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1. 미국에 사는 유대인의 삶
Jews in America
유대인들의 신대륙 도착은 유럽인들 중에서 첫번째 이민자들이었다. 1 콜럼버스가
신대륙을 찾아서 도착했을때 그는 유대인들의 도움없이는 불 가능하였다. 어떤
설에는콜럼버스가 유대인의이었다는 설 도 있다.2 그는 이탈리아인이었으나 그의 성
콜럼버스는 유대인들 가운데 흔한 이름이었다.3 그리고 콜럼버스가 신대륙을 향해 떠날때
그는 유대인들의 도움을 받았다.
두명의 유대인이 콜럼버스가 항해할 수 있도록 도왔다. 그의 항해노선을 그려준
사람은 아브람 사쿠토(Abram Zacuto)였다. 그리고 콜럼버스의 항해 운항측정기를
만든자는 요셉 베치호(Joseph Vechinho)였다. 콜럼버스가 새 대륙에 도착했을때 제일먼저
발을 디딘자는 그의 통역관이었던 루이스 드 토레스(Luis de Torres)였다. 토레스는
유대인이었으며 새 대륙을 항해하기 위해서 세례를 받았다.
유대인들이 남미(South America)에 옮겨오게 된 이유는 스페인과
포르투갈(Portugal)에서 추방당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두나라의 이민정책은
유대인들이 새 대륙에 옮겨가는 것을 금지했다. 그러나 이러한 금지령에도 불구하고
마라노4들은 새 대륙을 향해 나아갔다. 마라노들중에는 처음으로 1519 년에
멕시코(Mexico)를 발견한 허난도 코테즈(Hernando Cortez)와 같이 동행한자들도 있었다.
그러나 종교 재판소는 유대인들을 조사한 후에 많은 자들을 불로 화형시켰다. 그래서
신대륙에서도 유대인들은 피를 흘리게 되었다.5 특히 교회에서 새땅을 지배하기 위해서
매우 노력을 많이 했다. 거기에는 유대인들은 포함되지않았다. 1577 년에 드디어 스페인은
유대인에 대한 금지령을 폐지하고 이들이 새 대륙에 옮겨가는 것을 허락하였다.
많은 유대인들은 포르투갈의 식민지인 브라질(Brazil)에도 가서 정착하였다.6
그리고 놀라운것은 브라질의 첫번째 시장이 유대인이 되었다. 유대인들은 그곳에서
설탕농장을 경영하였고 또한 보석들을 매매하였다. 쉐파르딕 유대인들은 1630 년도에
브라질에 도착해서 무역을 하였다.7
유대인들의 추방정책은 새 대륙인 남미에서도 펼쳐졌다.8 그래서 남미에 정착한
유대인들은 또 다시 다른 나라들로 옮겨가야만했다. 이들은 북미 또는 발바도스
(Barbados)또는 자메이카(Jamaica)로 떠났다. 그래서 오늘날에도 이 지역에는 유대인들의
산 흔적들이 남아있다.
계속해서 유대인들은 영국인 영토, 화란계 영토 그리고 프랑스 식민지 근역에서
살았다. 그리고 카리브해, 발바도스, 마티니크와 구라카오와 수리남에서도 유대인들은
정착하였다.
디아스포라들이 산 지역은 거의 도시근처였다. 남미에서도 유대인들은 거의
도시속에서 정착했다. 남미에 가장 유대인 인구가 많은 곳은 아르젠틴의 부에노스
아이레스(Buenos Aires)에 25 만명, 상 파울로(San Paulo)에 75,000, 그리고
리오데쟈네이로(Rio de Janeiro)에 55,000, 그리고 우루과이 (Uruguay) 몽테비데오
(Montevideo)에 48,000 명이 살았고 멕시코시(Mexico City)에 32,000 명, 그리고 체레의
상티아고에 25,000 명의 유대인들이 정착했다.9
북미에 정착한 유대인들은 1654 년경으로 올라간다.10 그당시 뉴암스텔담(지금
뉴욕)에 23명의 스파르딕 유대인들이 도착했다. 이 그릅들은 브라질에서 추방당한
자들이었다. 그 당시에 시장이었던 피터 스투베잔트는 유대인을 거절하였다. 이유는
그리스도를 못밖힌 자들이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상업의 관계와 더치 웨스트
인디아회사(Dutch West India Company)의 압력으로 이들을 받아 주기로하였다. 뉴
암스텔담에 거처한 유대인들은 동등한 취급을 받지 못하였다. 그런 후 영국과 화란은
전쟁을 통해서 이긴 영국이 뉴 암스테담을을 뉴욕으로 이름을 바꾸었다.11 영국인은 유대인들에게 시민권을 부여하고 시민으로써
동등하게 취급하였다.12
1677 년도에 유대인들이 로드아이란드의 도시인 뉴포드에 정착하면서 이들은
최초의 회당을 지었다. 여기에 중심 인물은 이삭 트우로(Issac Touro)였다. 트우로는
뉴암스텔담에서 올라온 사람이다. 그는 1763 년도 12 월 2 일에 20 명의 가족을 데리고
트우로회당(Touro Synagogue)의 헌당식을 올렸다. 이것은 유대인들의 북미에서 처음있는
헌당식이었다.13
미국의 최초의 대통령이었던 조지 워싱톤이 뉴포트에 도착했을 때 동네모임이
회당에서 모였다. 여기에 워싱톤대통령이 참여하였다. 그리고 지금도 워싱톤이 쓴 편지가
벽에 걸려있다.14 그러나 뉴포트근처의 유대인들은 미국의 식민지 전쟁이 끝난 후에는
거의 남아있지 않았다. 오늘날 트우로회당은 박물관으로 남아있다.
오늘날 유대인의 미국역사에서 트우로 회당은 제일 오래 된 유대인 회당으로
알려져있다. 회당의 설계자는 피터 해리슨이었다. 그는 18 세기 유명한 미국인 설계자였다.
그리고 회당은 1946 년에 미국의 역사적인 건물로 기록되어있다.
유대인들은 미국내에서 이민 생활을 활발하게 펼쳐나갔다. 그리고 미국의 중북부
그리고 중남미 쪽으로 계속 이동하면서 증가하였다. 남쪽에서는 서바나, 챨스톤, 그리고
필라델피아쪽으로 이동했다. 미국의 각 주에서 이들은 시민권자로서 온갖 권위를 다
누렸다. 그당시 미국은 종교에 대한 법이 없었으므로 유대인들은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래서 유럽과는 달리 유대인들이 미국의 주류사회에 진출하는데 큰 어려움을
느끼지 않았다. 그리고 미국인들과 같이 동등하게 생활을 하였다15.
카나다에 유대인들이 정착한 때는 1759 년도 쯤이었다.16 그 당시 카나다는 영국과
프랑스가 주관하고 있었다. 그리고 프랑스와 인디안 전쟁에서 프랑스가 승리할 무렵에
유대인들이 카나다에 정착하기 시작하였다. 유대인들의 숫자는 그렇게 많지는 않았다.
1881 년경에는 숫자는 2,000 명 정도였다. 그러나 1961 년 이민자들의 숫자는
280,000 명으로 늘어났다. 이렇게 카나다에도 유대인들의 숫자가 늘고 있었다.17
미국의 유대인들은 미국이 영국과 1776 년독립전쟁 당시 2,000 명가량 되었다.
이들은 거의 쉬파딤 유대인들 이었다. 이 숫자는 미국 13 군데의 식민지에 퍼져있었다.
유대인들은 미국의 독립을 위해서 싸웠다. 그리고 죽음을 당한 자들도 유대인쪽이 많았다.
그리고 유대인들은 미국 독립 전쟁당시 재정으로도 많은 지원을 하였다. 특히 유대인
재정가였던 하임 솔로몬(Haym Salomon)은 그의 모든 재산을 전쟁비용으로 내놓은 다음
가난한 상태에서 죽었다.18
영국에서 부터 독립을 한 미국은 이제 유럽의 유대인들에게는 새로운 땅이었으며
또한 기회의 나라였다.19 물론 아직도 많은 식민지에서는 유대인들에게 시민권을
허락하지 않았다. 1820 년경서 부터 1881 년사이에 미국에 온 유럽인들은 독일어를
사용하는 유대인들이었다. 처음에 정착해서 이들은 상인으로 시작했으나 곧 소규모의
사업가로 변해갔다. 여기에서 미국과 전 세계에 영향력을 준 유대인들을
소개하고자한다.20
레위 스트라스(Levi Strauss)는 리바이스 청바지(Levi’s Jeans)를 만든 사업가였다.
챨스 불루밍데일(Charles Bloomingdale)은 불루밍데일의 백화점을 창설한 자이다.
마커스 골드만(Marcus Goldman)은 주식회사와 금융계의 재정가 골드만과
삭크(Goldman Sachs)를 창설한 자이다.
야곱 쉬프(Jacob Schiff)는 금융회사인 쿤, 레옵과 회사(Kuhn, Loeb & Co.)를 이끈
자이다.
줄리어스 로스발드(Julius Rosebald)는 Sears 의 메일오더를 도입한 자이다.
요셉 셀리그만(Joseph Saligman)은 미국의 식민전쟁 때에 재정을 맡은 자였다.
미대통령 그랜트가 세리그만에게 재정장관을 제의했으나 거절했다.
이렇게 유대인들이 공적을 나타낼 수 있었던것은 미국의 자유주의와 유대인들의
자유를 허락한것이다. 그리고 많은 미국에 정착한 유대인들은 계몽주의의 정신을
이어받은자들이었다. 이들은 자유를 숭배하였으며, 주제넘지 않게 행동하였으며,
자신에대한 내색을 하지않았다. 그리고 이들의 신앙은 개혁유대교를 선호했다. 미국에
200 의 회당이 있었으나 약 90 퍼센트는 개혁유대교의 회당이었다. 뉴욕의 회당
임마누엘(Temple Immanuel)은 세계에서 가장큰 회당이다.21
세계 제 1 차대전 전 60 년경에 미국에는 300 만명의 유럽인들이 미국에 이민을
왔다. 거기에는 아일랜드계, 스웨덴계, 독일계, 이탈리안계, 폴란드계, 슬라빅계 그리고
다른 민족들이 섞여 있었다. 이들가운데 유대인들은 2.6 백만명이었다. 이민자들이
미국에 들어왔을때 자유의 여신상을 보고 희망을 가졌다.
자유의 여신상에 적혀있는 시가 이렇게 써있다: Give me your tired, your poor Your
huddled masses yearning to breathe free…이시는 미국계 유대인이 쓴 시이다. 그의 이름은
엠마 나자로스(1849-1887)였다. 그녀 자신도 러시아의 학살사건당시 도망나온 자이다.
엠마는 그녀의 일생을 시와 글을 통해서 유대인들과 유대교를 위해서 헌신했다.
미국의 유대교 이민역사는 러시아의 학살사건때에 건너 온 자들도 많았다. 러시아
학살22당시 동 유럽에서 미국으로 건너온 유대인들은 매년 5 만명이나 되었다. 그리고
1914 년까지는 이들은 미국을 택했다. 그당시 미국에 건너온 유대인들의 숫자는
2 년사이에 38,000 명이나 되었다. 그리고 난 후 약 7 년간은 매년 37,000 명씩이나 되었다.
그리고나서 1903 년에서 1914 년사이에는 약 76,000 명이 미국에 정착하였다.23
한편 유대교의 지도자들은 미국이 다 좋은 나라만은 아니란 것을 느꼈다. 특히
미국은 마치 황금 송아지와 같은 물질 만능주의 나라였다. 그리고 영적으로는 매우 위험한
나라라고 생각하였다. 24그래서 물질로는 풍부하였지만 유대인들이 정체성을 유지하는
데는 매우 위험한 곳 이라고 여겼다. 그리고 많은 유대인들은 유대교를 떠나고 있었다. 그
이유는 이들은 미국화가 되가고 있었다.25 그런면에서 유대교의 랍비들의 염려는
현실이었다.26 그리고 많은 유대인들은 유대교안에서도 자유주의 쪽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이런 가운데 재건 유대교(Reconstructionists Judaism)가 탄생하였다.27 재건
유대교는 유대교를 다시 살려보려는 것이었다.
어떤 유대인들은 미국을 떠나서 이스라엘로 돌아간 자들도 있었다. 이들의
생각에는 미국의 삶은 유대교에 맞지 않는 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바르게 유대교를
지키려며는 이스라엘로 돌아가야 한다고 믿었다.
19 세기 미국에서 중류층의 삶을 사는 유대인들에게는 새로운 도전을 받았다.
이것은 동 유럽에서 온 유대인들이었다. 이들을 오스트쥬덴(Ostjuden)이라고 불렀다. 이
뜻은 동쪽의 유대인이라는 의미다. 오스트쥬덴은 가난한 동 유럽에서 온 자들로서 매우
미신적이었으며 정통 유대교파들이었다. 그리고 언어로는 이디시(Yiddish)를 사용했다.
독일계 유대인들은 이들을 멀리하려고 하였으며 또한 이들과 함께 살려고도 하지
않았다.28
독일에서와 영국에서 온 유대인들은 뉴욕의 동쪽 아래쪽에 자리를 잡았다. 그리고
나머지 유대인들은 북동쪽 지방에 정착지를 정했다. 1910 년에는 약 540,000 명의
유대인들의 동쪽아래에 살고있었으며 한가족이 좁은 곳에서 함께 살기도 하였다. 이들은
이민와서 봉제공장이나 양복점에서 일들을 하였다. 이들의 노동비는 매우 적었다. 그리고
긴 시간 일을 했다. 일주일에 칠일씩 일을 했으며 하루에 열 시간씩 일을 했다. 일하는
장소는 매우 원시적이었다. 그리고 여기에서 착취공장(스웻샵, sweatshops)이라는 단어가
나왔다.
이러한 어려운 환경속에서도 이민자들은 서로 도우며 이들의 삶을 이끌어 나갔다.
이들은 동네조합을 설립해서 이민자들의 필요한것들을 제공 해주었다. 동네조합은
회당을 유지하였으며 병든자들과 장례에 필요한 보험을 들어주었다. 그리고 극장도
생겨났으며 이디시(Yiddish) 신문도 발행되었다. 그리고 온 지역이 안식일에는 함께
준수하였다.
동쪽 아래지역에사는 유대인들은 이들의 세계를 조성하였다. 그리고 다른 지역에
사는 자들도 같은 제도를 유지했다. 이제 뉴욕은 유대인들이 가장 많이 사는 지역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1929 년에는 백육십사만명의 유대인들이 뉴욕에 살았다. 이러한 숫자는
뉴욕 인구중에 29 퍼센트나 되었다. 이들은 또한 신문산업과 출판산업들을 도맡았다. 아더
헤이스 잘즈버거(Arthur Hays Sulzberger) 와 아더 오큭(Arthur Ochs)은 세계적인 신문인
뉴욕타임즈(New York Times)를 발행하였다. 그리고 Viking 출판사, Simon & Schuster,
Alfred Knopf 과 Random House들은 다 유대인들이 세운 세계적인 출판사들이다. 그리고
백화점으로는 Altman Brothers, Macy’s, Gimbels, Stersn, Abraham & Straus 와
블루밍데일이있다.
1 세 이민자들은 열심히 일하고 헌신함으로 기회의 나라인 미국에서 빛나는
업적들을 쌓았다. 그리고 미국의 주류사회 뿐 아니라 중직까지 올라갔다. 이들은 진보해서
미국에서 중류층에 속하게 되었으며 또한 부촌동네에 집을 사고 살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민자들의 자녀들은 좋은 교육을 받게 되었으며 후세들은 나중에 미국의 전 분야에서
활동을 하게 되었다. 특히 유대인들중에 의사와 변호사와 선생은 빼 놓을 수 없는
직종이었다. 유대교인이라는 종교의 차별을 찾아볼 수 없었다. (물론 미국인들의개인
감정은 어쩔 수 없었다.) 그리고 많은 유대인들은 정치쪽에서도 활동을 하였다.
합법적인 상황에서 미국은 종교 또는 인종차별이 없는 나라였다. 그러나 미국인들
중에는 많은 자들이 옛 유럽의 반유대인 감정과 증오를 가지고 있었다. 특히 상류층으로
올라가려는 유대인들에게는 반유대인 감정을 극복해야만 하였다. 그리고 매년 들어오는
유대인들에 대한 감정도 높아갔다.
이렇게 미국의 헌법 그리고 시민의 권리를 보호하는
법칙을 가진 나라에서도 차별과 적대감은 미국인 개인에게서는 사라지지 않았다.29
19 세기의 미국은 유대인들에게 별다른 위협을 주지 않았지만 정치계를 지향하는
자들에게는 높은 벽과 차별이 있었다. 그래서 많은 유대인들은 정치에 참여하지 못했다.
미국 독립 전쟁당시에는 미국의 연방정부는 힘이없었다. 오직 각 주에서 행세하는 권위가
더 강했다. 그래서 특히 민족적인 법은 연방정부의 영향보다는 주에서 관할하는 영향이 더
컸다. 1820 년에 드디어 미국의 각 주에서는 유대인들에게도 시민권을 허락하였다.
미국 식민전쟁때에는 유대인들에 대한 감정이 별로 좋지는 않았다. 이유는
유대인들의 태도였다. 북쪽의 미국인들은 남쪽을 돕는 유대인들을 미워했으며 또한
남쪽의 미국인들은 북쪽을 돕는 유대인들을 미워했다. 그래서 미국인들 눈에는
유대인들을 악으로 인정하고 믿지못할 민족으로 못 박았다.30 역사적으로 유대인들은
그들이 사는 곳에서 충성했다. 미국 식민전쟁 중, 북부를 위해서 싸운유대인은 약
7,000 명이나 되었고 남부를 위해서 싸운 유대인들은 3,000 명이나 되었다. 이들이 다
그들의 살고 있는 곳을 사랑해서 싸웠다.31
또 하나의 반유대인감정은 유대인들의 배경이었다. 미국은 크리스챤국가었다.
그리고 유대인들은 밖에 속한 자들이었다. 식민전쟁과 제 1 차세계대전사이에 3 천만명의
유럽의 이민자들이 미국으로 이민왔다. 이들 이민자들 중에는 폴란드 천주교인들과
독일계 천주교인들이 대 부분이였다. 이들은 유대인들을 그리스도를 죽인 자 들로
보고있었다.32 그래서 유대인들을 더욱 미워했다. 그리고 반유대인감정의 다른 원인은
1930 년도에 있었던 대불황이였다. 대불황의 원인을 유대인들의 금융업자들의 책임으로
돌렸다. 33 그당시의 증권시장의 폭락을 유대인들의 책임으로 돌린것이다. 이렇게 해서
19 세기에 산 유대인들은 계속해서 차별과 미움을 받았다.
20 세기의 유대인들은 이제 공식적인 차별을 받았다. 다음과 같은 제한이 주어졌다.
이민숫자의 제한, 명문대학34, 대학원, 소셜클럽, 호텔과 지역에 제한을 받음, 그리고
군대에서 반유대인 대접을 받음, 그리고 폭력을 당함, 그리고 사업소, 은행, 병원 그리고
회사, 법률회사들에서 입사를 거절당함등등으로 이들은 인종차별 대우를 미국에서도
받았다.35
이민숫자의 제한 만 빼놓고는 다 개인적이거나 개인회사에서 일어난 일들이다.
그리고 정부에서는 노골적으로 유대인들을 차별하는 일이 그리 많지는 않았다. 그리고
정부나 공공단체에서 유대인들을 공식적으로 공격하거나 켐페인을 벌리지는 않았다.
미국에 Brandeis 대학교는 1948 년에 유대인 아브람 사카(Abram Sachar)가
세운대학으로써, 종교성을 갖지 않은 것을 목적으로 유대인들학생들에게 최고의
고등교육을 시키려고 하였다. Brandeis 는 미국의 최초의 유대인 대법원 판사였다. 그리고
대학교는 그의 이름을 따서 세웠다.36
보편적으로 미국의 유대인에 대한 대우는 제 2 차세계대전이후에 원만해졌다.
특히 히틀러의 유대인 대학살사건을 통해서 전 세계는 유대인의 고통을 이해하게 되었다.
미군이 강제수용소를 목격하고 나서 이것들을 미국인들에게 알리게 되었다. 이제
반유대인사상은 더 이상 국가적으로는 허용하지 않았다.
1970 년도에는 약 5.8 백만명의 유대인들이 미국에 살고 있었다. 그리고
1990 년도에는 약 5.5 백만명의 유대인이 살고 있었다. 그리고 2001-2002 년에는
5.2 백만명으로 숫자가 계속 줄어가고 있었다.
미국에서 이렇게 유대인들의 인구가 줄어드는 이유는 유럽이나 러시아의
반유대인정책이나 학살 때문에 줄어든 것이 아니다. 또 유대인들이 그리스도인으로
개종하거나 추방당했거나 죽임을 당해서 줄어든 것도 아니다. 오늘날 유대인들의 숫자가
줄어든 이유는 유대인들이 미국에서 미국화되었거나(Assimilation) 또는 혼합결혼의
원인에있다. 그리고 새 시대의 유대인들은 이제 당당한 미국인이었고 유대인의 정체를
기억하지 못한다.
유대인들은 계속해서 미국전역 중요한 대 도시에 정착을 한다. 대뉴욕지역에는
2 백만 유대인들이 살고 있으며, 로스엔젤레스는 455,000 명, 그리고 필라델피아는
295,000 명, 그리고 시카고는 250,000 명, 마이애미는 225,000 명의 유대인들이 살고있다.
로스엔젤레스만 제외하고는 유대인들은 동부 해안쪽으로 거주하고 있다. 예를 들면, 뉴욕,
펜실바니아, 메릴랜드, 뉴저지 와 플로라다쪽에 대부분 유대인들이 거처하고있다.
유대인들의 미국 정치참여는 매우 뒤늦게 열렸다. 특히 1826 년에서 부터 노력한
유대인들의 정치열망은 드디어 열리기 시작했다. 솔로몬 에팅(Solomon Etting)은 처음으로
유대인으로서 메릴랜드의 공직에 참여했으며, 볼트모어 시의원까지 참여하였다.
이후로는 유대인들은 이제 대통령의 보좌관으로 임명을 받았다. 그리고 미국의
대법원판사37와 법률계에 많이 참여 하였다.38
주정부와 시정부차원에서도 유대인들은 눈부신 활약을 나타냈다. 미국의 인구
중퍼센트로 볼 때에는 유대인은 소수민족에 속하지만 이들의 정치참여는 어느
소수민족보다 높았다. 이러한 현상은 이들의 우수성을 보여주고있다. 특히 200 년도
대통령 선거때에 미국역사상 처음으로 유대인이 부통령후보로 뽑혔다. 요셉
리버만(Joseph Liberman)은 미국의 대표적 정치당인 민주당(Democrat) 멤버로서 그는
당당하게 유대인으로서 미국 정치참여에의 가능성을 현실화 해놓았다.
각주
Footnotes
1 유대인의 역사를 보며는 1585 년에 이미 신대륙에 유대인이 살고 있었음. 요아킴 가운세(Joachim
Gaunse)가 야금술인으로 로아노키 섬에서 일하고 있었음. Jonathan Sanrna D., American Judaism: A History
(New Haven &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2004), p. 1.
2 그는 그의 가족배경을 널리 말하지 않았다. 그러는 그는 애매하게 말하면서 그의 조상이 다윗이였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이탈리아 제노아 마라노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다. "Encyclopaedia Judaica," (New
York: MacMillan and Keter Publishing House, 2007). v. p. 70.
3 콜럼버스는 이탈리아(Italy) 제노아(Genona)에서 출생하였으며 그의 부모는 유대인으로서
스페인(Spain)에서 망명나온자들임. 특히 콜론(Colon)또는 콜럼보(Columbo)는 중세시대 이탈리안-유대인들
사이에 흔한 이름이었음.”Columbus, Christopher”, Encylopaedia Judaica V, p. 756.
4 마라노(Marrano)는 유대인-크리스챤을 불명예스럽게 부르는 명칭이었음.
스페인 언어로 돼지: 유대인들의 별명임. “Marrano”, Encylopaedia Judaica XI, p. 1018.
5 1569 년 부터는 종교재판소(Inquisition)는 신대륙에서도 탄압이 시작되었음. Sarna, pp. 4-5.
6 “Brazil”, Encylopaedia Judaica IV, pp. 1322-1335.
7 1630 년도에 화란(Holland)이 브라질을 폴투기에서 부터 정복했다. 그리고 화란 서인도 회사 (Dutch West
India Company)는 브라질로 투자자들을 찾기 시작했고 유대인들은 브라질과 무역을 시작했음. Sarna, p. 6-7.
8 폴투갈이 브라질을 재 정복하게 되었으며 유대인들은 3 개월안에 브라질을 떠나야만 했음. 많은
유대인들은 암스텔담(오늘날 뉴욕)으로 이민을 떠나게됨. Sarna, p. 7.
9 참조. Encylopaedia Judaica I-XI,
10 1654 년 9 월에 유대피난민들은 (Ste Catherine)을 타고서 뉴 암스텔뎀에 도착했음. 그리고 훗날에
유대인들은 이들을 유대청교단(Jewish Pilgrime Fathers)라고 부름. Sarna, p. 8. 참조. New York City”,
Encylopaedia Judaica XII, p. 1062.
11 1664 년에 화란은 영국에게 뉴 암스텔뎀을 념겨주었음. Ibid., 1063.
12 영국은 이들에게 많은 혜택과 자유를 부여했음. 공무원직위와 정치에 참여할 수 있은 특혜를 허락했음.
Ibid.
13 회당의 처음이름은 Jeshuat Israel 이라 불렸음. Sarna, p. 17.
14 로드 아이랜드의 유대인들과 죠지 워싱톤의 편지가 오고 간것은 마치 옛날에 왕이 직위했을때 각 나라가
대사들을 보내 왕을 축하하는 것으로 비유가 됨. 워싱톤은 유대인들에게 종교의 자유를 허락할것을 약속함.
Sarna, p. 38-39.
15 18 세기당시만해도 유럽은 모든 종교가 정부의 관섭을 받았으나 미국에 사는 유대인들은 그러한 제지를
받지 않았음. 특히 미국은 종교가 국가로 부터 자유함을 받았으며 특히 독립전쟁전에도 미국은 여러 종파가
섞여사는 곳이므로 유대인들에 있어서 큰 제한을 받지 안았음. Ibid., p. 16.
16 유대인들의 카나다 정착의 연대는 1759 년으로 보고 있음. 그당시 영국이 불란서인들에게서 넘겨 받음.
“Canada”, Encylopaedia Judaica V, p. 102.
17 Ibid.
18 살로몬(Salomon)또는 솔로몬(Solomon)(1740-1785)은 미국의 사업가이며 독립전쟁 애국자였음. 그는
생전에 그의 모든 재산을 정부증권에 투자를 했으며 전쟁이 끝날때 그의 소유는 적자였음. “Salomon Haym”,
Encylopaedia Judaica XIV, p. 695-96.
19 유대인들의 이민자들을 분석하면 3 종류로 구분한다. 첫번째는 신앙을 철저하게 지킬려고 노력하는
신앙자들; 두번째는 미국에서 물질적 성공을 위해서 신앙까지 희생하는 물질주의자들; 셋째는
정치적사상을 가지고 미국에서 활동을 하려는 사상자들이 있었다. Sarna, p. 158.
20 참조. Encylopaedia Judaica I-XVI.
21 임마누엘 회당은 뉴욕에서 제일 오래 되고, 가장 부하고 가장 명성이 있는 개혁파회당(Reform
congregation)이었다. 영어로는 Temple Emanu-El of New York 임. Sarna, p. 256.
22 러시아의 학살을 Pogroms(attack)이라고 부른다. 이 단어를 여러면으로 사용되나 특히 러시아에서
유대인학살을 언급할때 사용된다. 특히 1881-1921 년까지 빚어진 떄를 ‘포그롬’이라고 함. “Pogroms”,
Encylopaedia Judaica XIII, p. 694-701.
23 참조. “Russia”, Encylopaedia Judaica XIV, p. 433-505.
24 Sarna, pp. 228, 231, 235.
25 Ibid., 233-35.
26 랍비 마이어 하 코헨(Rabbi Meir ha-Kohen)은 신 대륙으로 가는 이민자들에게 재물에 유혹을 당해서
신앙을 잃어버릴 염려를 했음. 그리고 그곳에 오래 있으면 있을 수 록 그 들과 그 들의 자녀들의 신앙이
위협을 받을 것을 예언했음. 랍비 야곱 다윗 윌로스키(Rabbi Jacob David Willowski)은 미국은 돌 마저도
더럽다고 말했으나 3 년 후에 시카고에 정착함. 그러나 많은 랍비들은 미국의 대한 경고는 계속됬음. Sarna,
p. 154-5.
27 재건파 유대교는 모르데가 므나헴 카플린(Mordecai Menahem Kaplin)이 창설했음. 다른 유대교와는 달리
현세에 중심을 두면서 세상에서 많은 문제들이 해결될것을 주장했음. 참조. “Reconstructionism”,
Encylopaedia Judaica XIII, p. 1615.
28 1955 년경에는 동 유럽에서 온 유대인들과 독일계 유대인의 차이가 점차 줄어들었음. 그래서 이들은 다
중류층에 속했음. Sarna, p. 277.
29 미국에는 반 유대주의(Antisemitism)라는 제도가 있었음. 미국에서 17 세기 부터 19 세기 까지 존속했음.
Sarna, p. 216.
30 미국의 식민전쟁은 유대인들에게 있어서도 분열을 가져왔음. 북부에 살은 자들은 연방군을 지지했으며
남부에 사는 자들은 동맹군을 지지했음. Sarna, p. 112-3.
31 A. Meyer, American Jew in the Civil War, pp. 277-280.
32 캐톨릭에서 “We Remember”공식문을 선포했음. 내용은 캐톨릭교회가 세계 2 차 대전 때 침묵을 지킨것을
인정하는 문서임. 천주교에서는 한때 유대인들이 그리스도를 죽인것을 인정하고 책임을 유대인에게 있는
것을 가르쳤음. James Carroll, Constantine’s Sword: The Church and the Jews (Boston: A Mariner Book, 2001), p.
27.
33 1930 년 12 월 11 일, 경제대불황은 유대인에게 큰 충격이었음. 유대인이 설립한 Bank of the United States
가 몇 십년 만에 무너지고 말았음. 이로 말미암아 손실을 모든 자들에게 있었음. 특히 20%의 부유층과
열명중에 한명의 유대인들은 사업과 단체에 큰 손실을 보았음. Sarna, p. 255-58.
34 특히 일류대학교에서는 입학할당이 도입되었음.그래서 하바드(Harvard)대학에 못 들어간
유대인학생들은 유대인하바드라는 City College of New York 에서 공부를 하기도했음. Sarna, pp. 219-221.
35 Ibid.
36 참조. “Brandeis, Louis Dembitz”, Encylopaedia Judaica IV, pp. 1295-1301.
37 룻 베이더 긴스버그(Ruth Bader Ginsberg)는 1993 년에 처음으로 유대인 여성으로서 미국 대법원 판사로
임명받았음. Martin Gilbert, The Twentieth Century (New York: Schocken Books, 2001), p. 352.
38 Ibid., 353.
참고 문헌 Bibliography
Carroll, James. Constantine’s Sword: The Church and the Jews. Boston: A Mariner Book, 2001.
Encyclopedia Judaica. New York: MacMillan and Keter Publishing House, 2007.
Sarna, Jonathan Sanrna D. American Judaism: A History. New Haven &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