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6. 이슬람교속에서 사는 유대인들
Jews Living among the Islam Setting
이슬람교는 선지자 마호메트(Muhammad)로 인해서 시작되었다. 1 마호메트는
메카(Mecca)에서 569-570 년경에 태어났다. 그는 자신이 하나님의 선지자라고
칭하면서 이슬람교를 창설하였다. 이슬람교의 시초는 코란(Qur’an)이라는
이슬람교의 성전에 기록되어있다.
마호메트는 그가 자랄 때에 고아로 자랐다. 그리고 그는 그의 삼촌의 양을
치는 목자였다. 그리고 그는 나중에 삼촌을 도우며 여행 상업인이 되었다. 그는
나중에 아랍인들 사이에 존경을 받은 지도자가 되었다. 그리고 신앙심이 있는
자였다. 그가 나이 40 세가 되었을때에 그는 계시를 받았다고 전해진다. 천사가
나타나서 그에게 그는 하나님의 선지자가 될것을 계시 받았다고 한다. 마호메트의
계시를 코란성전에 기록해 놓았다.2
이슬람교도에서는 아브라함, 모세 그리고 예수님을 하나님의 선지자들로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오직 마호메트만 하나님의 마지막 선지자라고 가르친다.
마호메트는 서서히 그의 가르침을 전하기 시작했다. 이슬람교도는 처음에는 많은
핍박을 받았으나 서서히 그를 따르는 무리들이 생기기 시작했다. 그리고 주후
622 년경에는 이슬람교도의 두번째의 성지인 메디나(Medina)가 설립되었다.
마호메트가 632 년에 죽은 후에 아라비안 반도는 이슬람교도가 되어버렸다.
그리고는 계속해서 퍼져나갔다.
640 년경 이후로는 중동지방 전체가 회교도로 변했다. 그리고 이집트 역시
회교도로 변했다. 이집트는 이슬람교가 들어오기 전에는 기독교가 왕성하였었다.
그리고 661 년에는예루살렘의성전이 있는 곳에 회교도의 사원(Mosque)이
들어섰다. 이 회교사원은 오늘날에도 예루살렘 한 가운데 위치하고 있다.
이슬람교는 계속해서 북아프리카지역에도 번져나가고있었다. 그리고
유럽에서는 스페인의 지부럴터(Gibraltar)섬까지 퍼져나갔다. 이 지역의 회교도는
700 년간 계속해서 지탱하였다. 이렇게 이슬람교는 중동지방, 북아프리카, 스페인,
이라크, 시리아 그 외에도 많은 나라로 번져나갔다.
유대인들과 이슬람인들의 사이는 애매모호했다. 이슬람군인들이 정복한
땅의 사람들은 이슬람교로 개종하거나 억지로 라도 개종해야만했다. 그러나
유대교인들에게는 강요를 하지 않았다. 이슬람교에서는 유대교를 책의 민족이라는
것을 인정해주고있다. 그리하여 마호메트는 유대교를 존경할 것을 가르쳤다.
그러나 유대인들이 마호메트가 하나님의 선지자라는 것을 인정하지 않자 이들과의
사이는 멀어진다.
이슬람교역시 유대인들에게 세금을 요구하기도 했다. 세금의 명목은
유대인들을 보호하는 댓가였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이슬람교속에 사는 유대인들은
상업을 하거나 생업을 유지하는데 많은 위험은 없었다.
8 세기에 페르샤(Persia)지방에서 유대교안에서 분란이 일어났다. 이 분란의
시초는 카랏트(Karaite)파에서 시작이 되었다.3 카랏트파는 페르샤지방의 유대교
무리들로서 모세의 율법을 인정하였으나 구두로 전해지는 전통은 인정하지 않았다.
문제는 유대교에 있는 것보다는 페르샤지역에 사는 유대인들 사이에 어느파가
주도권을 가지는가에 있었다. 그러는 가운데 카랏트파는 민중들 사이에 인기를
얻게 되었다. 그리고 예루살렘에 까지 카랏트파의 연구소가 생겨났다.4 한때는
유대인들 중에 약 40 퍼센트 가량이 카랏트파에 속했을때도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그렇게 많은 숫자를 유지하지 못하고 있다.
카랏트파들은 매우 특이한 그룹이였다. 이들은 모세의 율법을 문자 그대로
해석할것을 강조했으며 또한 독신생활을 강조하였다. 이들의 멤버 구성은 상인,
학자, 그리고 법률가로 이루어졌다. 이들의 조직망은 그 당시 온 중동지방에 까지
영향을 주었다. 5
이슬람교가 스페인을 장악할 때에는 주후 711 년경이다. 이슬람교는
스페인을 4 년만에 완전히 정복했으며 다음 700 년을 지배하였다. 놀라운 사실은
스페인에서 유대교와 이슬람교는 함께 존속하였다. 그래서 이 시대를 유대인들의
황금시대(Golden Age)라고도 불리운다. 그리고 스페인에 사는 유대인의 숫자는
페르샤다음으로 많았다.
유대인들은 스페인에 살면서 나라에 많은 공적과 업적을 남겼다. 그리고
스페인 왕족과의 관계도 매우 원만했다. 특히 많은 유대인들은 왕의 궁전에서
중직을 맡아서 봉사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유대인들은 자신들의 적성에 맞는
일들을 찾아서 열심히 일하였다. 그리고 유럽전국에 그리스도인들과
이슬람교도들과 무역과 상업을 통해 경제에 큰 발전을 가져다 주기도 하였다.
스페인에 사는 유대인들을 스파르디(Sephardic Jews)유대인이라고 불렀다.6
그리고 이들은 자신들의 공통어를 가지고도 있었다. 이 언어는 라디노(Radino)
또는 유대스모(Judezmo)라고도 부른다. 라디노언어는 히브리어와 스페니쉬언어의
혼합된 언어이다. 그리고 중세시대때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오늘날에도
터키,북아프리카, 이스라엘과 브라질 그 외에 다른 나라에서도 라디노어를
사용하는 곳도 있다. 현재 아랍권(Arab community)에 사는 유대인들도 가끔
사용하고 있다.
유명한 스파르디인으로는 철학가이며 수학가이자 율법학자로 알려진
사무엘 하 나지드가 있다. 그는 스파르디유대인의 대표로 알려져있다. 그리고
외에도 아브라함 이빈 에즈라(1092-1167), 바크야 이빈 바구다(1040-1080), 솔로몬
이빈 가브리로이 (1020-1057), 모세 이빈 에스라(1055-1135) 와 유다 할레비(1075-
1141)가 있다. 이들은 다 프파르디 유대인들로서 많은 영향을 준 자들이다.
스파르디 유대인으로서 랍비 요셉 카로(1498-1575)가 있다. 그는 수란
아룩크라는 책을 쓴 랍비였다. 카로는 톨리도(Toledo) 스페인에서 태어났다. 그리고
그는 스페인 추방 명령당시 가족과 함께 터키로 옮겨갔었다. 그리고 그는 터키와
불가리아와 그리스지방으로 옮겨 다녔다. 나중에는 사페드(Safed)이스라엘에
정착하게 되었다. 오늘날에도 이스라엘에 가면 그의 묘지를 찾아 볼 수 있다.
카로는 신비주의자(Mystic)였다. 그러나 그는 그의 법해석으로 더욱
유명하다. 그는 그의 나이 삼십에 대작을 썼다. 제목은 “요셉의 집”(House of
Joseph)이었다. 내용은 유대법을 해석해놓은 책이다. 특히 랍비 야곱 아셀의
14 세기 율법책을 풀어놓은것이다. 요셉의 집은 읽기 어려운 책이므로 카로는
또한 이해하기 쉬운 부록책을 편집하였다. 이것을 `하라카(Halakha)’라고도 부른다.
카로는 하라카를 1564 년도에 집필하였고 또하나의 책인 술한 아룩크(Shulhan
Arukh)를 출판하기도 하였다. 아룩크는 보수파 유대교 지도자들은 인정하지
않았다. 이유는 보수적이지 않았기 때문이나, 오늘날에는 요셉의 집과 함께
유대교의 정통과 전통을 나타내는데 꼭 필요한 책이 되었다.
모세 마이모니데스(Moses Maimonides)는 최초의 계몽학자였다.7 그는
지성과 이론을 가지고 살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또한 람밤 또는
마이모니데스로 알려져있다. 람밤은 Rabbi Moses ben Maimon 을 줄인 단어이기도
하다. 마이모니데스는 코드도바(Cordova), 스페인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조상은
대대로 내려오는 유력한 랍비 출신이기도 하다.8 한때 스페인의 정책에
유대인들에게 3 가지 선택권을 줄때가 있었다. 3 가지 선택권은 유대인들로 하여금
기독교로 개종하든지 또는 추방당하든지 아니면 죽임을 당하든지 하는 것이었다.
마이모니데가족은 스페인을 떠나기로 결정하였다. 그래서 이들은 북아프리카로
옮겨갔다가 이스라엘로갔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카이로(Cairo), 이집트에
정착하였다. 마이모니데스는 카이로에 살면서 의사로서, 학자로서 그리고
철학자로서 일생을 마쳤다.
마이모니데스는 또한 그의 나이 22 살때에 미슈나의 주석을 썼다. 그리고
후에는 유대 구두 율법을 조직적으로 편집해 놓았다. 마이모니네스는 또한 믿음의
13 가지를 구분해놓았다. 그의 책의 제목은 “Discourse on the World to Come”이다.
13 가지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1. 하나님이 존재한다.
2. 하나님은 한분이시며 독특하시다.
3. 하나님은 실체가 없으시다.
4. 하나님은 영원하시다.
5. 기도로써만 하나님앞에 나아갈 수 있으며 다른 방법은 없다.
6. 선지자의 글은 사실이다.
7. 모세는 가장 위대한 선지자이며 그의 예언은 사실이다.
8. 모세는 기록된 율법을 받았으며 또한 구두의 율법도 받았다.
9. 또 다른 율법은 없다.
10. 하나님은 인간의 생각과 행위를 아신다.
11. 하나님은 선행은 보답하시나 악은 벌 하신다.
12. 메시야는 오실것이다.
13. 죽은자는 부활 할 것이다.
마이모니데스의 글들은 설득감도 있었지만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논쟁의
원인도 제시했다. 그가 죽은 후에 랍비들은 그의 책들을 불로 태워버렸다.
그러나 오늘날에도 많은 자들이 마이모니데스가 묻혀있는 갈릴리 지역에
순례를 하고있다.
카발라(Kabbalah)는 유대교의 신비주의이다.9 또는 신비철학이기도하다. 이
주의는 중세시대 스페인에서 시작된것이며 다른 유대인들이 사는 지방에도
퍼져나갔다. 카발라에 들어오려면 많은 세월과 연습을 해야하였다. 그리고
카발라의 가르침중에서 율법은 모든사람들에게 주어졌지만 카발라는
소수에게만 전해졌다고 한다. 신비주의가 처음으로 표면화한것은
조하르(Zohar)이었다.10 이것은 스페인에서 발간되었으며 “창조의 서”와
“조하르를 합쳐서 카발라라고 한다. 그러나 카발라는 얼마 못가서 유대교의
역사에서 사라지고 만다.
카발라의 율법해석은 숨겨져있는 뜻을 찾는데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문자와 단어의 숨은 의미를 찾아내고자 노력을 많이 하였다. 그리고 인생의
목적과 의미를 찾으려고도 하였다. 그래서 카발라를 연구한 자들은 세상의
안목이 넓어지며 또한 성스로운 빛을 체험한다고 주장했다. 카발라의
연구방법은 수학적이다. 연구를 종합해서 더하거나 빼는 가운데 해답을 찾는다.
그래서 이들은 히브리 알파벳을 중요시 하고 있다. 히브리 알파벳은 숫자의
의미도 가지고 있기때문이다. 카발라는 인간의 감정, 이성과 지성을 다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것들을 통해서 영적인 의미를 찾는다.
카발라학자들은 다음과 같다. 랍비 모세 코데베로(Rabbi Moshe Codevero,
1522-1570)는 카발라를 조직적으로 분류해놓았으며 또한 카발라가 의미가
있도록 연구를 많이 한 랍비였다. 그리고 다음에는 랍비 이작크 루리아(Rabbi
Yitzhak Luria, Ari,)였다. 그는 1534 년에 예루살렘에서 태어났으나 이집트에서
자랐다. 그는 다시 예루살렘으로 돌아와서 카발라를 가르쳤다. 그는 나이
98 세까지 살았지만 그가 가르친 방식은 오늘날도 전해지고있다.
중세시대에 또 하나의 위기는 유대인들의 스페인에서 추방과
종교재판소(The Inquisition)였다.11 스페인에 종교 재판소가 도입된 시대는
1480 년경이다.12 이로 말미암아 유대인들의 스페인에서의 황금시대는
영구적이 못되었다.13 다시말해서 황금시대의 종말이 오고있었다. 이슬람교인
무어 인(Moors)14들이 아프리카 북서부에서 부터 스페인으로 올라오고있었다.
무어인들이 스페인에 발을 붙인때는 8 세기 초 부터였다. 그리스도인15들은
이슬람교인들에게 빼앗겼던 영토를 다시 찾으려고 온갖 힘을 다 썼다.16 그리고
결과로 1492 년에 그라나다(Granada)땅을 재 정복했다.
여기에서 체험한 것은 그리스도인들은 이제 이슬람교도들과 유대인들을
이교도(Infidels)17들로 보았다. 스페인의 전쟁 동안에 유대인들은 공격대상의
목표가 되었다. 그리고 스페인인들은 정복한 땅에서 유대인들과
이슬람교도들을 학살하였다. 특히 바세로니아(Barcelona)지방에서는
유대인들의 집단이 다 파괴되었다. 그리고 그리스도인들은 유대인들에게 개종
할 것을 요구했다. 이때에 많은 유대인들은 그리스도교로 개종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유대교에서 개종한 사람들을 콘베소스(converses)라고 불렀다.18
이렇게 그리스도교로 개종을 한 유대인들은 계속해서 차별과 공격을 받았다.
그리고 어떤 스페인인들은 유대인을 “돼지”라고도 불렀다. 스페인어로 돼지는
“마라노”(marrano)이다.19 그당시 유대인들이 그리스도교로 개종한 숫자는 약
60 만명으로 보고있다.
종교재판소는 유명하다. 1478 년경에 스페인의 여왕 이사벨라(Isabella)의
강요로 교황은 칙서(bull)를 써서 그리스도교로 개종한 유대인들에게 재판을
통해서 그들의 신앙을 점검하도록 했다. 이 칙서는 Exigit Sincere
Devotionis 라고한다. 의미는 “신실한 신앙을 점검한”다는 뜻이다. 1480 년도에
페르난데스와 이사벨라는 공식적으로 종교재판소를 열어서 유대인들을 상대로
종교 재판을 시작했다.20 이것은 비인간적인 고문과 고통의 시작이었다. 약
150 년동안 지속되었다. 많은 유대인들이 나무에 달려 화형으로 죽임을 당했다.
종교재판과 인종차별은 유대인들로 하여금 스페인에서 떠나가게 만들었다.
그리고 ` 최종적 해결책(Final Solution)’이라는 정책으로 유대인들을 땅에서
몰아내려고 했다. 최종적 해결책은 1492 년 3 월 31 일에 공식추방선포로
시작되었다.21 공식 법령이 선포 될 당시 그리스도교인으로 개종하지 않은
유대인들은 약 20 만명쯤있었다. 법령이 선포된 후에 약 반 이상이 포르투칼로
망명했다. 그리고 포르투칼에서도 5 년후에 유대인들을 추방하였다.22 그리고
약 5 만명이 터키(Turkey)로 옮겨갔으며 또한 북아프리카로 피신해갔다. 그리고
나머지는 스페인에서 예루살렘으로 갔다. 추방 법령이 선포 된지 넉달이 지난
후에는 스페인에서남아있는 유대인들이 없었다. 이러한 어려운가운데서도
마라노 유대인들을 돕는 자들이 있었다.
도나 그라시아 멘데스(Dona Gracia Medes, 1510-1566)는 포르투칼에에서
태어난 마나로 유대인이였다. 그녀의 본명은 베아트리체 드 루나(Beatrice de
Luna)였다.23 멘데스는 금융계를 주관하는 프렌체스코 멘데스와 결혼을 하였다.
그러나 프렌체스코의 죽음으로 그녀는 남편의 사업을 도맡아 운영하면서
마라노의 부정당한 대우를 받는것에 대해 적극적으로 돕기 시작했다.24
멘데스는 이스탄불에서 거하면서 몇백명의 마라노를 핍박에서
망명시켜주었으며 또한 많은 회당들과, 출판소들, 병원들을 설립하는데
공헌하였다. 25 멘데스는 유럽의 지도자들과 협상하는 일에 매우 투철하였다.
이로말미암아 많은 마라노 유대인들이 자유를 가지게 되었으며 또한 유익을
가져다 주었다. 멘데스가 죽은후 그녀의 조카인 돈 요셉 나시(Don Joseph
Nasi)가 이어받았다. 그러나 유대인들이 영향은 서부 유럽에서 줄어들어가고
있었다. 그리고 유대인들은 계속해서 유럽을 떠나고 있었다.
스페인을 떠난 유대인들은 성지에 도착하였다. 그리고 팔레스타인땅에
조그마한 공동체를 구성하였다. 그당시 팔레스타인은 이슬람들이 장악하고
있었다. 이것이 유대인들이 고향으로 돌아오는 계기가 되었다. 1516 년 부터
세계제일전쟁까지 팔레스타인지역은 오토만제국(Ottoman Empire)이 차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수도는 이스탄불(Istanbul)터키에 두고있었다. 오토만제국에서
유대인들은 원만한 대우를 받았다. 이유로는 유대인들의 상업의 혜택을 받았기
때문이다. 유대인들은 그들의 상업의 기술을 최대한도로 발휘해서
오토만제국의 경제에 많은 도움을 가져다 주었다. 그리고 이스라엘 지방
세페드지역에서도 힘을 모아서 열심히 살았다. 이러한 결심으로 세페트
지역에서도 유대인들의 숫자가 늘어나기 시작했다. 그리고예루살렘지역에서도
인구의 숫자가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각주 Endnote s
1 7 세기는 이슬람교가 뜨는 시대였다. 기독교제국인 비잔틴(Byzantine Empire)은 여러해의 전쟁을
통해 지쳐있었으며 나사니드제국(Sassanid Empire)역시 전쟁으로 허덕이고 있었다. 이러면서
공간을 채운것이 이슬람교다. Raymond P. Scheindlin, A Short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P. 71.
2 Max I. Dimont, Jews, God, and History, 2nd ed. (New York: New American Library, 2003). Pp. 189-197.
3 유대교에서 이들을 ‘말씀의 백성’ 또는 ‘성경의 백성’으로 부른다. “the people of Scripture”Ibid;
Scheindlin. pp. 81-2.
4카랏트파들은 성경 연구와 공부를 통해 히브리어 문법까지도 공부했다.이들의 업적으로 인해
히브리어 성경이 인준을 받게 됬다. Scheindlin. Pp. 81-2.
5 Ibid.
6 막스 디몬트는 중세시대에 두개의 독특한 유대교가 등장한다고 말한다. 이들은 스파르디 유대교,
와 아스키나지유대교라고 부른다. 특히 전자는 더욱 보수적이며 지성적이라고 말함. Dimont. Pp.
252-3.
7 참조. “Maimonises, Moses” in Encyclopaedia Judaica , XI, p. 754-779.Moses Maimonides, The Guide
for the Perplexed, ed. Trans. M. Friedlander (New York: Barnes & Noble Books, 2004 (Origianally
published in 1190)). 이 책들은 그이 짧은 생애이야는 매우 도움이 된다. 참조. Intro. By David Taffel
on The Life of Moses Maimonides. Xxix-xliii from “The Guide for the Perplexed”.
8 마이모니데스는 1138-1204 년경에 태어났으며 가족은 법률가 집안이었다. Scheindlin. P 85.
9 카발라의 의미는 ‘받아드린 전통’ 또는 ‘교리’이다. 탈무드에서는 미스테리한 면은 발견할 수 없다.
“Kabbalah”, II, "Encyclopaedia Judaica," (New York: MacMillan and Keter Publishing House, 2007). P.
585.
10조하르는 ‘훌륭한 책’아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Zohar”, XXI., Ibid. p. 647.
11 종교재판소는 교황 그레고리 9 세(1227-41)로 알려져 있으나 원래는 교황 이노센스 3 세 (1198-
1216)에서 부터 내려온다. 처음의 의도는 교회안에서 이단자들을 축출해 내려는 목적으로 세워진
조직이다. 스페니쉬 종교재판소 역시 교회에 이단자들을 축출하려는 목적으로 시도 되었으며 후에
유대교인들에게도 적용됬다. “Inquisition”, IX., Ibid. p. 790-3.
12 포르트갈에 종교재판소가 도입된 때는 1547 년경이다. 종교재판소는 스페인제국이 다스리는
신대륙에서도 유효했다. Scheindlin. P. 119.
13 참조. “The Golden Age in Spain” in Encyclopaedia Judaica” XV., pp.227-230.
14 ‘무어’(Moor)인들은 아프리카 북서부에 살았던 민족이었다. 8 세기때 스페인을 점거한 일파로도
말함.
15 여기서 이야기 하는 그리스도인들은 카톨릭교회(The Roman Catholic)의 신자들을 말함.
기독교에서 이야기하는 그리스챤은 마틴 루터(Martin Luther)가 일으킨 종교개혁(1517)때 이후에
부르게 됨.
16 기독교회사에서 이 시대를 십자군전쟁(Crusades)라고 부름. 1095 년에서 시작된 전쟁은
1396 년경에 끝이 났으나 역사적으로 파이우스 2 세(Pius II)가 죽을 때인 1464 년경을 마지막때로
보고 있다. The Oxford Dictionary of Christian Church, ed. F. L. Cross; Second Editor: F.L. Cross and E.
A. Livingston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83). P. 363.
17 이교도인들은 특히 비 기독교인들을 말하고 있음.
18 또는 영어로 Conversos 라고 사용됨. 이들은 스페인기독교인들과 포르트갈기독교인들이 무어인
또는 기독교로 개종된 유대인들을 부를때 사용한 이름이다. ‘마라노스’보다는 덜 비하적이다.
“Conversos”, V.,"Encyclopaedia Judaica," (New York: McMillan, 1993). P. 936.
19 이름은 스페인 또는 포르트갈에 사는 새로운 그리스챤들을 부른 이름이었다. 특히
유대인들에게는 불명예스러운 의미를 내포한다. 마라노는 라틴어에서 비롯된 이름 verres 에서
나왔다. 이름의 뜻은’멧돼지’(wild boar)다. . “Marrano”, XI., Ibid. P. 101 8.
20페르난데스와 이사벨라왕궁에 유대인들이 고문과 재력가로 있었다. 이들의 이름은 돈 이삭
마브라바넬(Don Isaac Abrabanel)과 돈 아브라함 스네올(Don Abraham Seneor)이였다. 이들은
페르난데스와 이사벨라가 유대인들을 선대하기를 요청하기도 했다. Scheindlin. P. 120.
21 1492 년 3 월 31 일 부터 시작되어 8 월 1 일 부터는 유대인들이 스페인에 발을 붙이는 것이
불법이었다.”The Edict of expulsion was signed on March 31, and as of August 1 it became illegal for a
Jew to set foot on Spanish soil.” Ibid. p. 120.
22 1496 년경부터 포르트칼도 추방명령을 선포하였다. Dimont. P. 229.
23 The Universal Jewish Encyclopedia, vol. I-X (New York: Universal Jewish Encyclopedia Co., Inc, 1948).
Vol. 7, p. 481.
24 남편 프렌체스코가 죽자 멘데스는 포르투칼을 떠나 프랑스와 화란에서 사업을 번성시켜 나갔다.
그리고 이탈이아 베니체에서는 유대교를 공포하였다. 후에 그녀는 이스탄불에 정착하였다. The
Illustrated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ed. Nicholas De Lange (New York and San Diego: Harcourt Brace
& Company, 1997). P. 191.
25 Ibid. P. 191.
참고문헌 Bibliography
Dimont, Max I. Jews, God, and History. 2nd ed. New York: New American Library,
2003.
"Encyclopaedia Judaica." I-XVI. New York: McMillan, 1993.
"Encyclopaedia Judaica." New York: MacMillan and Keter Publishing House, 2007.
The Illustrated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Edited by Nicholas De Lange. New York
and San Diego: Harcourt Brace & Company, 1997.
Maimonides, Moses. The Guide for the Perplexed, Edited by Trans. M. Friedlander. New
York: Barnes & Noble Books, 2004 (Origianally published in 1190).
The Oxford Dictionary of Christian Church. Edited by F. L. Cross; Second Editor: F.L.
Cross and E. A. Livingston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83.
Scheindlin, Raymond P. A Short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The Universal Jewish Encyclopedia. Vol. I-X. New York: Universal Jewish
Encyclopedia Co., Inc, 19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