아있었다. 1945 년 4 월 11 일에 미군이
처음으로 강제수용소를 해방시켰다. 처음으로 강제수용소를 해방한곳은
부센발트(Buchenwald)수용소였다. 약 20,000 명의 마른포로들이 있었다. 미군은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73 러시안 군인들이 처음으로 강제수용소를 해방한 곳은
마데이넥(Majdanek)였다74 이곳에 러시안들이 도착했을 때 화장장(Crematorium)은
파괴되었고 가스실만 남아 있었다.
이제 해방을 맞은 유대인들은 또 하나의 위험이 따랐다. 이 위험은 병에
걸리지 않는 것이였다. 영국군이 수용소에 왔을 당시 60,000 명의 포로들이
남아있었다. 그러나 10,000 명이 병으로 또는 굶주림으로 갑자기 죽었다. 그리고
남은 유대인들은 이제 어디로 가야하는가가 남아있었다.75
생존한 유대인들은 그들의 옛날집으로 고향으로 돌아가기를 원했다. 그러나
반유대주의에 두려움을 느낀 이들은 정말로 갈곳이 없었다. 그리고 또 이들이
돌아간 곳에서는 계속해서 학대와 학살이 행해졌다. 그리고 많은 유대인들은
독일에 남아서 살기로 정했다. 그리고 이들에게 살 수 있는 곳으로 정해준 곳은
다른 곳이 아니라 이들이 잡혀 있었던 수용소땅이었다. 그러나 이번에는 독일군이
아닌 미군과 영국인들이 이들을 돌보았다. 이들에게는 큰 다행이었다. 그리고
이들이 살수 있도록 된 구역에는 미군과 미국유대분배회 (American Jewish Joint
Distribution Committee)에서 옷들과 음식을 나누어주었다.
전쟁을 겪은 유대인들에게 있어서 다시 정착한다는 것은 도전이었다.
첫째로는 이들을 받아줄 나라가 많지 않았다. 미국에서도 이민숫자의 할당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헨리 투르만대통령(Henry Truman)은 1945 년에 약
15,478 명의 유대인들을 받아들였다.76 영국은 계속해서 할당제도를 실시했다.
그리고 영국은 팔레스타인땅에 정착하는 것도 금지하였다. 특히 영국은
팔레스타인지역에 살고있는 아랍인들에게 미움을 사기 원치를 않았다. 그러나
유대인들은 노력해서 팔레스타인땅에 정착하는 것에 성공했다.
그러나 배를 타고 팔레스타인 땅으로 가려다가 바다에서 영국군인들에게
잡혀 사이프레스로 옮겨갔다. 그리고 거기서 이들은 또한번 수용소에 갇히게
되었다. 이렇게 유대인들은 자신들의 고향인 팔레스타인땅을 멀리서 수평선을
보면서 기다렸다.
각주 Footnotes
1 Nora Levin, The Holocause: The Destruction of European Jewry, 1933-1945 (New
York: Schocken Books, 1973). P. xi. 레빈은 말하기를 홀로코스트는 끝난 역사라고
말하고 있다. 홀로코스트로 말미암아 2000 년의 물질적 영적의 문명은 멸망했다고
말한다. 특히 서양문화의 도덕적양심을 오늘도 괴롭히고 있다.
2 그리스어 ‘홀로코스트’와 히브리어 ‘쇼아’의 문화적 해석차이는 있다. 많은
유대교학자들은 홀로코스트라는 단어를 거절한다. 이유는 인간이 번제의
희생이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었으며, 또한 많은 그리스챤들이
홀러코스트를 상징적으로 보는 것도 바람직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유대교학자들은 홀로코스트대신 ‘쇼아’를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많이
사용되는 단어는 홀로코스트이다. George Robinson, Essential Judaism: A Complete
Guide to Beliefs, Customs, and Rituals (New York: Pocket Books, 2000). P. 504.
3 제임스케롤은 질문하기를 교인인 독일인이 대학살에 간접참여함은 고사하고
어떻게 그들과 함께하던 이웃 유대인들이 죽임을 당하는 데 침묵을 지킬 수
있느냐고 물음. James Carroll, Constantine's Sword: The Church and the Jews (Boston
and New York: A Mariner Book, 2001). P. 30.
4 Francis R. Nicosia, Zionism and Anti-Semitism in Nazi German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IV., p. 245.
5 성경에서는 유대인들에 대해 여러면으로 묘사되고 있다. 예를 들어 요한복음서에
나오는 유대인들은 바리세인, 사두개인, 성전수호장, 유대교조직, 산헤드린,
유대교지도자들로 묘사되고 있다. 가장 보편적인 견해는 ‘예수를 대적하는자’들로
되어있다. 요한복음 8 장 44 절에 요한은 “너희는 너의 아비 마귀에게서
났으니”라고 말하고 있다. Paul Johnson, A History of the Jews (San Francisco:
HarperPerennial, 1987). Pp. 145-6.
6 역사적으로 서양 기독교는 유대인들을 마귀로 표현하였다. Robert S. Wistrich,
Hitler and the Holocaust (New York: A Modern Library Chronicles Book, 2001). P. 240.
7 독일의 전통중에 “예수수난극”(Passion Play 또는 Oberammergau Passion Play)는
매년 가을에 있으며 여기 연극에서 유대인들은 예수를 못밖은 자들로 묘사되어
나온다. 독일인들은 이 수난극을 통해서 유대인이 예수를 죽인일을 매년 반복하고
있다.Carroll. pp. 31-6.
8 프로토콜은 러시아에서 1903 년경에 만들어졌으며 저자는 설게이 닐루스(Sergei
Nilus)로 알려져 있다.Max I. Dimont, Jews, God, and History, 2nd ed. (New York: New
American Library, 2003). P. 334.
9 Leon Poliakov, The History of Anti-Semitism, ed. Trans. by George Klin, vol. I, II, III,
IV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1985).
10 민족주의사상의 발전은 매우 복잡한 10 세기의 유럽의 현상이었다. 특히
프랑스의 나폴레옹의 나타남은 국가에대한 충성심과 국민의 순결성을 자극시켰다.
유럽의 왕족이 무너지면서 경제와 문화발전에 전념하였다. 19 세기의 유럽의
민족주의사상은 ‘조상의 땅’(Fatherland)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렇게 온 유럽은
‘조상의 땅’의 개념으로 민족사상을 펼쳐나갔다. Craine Brinton, and John B.
Christopher, Robert Lee Wolf, Robin W. Winks, A History of Civilization: Volume Ii:
1648 to the Present (New Jersey: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Inc., 1984). P. 191.
11 19 세기초 미국내에서 반유대주의는 드물었다. 그리고 반유대주의 사상은
유럽의 작가들(세익스피어, 딕킨스, 월터 스콧트등)의글로 퍼지기도 했다. 특히
미국에서 유대인들은 희생의 양이 되었다.Sydney E. Ahlstrom, A Religious History of
the American People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72). P. 854.
12 Johnson. P. 472. 세계대 1 차대전 전 까지 독일은 질서와 문화의 나라였다. 그러나
전쟁에서 패한 독일은 충격이 너무나 컸다. 이들의 쓴 뿌리와 진노를 쏟을 희생의
양이 필요했다.; 그 당시 희생의 양들중에는 폴랜드인, 유대인, 집시들, 그리고
볼셰비키당원들이 포함되었다. Menahem Mansoor, Jewish History and Thought: An
Introduction (New Jersey: KTAV Publishing House Inc., 1991)., p. 450.
13 오스트로-바바리아경계도시에서 탄생했다. Johnson., p. 471.
14 히틀러는 유대인에 대한 망상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반유대주의 사상에 대한
책들을 많이 읽었다. 특히 프랑스정치사상사였더 요셉 아터드 고비뉴(Joseph Arthur
de Gobineau)(1816-1882)는 ‘노르딕’족과 ‘아리안’족의 우월성을 가르쳤다. 그리고
리차드 바그너(Richard Wagner)역시 이 사상을 받아드렸다.Brinton. p. 330.
15 히틀러의 ‘나의 투쟁’(1925)은 그가 감옥에서 쓴 자서전이다. 책의 중요한 내용은
공산주의 반대와 아리아인(Aryan)민족의 우수성강조와 세계정복이었다. 그는 특히
민족의 순결성을 주장한 나머지 아리아인민족 밖에는 다 폐물로 여겼다. ,
"Encyclopaedia Judaica," (New York: MacMillan and Keter Publishing House, 2007).
ix., p. 327.
16 The Illustrated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ed. Nicholas De Lange (New York and
San Diego: Harcourt Brace & Company, 1997). P. 267. 힘멜은 유대인들이
볼쉐빅주의의 주동자로 보고있음.
17 히틀러는 유대인들이 세계를 지배하려는 꿈이 가장 큰 죄라고 여겼다. David M.
Crowe, The Holocaust: Roots, History, and Aftermath (Boulder, Colorado: Westview
Press, 2008). P. 74.
18 유대인과의 혼합은 성병이라고 말했음.Levin.p. 42.
19 The Illustrated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P. 259.; 특히 히틀러는 동유럽의
유대인들이 백인노예업을 운영했으며 성병을 옮긴자들로 보았다.그리고
독일민족을 타락시킨다고 믿었다. Johnson. P. 473.
20 Johnson., p. 473. 독일에서 성공하고 동화된 유대인들도 타겟의 대상이 되었다.
21 역사적으로 만일 사회지도자들과 종교적지도자들이 힛틀러의 나치의 악행을
보고 항의와 경고를 하였으면 역사는 달라졌을 것이다. 그러나 1933 년 독일에는
이러한 저항을 찾아볼 수 없었다. 유명한 독일철학자 마틴하이데거(Martin
Heidegger)도 나치주의에 동조하였다. Paldiel Mordecai, Saving the Jews: Amazing
Stories of Men and Women Who Defied the "Final Solution" (Rockville, Maryland:
Schreiber Publishing, 2000).p. 33, 310.
22 독일교회가 히틀러를 동조했으나 반대한 교회도 있었다. 이 교회는
‘고백교회’(Confessing Church)였다. 고백교회는 독일제국교회의 신학을 반박하고
나찌지원을 받는 것을 반대하기 위해서 조직되었다.창설자목사는 마르틴
니뮐러(Martin Niemoeller)목사였다. 고백교회의 또 한분의 창설자는
본회퍼(Dietrich Bonhoeffer, 1906-1945)목사였다. 그는 나중에 히틀러 암살모임에
가담하다가 실패하자 교수형에 순교한 목사였다. 1934 년경에
‘바르멘선언’(Barmen Declaration of 1934)을 내어서 나찌를 정면 반대했다.
바르멘선언의 핵심은 예수 그리스도가 오직 하나님의 말씀이시며 모든 인간이
듣고 믿고 순종해야함을 강조하고 있음. Williston and Richard A. Norris Walker,
David W. Lotz, Robert T. Handy, A History of Christian Church (New York: Scribner,
1985). , p. 690, 694.
23 "Encyclopaedia Judaica."IX., p. 328. 1933년 4 월 7 일에 The Restoration of a
Professional Civil Service 를 선포함. 결과는 독일에 모든 유대인들은 공직에서
물러나야 했다.
24 Crowe.pp. 117-121.뉘른베르크 법률는 사이비 과학 원리를 사용해서 만든
유대인에 대한 적대시한 법이였다. 두개의 법이 합쳐진것이다. 첫번째법은 국가
시민의 법(Law of the Reich Citizen)이며. 이법은 오직 순수독일계민족만 시민이
되는 것이였다. 두 번째 법은 독일민족의 혈통을 보전하는 법(Law for the Protection
of German blood and German Honor)였다. 이 법은 유대인들과 독일민족간에
결혼이나 성관계를 금하는 법이였으며, 또한 유대인들은 나이 45 세 미만의 독일계
여성들에대한 고용이 금하여 졌다. 독일국기를 세우는것도 금했졌다. 이 법으로
유대인들은 독일계의 시민권을 박탈 당했다.
25 Levin. P. 45.
26 게쉬타포(Gestapo)는 국가비밀연방경찰(Secret State Police)이었다. 독일어로는
Geheime Staatspolizei 또는 the Gestapo 로 부른다. 최초의 책임자는 헤르만
고어링(Herman Göring)이였다. 바바리아지역 곳곳 마다 게쉬타포는 설립되어
시민들을 감시하였다. 나중에 게쉬타포는 S.S.조직에 흡수됨.Nicosia. P. 112.
27 1934 년이후 부터는 히틀러는 친위대(SS , or Schutzstaffeln) 를 설립해 유대인들과
이들의 행적을 감시했다. Ibid. P. 111.
28 Levin.p.48, 54. 비밀정보부 S.D.는 Sicherheitsdienst 의 약자이다. 낫치당시에 약
100,000 명의 자원 정보제공자들을 고용해 독일 전지역의 국민를 감시또는
조사하였다. 하이드리히는 한때 낫치에 가담하기 전에 양계장을 운영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는 학살의 폭군이 되고 말았다. 그리고 그의 부모는 경건한
천주교인였으며 학교교사였다.
29 그리고 돌격대(S.A. Sturm Abterilungen)라는 전투경찰단체(paramilitary
organization)은 전국을 다니며 공포를 가져왔다. Ibid. p. 27. 이들은
고동색셔츠(brown shirt)를 입었다.Daniel Jonah Goldhagen, Hitler's Willing
Executioners: Ordinary Germans and the Holocaust (New York: Vintage Books, 1997).
P. 91.
30 Levin. p. 54. 참조. 36. 살인특무부대는 나중에 비밀기동부대(Mobile Killing
Squad)로 변해서 특히 러시안 민간인들을 마구 학살하였다.
31 영어로는 ‘Crystal Night 이라고 부름. 이사건은 유대인들을 공격하는 방법으로
이루어 졌으나 대부분의 독일민족에게 좋은 인상을 주지 못했다. 그러나
유대인들에게 당한 피해는 매우 컸다. Christopher R Browning, The Origin of the
Final Solution (Lincoln, Nebraska: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04). P. 10.
32 이디시어는 13 세기 중세고지 독일어에서 부터 나온 언어이며 히브리어와도
혼합해서 사용되었다. 특히동, 중앙유럽권의 아쉬키나지 유대인들이 사용하였다.
히브리어는 학문적 그리고 종교적인 면에서 사용되었으며 이시디어는 일상생활에
사용되기도 했다. Mansoor. P. 389.
33 이 절망의 노래는 전쟁전에 쓰여졌으나 전쟁당시 겟토 그리고 홀로코스트
당시에 불려졌다.
34 이 사건으로 말미암아 독일에서 유대인들의 생업은 끝이 났다. Raymond P.
Scheindlin, A Short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P. 204.
35 1938 년 7 월 6 일 부터 15 일까지 프랑스 에비안에서 열린 이 모임에서 국제
피난민조직(International Committee on Refugees, ICR)을 설립했다. 이 회의에서
독엘에 있는 유대피난민들을 받아주기로 결정을 했다. 그러나 많은 나라들은
결정에 따르지 못했다. Crowe. P. 125.
36 ‘어린이수송’은 ‘깨진유리의 밤’서부터 제 2 차 세계대전사이 약 9 개월 사이에
부모가 없는 아이들을 영국으로 이동시켰다. Martin Gilbert, The Jews in the
Twentieth Century (New York: Schocken Books, 2001).PP. 185-6.
37 1931 년 9 월 1 일 나찌가 폴란드들 침략하면서 부터 폴란드에 살았던 유대인들은
겟토로 다시 몰렸다. 그당시 유럽에서 제일 많은 겟토가 폴란드에 다시 생겨났다.
Crowe. p. 158.
38 바르샤바(Warsaw)는 그당시 독일이 점령한 폴란드에 가장많은 수용소를
소유하고 있었다. 약 400 개의 수용소가 존재했다. “Holocaust”, "Encyclopaedia
Judaica." IX., p. 333.
39 1941 년경만해도 가스실이나 강제노동수용소는 계획단계에 있었다. Gotz Aly,
Final Solution: Nazi Population Policy and the Murder of the European Jews, ed. Trans.
by Belinda Cooper and Allison Brown (London and New York: Arnord Press, 1999). P.
165.
40 Crowe. P. 176-8.
41 Ibid.
42 Ibid. 특히 바르샤바와 크라쿠프는 물품을 생산하는 공장으로도 사용됬다.
43 이들을 유댄랏(Judenrat)이라고 불렀다. 한글로는 유대인공회로 부른다.
44 "Encyclopaedia Judaica." IX., p. 333.; Wistrich. P. 74.
45 세계제 2 차대전이 일어난후 처음 2 년동안에는 홀로코스트의 준비기간이었다.
이 당시 나찌는 연약한자들, 병들은자들, 유대인들을 실험상대로 삼았다. Crowe. pp.
187-8.
46 1941 년경 겟토안에서 굶주림과 병으로 사망한 자들은 하루에 300-400 명씩
되었다. 그외에 총살당한 자들은 포함되지 않았음. 겟토가 설립된 후 일년째
유대인의 43,000 명이 굶주림으로 목슴을 잃었다. Levin. P. 216.
47 독일어로는 durchgangslager이며 독일군이 주장한것은 살균장소로
주장했음.Wistrich.p. 225.
48 이곳은 케슈타포의 의해서 설립된 강제수용소이다. 우방선전으로 많은 노력을
했으나 결국은 살인 수용소로 변했다. 1941 년에서 1945 년 동안에 33,000 명이
이곳에서 목슴을 잃었고 87,000 명은 죽음수용소로 옮겨졌다. 특히 많은
어린아이들(15,000)이 이곳을 거쳐갔다. 많은 유대수용자들은 이곳을 지옥이라고
불렀다. Crowe.
49 특히 아돌프 아이크만은 테레지엔슈타트(Theresienstadt, 체코)에 임시켐프를
세워놓고 마지막해결을 묵인하려고 했음. 임시켐프는 프랑스의 드란시(Drancy)와
불가리아에도 존재해 있었다. Ibid. p. 229.
50 살인특무부대(Murder squad)로 알려져있다. 이부대는 히틀러가 러시아를
침범하고 난 1941 년 6 월에 조직한 부대이다. 이 부대는 특별한 허락없이 러시안들,
유대인들, 집시들을 마구히 살해할 수 있었다. Scheindlin.p. 210.; Yehuda Bauer,
Rethinking the Holocaust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2001). P. 5.
51 RIchard Rhodes, Masters of Death: The Ss-Einsatzgruppen and the Invention of the
Holocaust (New York: Alfred A. Knopf, 2002). P. 114.
52 Ibid. pp. 245-6.
53 Wistrich. 참조 “Collaboration Across Europe” pp. 151-183.
54 총살을 하고온 군인들에게 술을 제공하였다.
55 히틀러는 러시아를 침범하고나서는 그의 마지막 정책인 Final Solution 를
도입하였다. 이것은 조직적이고 계획적으로 유럽에 있는 모든 유대인들을
몰살하는 것이였다. 여기에 주동자는 아돌프 아이크만(Adolf Eichman)이였다.
56 1942 년 1 월 20 일에 모인 Wannsee회의는 사실상 Final Solution 에 대한
행정부분만을 다룬 모임이였다. 모든 것은 이미 1941 년경에 결정되었기 때문이다.
Bauer.p. 176.
57 Crowe.p. 238.
58 벌카나우수용소는 두번째로 넒은곳이었다. Browning. P. 357.
22
59 Crowe.p. 229.
60 Belzec 은 Lublin 에서 85 마일 정도 남동쪽으로 위치한 곳이다.
61 1942 년 2 월 말에 처음으로 가스로 대량학살을 시작했다. Crowe. Pp. 241-2.
62 Sobibo는 Lublin 에서 65 마일 정도 북동쪽으로 위치한 곳이다.1942 년 4 월 부터
1943 년 9 월 까지 25 만명의 유대인들이 대량학살되었음. Ibid. p. 244.
63 이 지역은 676 에이커로 구성된 죽음의 소용소 및 강제노동수용소였다.
3 년사이에 약 50 만명의 수용자들이 지나간곳이다. Ibid. pp. 263-6.
64 Auschwitz의 다음으로 악명이 높은 죽음수용서였다. Ibid. pp. 247-251.
65 영어로 The Factory of Death 라고 불리울 만큼 잔인한 곳이였다. Ibid. pp. 255-6.
66 이 가스는 쥐약또는 살충제였다. Ibid. p. 232.
67 아우슈비츠수용소는 3 게가 있었으나 하나로 불리우기도 하다. 각 각 기능이
달랐다. Auschwitz I 은 전쟁포로수용소이었으며, Auschwitz II-Birkenau 는
죽음수용소였으며 Auschwitz-Buna-Mnowitz III 는 강제노동수용소로 나누어졌다.
“Holocaust”, "Encyclopaedia Judaica." IX., p. 337.
68 어떤학자는 이 상황을 이사야서에 나오는 죽임을 당하는양과 비교하기도 했다.
From the Unthinkable to the Unavoidable: American Christian and Jewish Scholars
Encounter the Holocaust, ed. Carol Rittner and John K. Roth (Westport, Connecticut:
Praeger, 1997). P. 25.
69 "Encyclopaedia Judaica." p. 338.
70 또는 유대인들이 반항할 힘이 없었으며 또한 나찌의 교활한 숫법은 그당시 이겨
낼 수 가없었다. From the Unthinkable to the Unavoidable: American Christian and
Jewish Scholars Encounter the Holocaust. P. 25.
71 어떤학자들은 어떻게 이렇게 많은 반란이 일어났느냐는 질문도 했다. Ibid.
72 이 반란은 처음에 1943 년 1 월 18 일에 시작되었으며 4 월 19 일 부터 5 월 16 일
동안에 매우 중요한 사건들이 일어났다. 홀로코스트반란들중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주었던 사건이었다. Crowe. Pp. 266-271.
73 미군은 강제수용소를 찾아온것이 아니라 발견한것이다. 그외에 지역들은
올드럽프(Ohrdruf), 놀드하우센(Nordhausen), 부센발트(Buchenwald), 다카우(Dachau)
마우다우센(Mauthausen)등의 강제수용소들이였다. Michael Berenbaum, Witness to
the Holocaust (New York: HarperCollinsPublishers, 1997).pp. 305-6.
74 러시아군인이 이곳에 도착한 때는 1944 년 7 월이였다. Ibid.
75 유대인들은 돌아갈곳이 없었다. 이들의 고향들은 다 폐허가가 되었다. Ibid. P.
306.
76 Ibid. p. 307.그러나 1957 년까지 유대인이 미국에 온 숫자는 100,000 명이 안됬다.
참고문헌 Bibliography
Ahlstrom, Sydney E. A Religious History of the American People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72.
Aly, Gotz. Final Solution: Nazi Population Policy and the Murder of the European Jews,
Edited by Trans. by Belinda Cooper and Allison Brown. London and New York:
Arnord Press, 1999.
Bauer, Yehuda. Rethinking the Holocaust.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2001.
Berenbaum, Michael. Witness to the Holocaust. New York: HarperCollinsPublishers,
1997.
Crowe, David M. The Holocaust: Roots, History, and Aftermath (Boulder, Colorado:
Westview Press, 2008.
Craine Brinton, and John B. Christopher, Robert Lee Wolf, Robin W. Winks, A History
of Civilization: Volume Ii: 1648 to the Present (New Jersey: Englewood Cliffs: Prentice-
Hall, Inc., 1984)
Dimont, Max I. Jews, God, and History, 2nd ed. New York: New American Library,
2003.
"Encyclopaedia Judaica," New York: MacMillan and Keter Publishing House, 2007.
Gilbert, Martin. The Jews in the Twentieth Century (New York: Schocken Books, 2001.
Goldhagen, Daniel Jonah. Hitler's Willing Executioners: Ordinary Germans and the
Holocaust. New York: Vintage Books, 1997.
The Illustrated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ed. Nicholas De Lange (New York and San
Diego: Harcourt Brace & Company, 1997.
Menahem Mansoor, Jewish History and Thought: An Introduction (New Jersey: KTAV
Publishing House Inc., 1991
Mordecai, Paldiel. Saving the Jews: Amazing Stories of Men and Women Who Defied the
"Final Solution". Rockville, Maryland: Schreiber Publishing, 2000.
Nicosia, Francis R. Zionism and Anti-Semitism in Nazi German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Levin, Nora. The Holocaust: The Destruction of European Jewry, 1933-1945. New York:
Schocken Books, 1973.
Robinson, George. Essential Judaism: A Complete Guide to Beliefs, Customs, and
Rituals New York: Pocket Books, 2000.
Sarna, Jonathan D., American Judaism: A History. New Haven &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2004.
Scheindlin, Raymond P. A Short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Rittner, Carol and John K. Roth. From the Unthinkable to the Unavoidable: American
Christian and Jewish Scholars Encounter the Holocaust. Westport, Connecticut: Praeger,
1997.
Walker Williston and Richard A. Norris and David W. Lotz, Robert T. Handy, A History
of Christian Church. New York: Scribner, 1985.
Wistrich, Robert S. Hitler and the Holocaust. New York: A Modern Library Chronicles
Book,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