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lcome to Martyr Sukbaknam Monastery נבחר שם מעשר רב מכסף ומזהב חן טוב׃
  • Home
    • Prayer Topics
  • Explore
    • About
    • Bak Nam Suk
    • EWBI >
      • Timeline of Christian Branches
      • Timeline of the Western Church 1st-10th century
      • Christianity in Asia >
        • Introduction
        • China Timeline History
        • Korea Timeline History
        • Syrian Connections
      • Online Classes
      • Recent Course Materials >
        • Christian Spirituality >
          • Guide to Christian Spirituality: Living in the Spirit
        • Song of Songs Survey >
          • Song of Songs: Love is Strong as Death
        • Syrian Christianity >
          • Registration Form
          • Survey Syrian Spirituality
          • SCS Note
          • SCS Outline
        • The Book of John 요한 복음 연구 >
          • 요한복음연구
      • Western Treasures >
        • Greek Manuscripts
    • Gospel
    • Lord's Prayer
    • Partners >
      • Missionaries
      • Friends
    • Purpose & History >
      • Affiliations
      • Ministries
      • Photo Gallery
    • Sainthood
    • Schedules
    • Alexander Pak >
      • Earlier years of Bro Alex's photos
      • CV
      • Papers and Writings from Prison
      • Written Works List
    • Terms of Service >
      • Contact
      • Privacy Policy
  • Resources
    • Articles and Writings >
      • On Passover in Jerusalem
      • In the Air
      • American Missionary John Livingstone Nevius (1829-1893)
      • Book Review: Reformation Sketches: Insights into Luther, Calvin, and the Confessions.
      • A Short History of Early Korean-American Churches in America (in Korean)
      • A Brief Introduction To A Secret of Survival of Jews: New Covenant People >
        • Book I Secret of Survival of Jews: New Covenant People >
          • I Chapter 1: In the Beginning
          • I Chapter 2: From Slavery to Freedom
          • I Chapter 3: Mt. Sinai
          • I Chapter 4: Keeping the Sabbath
          • I Chapter 5: Into the Promised Land
          • I Chapter 6: Kings in the Biblical Periods
          • I Chapter 7: The First Temple Period
          • I Chapter 8: The Fall of Kingdom of Judah and the Babylonian Captivity
          • I Chapter 9: Esther and Purim: Triumph of the Weak
          • I Chapter 10: Prescribed Feasts
          • I Chapter 11: Return to Zion and Alexander the Great
        • Book II: Victory Of Faith: Growth of Judaism >
          • II Chapter 1: Rebellion for the Religious Freedom
          • II Chapter 2: Patriarchal Rule
          • II Chapter 3: The Oral Tradition
          • II Chapter 4: The Talmud
          • II Chapter 5: Medieval Western Europe
          • II Chapter 6: Life of Jews among the Islam Setting
          • Affiliation2
          • II Chapter 7: Life of Jews in Eastern Europe
          • II Chapter 8: The Enlightenment and Freedom
        • Book III Victory of Faith: Inheriting the Land >
          • III Chapter 1: Jews in America
          • III Chapter 2: The Holocaust
          • III Chapter 3: Establishment Of Modern Israel
        • Timeline
        • Brief Outline of the Old Testament
        • Glossary
      • Introduction To Apologetics
      • The Existence of God: Revelations Introduced
      • On Humanity: Where Do We Come From?
      • The Person of Jesus: God’s Most Precious Gift
      • The Deity of the Holy Spirit
      • Christian Reformed Church Mission to China
      • A Brief Introduction To God’s Three-In- Oneness: The Trinity And The Council Of Nicaea, 325
      • Commentary on the Book of Revelation by Dr. Eun Kyu Park
      • Comparative Religious Study: Looking at Greek Orthodox Christianity and Understanding of Luther and Calvin On Scripture, Christology, the Holy Spirit and Church
      • Church Fathers
      • A Brief Intro. to Greek Orthodox Church
      • Brief Life's Sketches of the Church Fathers
      • The Council of Nicaea I, 325
      • Outline of the Council of Ephesus (A.D. 431)
      • Origen of Alexandria (185-c. 254)
      • Toward The Council Of Chalcedon, 451
      • The Development Of Episcopal Ministry For The Purpose Of Canon And Creed
      • Meaning of History
      • The Question of Authorities in Forming Christian Doctrine
      • Reflection on Theological Education (In Korean)
      • New Age and Its Impact on Churches and Society (in Korean)
      • Next-Generation Pastor’s Spirituality and Korean Church’s Well Being
      • Meditate on the Lord's Prayer
      • Councils of Nicaea, Ephesus and Chalcedon: Development of Episcopal Ministry
      • With Jesus in a Monastery
      • Antiochean Christology
    • Biblical Monastic Spirituality
    • BiblicalTraining Classes for Everyone
    • Books
    • Featured Book: Secret of  Survival of Jews—Triumph of the Weak
    • LEARNING BIBLICAL GREEK: DR BILL MOUNCE
    • Media

5. 중세의 서부 유럽
Medieval Western Europe



그리스도교의 발상지는 유대였다. 그리고 예수그리스도의 가르침과 전도는
로마제국을 휩쓸었다. 여기에 이바지한 사도는 바울(Paul)이었다. 사도 바울은
비 유대인들에게 그리스도교 복음을 전했다. 이러한 전도의 열매로
이방인들(유대인이 아니자들을 일컬음)이 유대교안에 들어오게 되었다.
복음의 결과로 이방인들은 유대교의 전통과 관습을 따르지 않았다.1 이러한
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교는 이방인들을 중심으로 성장하게 되었으며 또한
유대인들은 그리스도교에서 멀어져가기 시작했다. 그리고 복음서가 헬라어로
쓰여 졌으므로 이방인들에게 복음이 더 빨리 전파된 것도 사실이다.2

그리스도교가 빨리 로마제국으로 퍼져 나가자 로마인들은 위기를
느꼈다. 이를 계기로 기독교에 대한 박해가 생겨나기 시작했다. 특히 2-3 세기
때에는 국가에서 합법적으로 기독교를 탄합하였다. 3
주후 313 년경에 로마황제 콘스탄틴으로 말미암아 기독교 박해는 끝이
나고 또한 기독교가 로마제국의 국교로 인준이 되었다. 이 그리스도교가
자유를 얻은 떄를 밀라노 칙령(Edict of Milan)이라고 부른다. 밀라노 칙령은
그리스도 교인들에게 이들이 위협을 받지않고 자유스럽게 그리스도교를 믿고
전도하는 법이었다. 이제 그리스도교는 로마제국의 국교로써 발전해 나가기
시작했다. 그리고 325 년에 니케야공회 (Council of Nicea)에서 그리스도교만을
제국의 공식적인 종교로 결정하였다. 그리고 그 다음 해에는 로마 수도를
비쟌틴쪽으로 옮김으로 이제 옛 로마제국은 사라지고 말았다.4

그리스도교가 강해지면서 우상숭배와 다른종교들을 개종하려고 하였다.
유대교인들에게도 그리스도교로 개종 할 것을 강요하였다. (여기에서 나오는
그리스도교는 개신교를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니라 캐톨릭교회를 언급하는
것이다. 그당시에는 개신교나 천주교의 차이가 없었다. 개신교는 마틴 루터 가
1517 년도에 종교개혁을 시작한 후에 생겨난다.) 그리고 유대교는 예수님을
하나님의 아들 그리고 메시야로 믿지 않음으로 그리스도교인들로부터 박해를
받았다. 이러한 박해는 몇 백년이 흘러간다.
디아스포라 유대인들은 이제 로마제국에서 전 유럽으로 퍼져 나간다.
가울(프랑스)지방을 비롯해서 라인 계곡쪽으로 정착한 유대인들을
아쉬크나지(Ashkenazi)인이라고 부른다. 이들은 독일계, 폴란드 또는 불란서계
유대인들을 가르쳐 부른다. 그리고 후에는 동 유럽에 사는 유대인들 까지도
포함한다. 그리고 아쉬크나지는 히브리어로 “독일”(Germany)이라는 뜻이다.5

주후 800 년경 샬로멩대제가 설립한 카롱린제국은 200 년동안 서, 중유럽을
통치하였다. 특히 유대인들에게는 상업을 할 수 있도록 인정해주었다. 특히
샬로멩 대제가 죽고나서 그의 아들인 경건한 루이스(Loius the Pious)는
유대인들을 특별히 보호하는 법을 세웠다. 그렇게 하여 유대인들은
상업인으로써 유럽지방에서 자리를 잡게 되었다. 그렇게 되어 유대인들은
유럽 전체에 상업권을 가지게 되었다. 주후 1066 년경에는 놀만의 정복으로
말미암아 프랑스계 유대인들은 영국까지 올라갔다.

유대인들의 공동체는 작았다. 그리고 다른 민족들같이 유대인들만의
마을을 구성하고 살았다. 많은 유대인들은 그 당시에 기술공 또는 공예가들로
이루어졌다. 유럽에 흩어진 공동체안에서도 이들은 성경과 탈무드를
연구하고 유대교를 준수하고 있었다. 이 당시에 유명한 율법학자로는
트로예의 솔로몬 벤 이삭(Solomon ben Isaac)이 있었다. 그는 또한
라쉬(Rashi)라고도 불리었다.6
그 당시에 유대인들에게는 새로운 언어가 생겨났다. 유대인들은
히브리어와 그 나라의 방언을 사용하였으나 다른 유럽에서 온 유대인들이
특이한 언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특히 오스트리아, 보헤미아, 그리고 북쪽
이탈리아에서 온 자들이 히브리어와 독일어가 합한해진 언어를
이디시(Yiddish)라고 부른다. 특히 나중에 폴랜드 와 체코와 러시아의 방언은
이디시를 더 매력적인 언어로 만들었다.
4
이래서 이디시는 아쉬크나스 유대인들의 언어가 되었다. 이디시어는 유럽에
흩어져 있는 유대인들에게 유익하게 사용되었다. 이디시어는 다양하면서 또한
융통성이있는 언어였다.7
유대인들은 11 세기 전까지는 보편적으로 화평하였다. 그 당시 유럽에
유대인들이 끼친 상업과 경제의영향은 매우 컸었다. 유럽은 유대인들의
상업권 혜택을 많이 입었다. 그러나 십자군 전쟁으로 말미암아
유대인들에게는 또 한번의 변화가 왔다.

십자군(Crusade)은 여러가지 면에서 중세기의 가장 크게 영향을 준
현상이였다. 십자군의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었다. 종교적인 면에서는
예루살렘을 재 정복하려는 목적이 있었다. 예루살렘은 주후 638 년 경
이후로는 회교도의 손에 들어갔었고 그 후로는 그리스도교들의 성지순례가
거의 불가능 해졌다. 그리고 성지 순례에서 느끼는 영적 축복을 느끼지
못하는 그리스도교인들은 불행하게 느꼈다.8

경제적으로는 970-1040 년 까지 48 년간 유럽지방에 흉년이 있었고
또한 1085-1095 년 간의 흉년은 더 악화되었다. 그래서 흉년은 많은
사람들을 불안하게 만들어 주었다. 민족적으로는 서방 제국 몰락때 게르만
민족들의 침략은 유럽의 민족적 이동의 시작을 가능케 하였다. 그리고
십자군이 민족적 이동을 현실화했다. 이렇게 경제적, 민족적 그리고 종교적인
감정은 십자군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십자군은 교황 우르반 II 세가 글레르몽 회의에서 주후 1095 년
크리스챤들을 선동시켜서 예루살렘에 진치고 있는 회교도를 몰아낼것을
간구했다. 그당시에는 회교도가 빨리 전파되고 있었던 때였다. 십자군에게
성지의 앞날과 기독교성지들의 운명이 달려 있었다.
제 1 차 십자군전쟁은 (1096-1099)은 유럽의 봉건 귀족들의 성사로 3
대군을 일으켰다. 십자군의 목적은 기독교들의 가장 거룩한 성묘(Holy
Sepulcher)를 다시 점령하는 일이었다. 성묘는 콘스탄틴황제의 모친인
헬레나(Helena)가 직접 설립한 성물이었다. 성묘는 예수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 돌아가신 후 제자들이 이 곳에 묻었다는 전설이 있는 곳이다.
오늘날에도 수 많은 신자들이 방문하는 곳이기도 하다. 이러한 성묘를
회교도가 장악하고 있다는 것을 용납할 수 없었다. 그래서 5 천명의 기사들과
만명의 군인들이 교황의 명을 받아서 거룩한 전쟁에 동참한 것이다.

십자군에 참여한 군인들을 십자군 군사(Crusaders)로 불리운다. 이들은
십자가를 짊어진다는 선약을 하고 그들의 군복에다가 붉은 십자가를 붙였다.
물론 십자군에게 다 영적인 목적만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교회는 새 땅을 필요로 했으며 또한 권력을 장악하기 위해서 새로운
곳을 찾아나갔다. 그리고 전쟁의 자금을 댄 귀족들과 상위족들은 땅과 부를
추구하기도 하였다.
유대인의 입장에서 볼때 십자군은 매우 불리한 전쟁이었다. 십자군은
그리스도교인들에게 신앙의 열정과 충성을 불러다 주었다. 그러나 그리스도
교인이 아닌자들 에게는 공격의 대상이 되었다. 특히 회교도인들과
유대교인들은 십자가군들에게 피해를 많이 보았다. 회교도인들은
그리스도교인들의 적이었으며 유대인들은 예수님을 죽인 민족들로서
적대감을 샀다. 그래서 십자군을 통해서 계속적으로 유대인들은 공격의
대상이 되었다. 또한 성지에서는 회교도인들과 합작하였다는 이유로
유대인들도 학살되었다. 그리고 유럽에 사는 유대인들도 같은 이유로 피해를
보았다. 당시에 반 유대감정을 가졌던 시민들도 이러한 켐페인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십자군 전쟁동안 약 10,000 명의 유대인들이 이러한 이유로 목숨을
잃었다. 이 숫자는 서 유럽에 사는 1/3 의 유대인들이었다.

그리고 제 3 회 십자군 (1189-1192)때에 영국에 사는 유대인들가운데
약 4 천명이 목숨을 잃었다. 그리고 그 외에도 각 처에 사는 유대인들을
학대하기도 하였으며 조직적으로 공격하기도 하였다. 독일에서도 유대인들을
학살하였다. 역사적으로 “마인즈 학살”(Massacre of Mainz)는 독일인들이
유대인들을 학살할 사건이다.9 마인즈는 서쪽 독일지역에 있는 도시였다.
마인즈는 서독에서 가장 오래된 유대인공동체가 있었던 곳이다. 학살사건의
배경은 다음과 같다. 십자군때에, 많은 유대인들이 공격을 당하고 있었다.
당시 유대인들은 근처에 있는 교회의 감독들에게 피난처를 요구했으나 소용이
없었다. 그로 말미암아 1096 년 5 월 27 일에 약 700 명의 유대인들이
학살당했다. 거기에는 남자뿐만 아니라 여인 그리고 어린 아이들도
포함되었다. 여기에는 많은 의문점을 남겨놓았다. 과연 유대인들은 도움을
받지 못한것인가? 또는 교회가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한것인가?

마인즈학살사건으로 독일지방에 사는 유대인들은 또 하나의 피해자들로 남게
되었다.

역사적으로 십자군은 몇 세기를 거쳐서 끝이 났다. 역사가들은
견해차이가 있다고 보면서 약 5 차의 중요한 십자군 전쟁이 있다고 본다.
첫번째 십자군 (1095-1099)은 처음으로 예루살렘을 재 정복하였으며 많은
회교도이들과 유대교인들이 목숨을 잃었다.
두번째 십자군 (1147-1149)은 실패였다. 특히 터키인으로부터 땅을 얻어내지
못해했음. 세번째 십자군 (1189-1192) 도 실패로 본다. 특히 회교도인 살라딘이
예루살렘을 다시 정복하였으며, 리차드왕은 정복하는데 실패했다.
네번째 십자군 (1202-1204)은 콘스탄틴노플땅을 정복하는데 성공했다.
다섯번째 십자군 (1212, 1218-1229)은 소위 소년 십자군이라고도 부른다. 이
십자군은 매우 비참한 사건이었다. 프랑스 소년스테반과 독일 퀠론의 소년
니코라스(Nicolas)가 수천명의 프랑스와 독일의 아이들을 이끌고 성지로
갔으나 많은 아이들이 돌아오지 않았음. 많은 아이들이 성지에서 병에 걸리고
굶주리고 또는 노예로 팔려가기도 하였다.

그 외에도 5 개의 작은규모의 십자군이 있었다. 1217-1221; 1228-1229; 1248-
1254; 1270; 그리고 1271-1272 까지 전쟁이 있었다.
유대인들은 상업중에서 대금업자(Money lending)로써 알려져 있다.
역사적으로 대금업을 하게 된 동기가 있다. 그리스도교인들의 숫자가
많아지고 또한 그리스도교인들의 노동조합등의 조직이 매우 활발하였다.
이것은 유대인들을 상업권에서 몰아내는 셈이 된 것이다. 이들의 생업에
위협을 받게 된것이다. 그리고 유대인들은 땅을 소유하지 못했으므로 농부가
될 수 는 없었던 것이다.

두번째 대금업의 이유는 1179 년경에 일어났다. 그 당시
그리스도교인들은 서로 돈을 빌려주는것과 이자를 주고 받는 것을 교회에서
금했다. 유대교에서도 유대인들이 서로 이자를 받는것을 금하고 있다. 그러나
이방인들에게는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것을 허용하였다. 유대인들은
사업하는 모든 과정을 잘 알고 있었으며 또한 크레딧을 주는 것을 시작했다.
이로 시작해서 12 세기 말에는 유대인들이 거의 금융계를 주관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그리스도교인들의 화를 불러 일으켰다. 특히
금융기관은 매우 중요한 기관이었다. 특히 왕이나 귀족들이 돈을 필요로
할때에는 금융기관을 사용하기도 했었다. 그리고 전쟁이나 건축을 하였을
때에는 더군다나 금융기관을 필요로 하였다. 그리고 돈을 못 갚을때에는 빚을
탕감받기도 하였다.

이러한것으로 유대인들은 또 한번 불필요한 손해를 보게 되었다.
유대인의 또 하나의 비난은 피의 훼손(Blood Libel)이었다. 이 사건은
영국에서 일어난 사건이었다. 1144 년 영국지방 놀윅(Norwich)도시에서
유대인이 영국아이를 납치한 후에 이 어린아이를 심하게 고문을 한 후에 죽인
다음 그의 피를 유월절 식사때에 사용했다는 비난이었다. 그리고 또 하나의
피의 훼손이 1247 년경에 또 일어났었다. 그리고 난 후에 이러한 비난은 유럽
9
전역에 퍼져나갔다. 이러한 사건들은 유대인들을 고립시켰고 또한 심한
공격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10
많은 기독교 지도자들은 이러한 비난들을 막으려 했지만 힘을 내지
못했다. 교황 이노센트 IV 세는 공식적으로 피의훼손을 부인하였다. 그러나 이
선포도 힘을 발휘 하지는 못하였다. 유대교에서는 피를 마시는 일을 금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비난은 계속되었다.
또 하나의 유대인을 비난한 사건은 뷰보닉 병(Bubonic Plague)이라는
흑사병을 일으킨 비난이었다. 14 세기때 전 유럽을 휩쓸었던 페스트였다.
흑사병은 약 25 백만명의 목숨을 빼앗아간 참혹한 재앙이였다. 25 백만이란
숫자는 유럽인구전체의 반이었다. 오늘날 흑사병의 원인을 알아 본 결과로는
그 박테리아 전염이 쥐에서 나왔다고 하지만 그 당시는 유대인에게 모든
책임을 씌웠다. 흑사병으로 말미암아 수 많은 유대인들이 목숨을 잃었다. 온
유럽은 유대인들을 상대로 계속 공격을 하기도 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약
300 개의 유대인 공동체 또는 지역이 사라졌다.11
유대인은 어디에 가든지 항상 공격과 질투의 대상이 되었다. 이것은
이들의 역사가 증명해주고 있다. 이들이 사는 곳 마다 삶의 리듬이 깨지고
생업에 위협을 받고 어떤 때는 피신을 해야하는 경우가 허다했다. 이러한
핍박 가운데서도 유대교는 살아 남았던것이다.
10
유대인의 인종차별은 시민적차원에서만 일어난 것이 아니라 또한
정부의 인정하에서도 일어났다. 유대인들은 항상 제일 만만한 타겟이었다.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차별을 한 경우는 유대인들에게 세금을 따로
부과하는데서 생겼다. 특히 유럽의 상류층의 사람들은 유대인의 혜택을 많이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질투를 하고 있었다. 그리하여서 유대인들에게
특별한 세금을 부과시켰다. 특히 독일에서는 38 가지의 다른 세금을
유대인들에게 부과시켰다. 이것을 유대인의 세금이라고도 부른다. 세금에는
출생세금, 장례세금, 결혼세금, 할례세금 등등으로 이름을 붙여 세금을 거두어
들였다. 어떤때에는 유대인들에게는 다른 민족들보다도 높은 세금을
부과하기도 했다. 유대인들은 그들이 사는 곳에서 가장 작은
소수민족이였으나 세금 내는 액수는 일반민족보다 더 높은 세금을 내기도
했다.

세금을 부과하는 일도 부족한 나머지 이제는 정부에서 일방적으로
유대인들을 추방하는 정책을 세웠다. 유대인들을 추방하는 방침은 시민들에게
환영을 받았다. 많은 수의 민중들은 유대인들을 질투하고 있었다. 그리고
유대인들의 추방은 시민들과 정부가 빚을 안 갚아도 되었으며 빚을 갚아야
한다는 것에 대해 걱정도 사라지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들이 두고 간 모든
재산과 부는 정부에게 유익함이 되었다. 이렇게 추방 정책은 시작되었다.
처음으로 유대인들에 대한 추방은 프랑스에서 일어났다. 1182 년경
프랑스의 왕 필립 아우구스토스는 프랑스에서 유대인을 다 추방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모든 재산을 압수하고 유대인들에게 지은 빚을 다
11
탕감해주었다. 그리고 1198 년경에는 다시 유대인들을 초청하는 대신 세금을
부과하여서 유대인들로 하여금 또 한번의 세금을 내게 만들었다. 그리고 또
1306 년경에 프랑스에서 다시한번 유대인들을 추방하기도 했다.
영국에서도 유대인들을 추방하였다. 1275 년경 왕 에드워드 1 세는
유대인들의 고리대금업을 중단시키고 고리대금업을 하는 유대인들을 죽임으로
벌을 내렸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유대인들은 영국을 떠나 다른 나라로
피해야만 하였다. 그리고 약 350 년동안은 유대인들이 영국땅에서 살 수 가
없었다. 영국과 독일만 유대인추방정책을 도입한것이 아니라 유럽의 다른
나라 역시 마찬가지로 유대인들을 그들의 나라에서 몰아내었다. 헝거리는
1349 와 1360 경에, 합스버그(지금 오스트리아)는 1421 년경에, 리투아니아는
1445 와 1495 년경에, 스페인은 1492 년경에, 포르투갈은 1497 년경에
유대인들을 추방하였다.

놀라운 사실은 유대인들을 추방하고 나서는 그 나라들이 경제적으로
하강하게 되는 체험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많은 나라들은 이들을 다시
초청하는 경향도 있었다. 그리고 경제가 다시 나아지면 또 유대인들은 추방을
하는 사이클이 생겼다.
유대인들이 전 유럽에서 소외되는 현상이 벌어지자 이들은 유대인들의
슬럼가를 세우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들의 외출이 제한되었다. 그리고 이들을
감시하는 군인들은 그리스도교인들이었다. 이렇게 유대인들의 슬럼가는
이들을 하나로 묶어주는 역할과 민족의 정체를 가르쳐주는 기회도 되었다.

1509 년에 독일에서 나온 유대인들은 이탈리아 베니스(Venice)에 정착할 수
있는 허락을 받았다.12 그당시 이탈리아는 유대인들에 대해 호의적이었다.
그러나 이들에게 완전한 자유는 주지 않았다. 다만 이들이 정착할 수 있는
조그마한 영역을 허락해주었다. 유대인들이 정착한 곳은 베니스지역
운하(canal)였다. 이 지역을 케토 누오보(Ghetto Nuovo) 또는 새로운
주조공장(New Foundry) 이라고 불렀다. 이유는 이곳에서 철을 녹여서 폭탄을
만들었으며 각종 쇠를 깎는 곳이였기 때문이다. 이렇게 유대인들이
슬럼가(ghettos)에서 사는 것을 좋게 본 지도자들은 유대인들을 슬럼지역에
살도록명했다. 그래서 유대인들은 항상 외곽이나 담 근처에서 사는 경우가
많았다.

유대인들은 항상 함께 사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으므로 이들은 어디를
가나 항상 뭉치면서 살았다. 이들은 합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그리고
유대교를 엄격하게 지키려고 또한 노력도 많이 하였다. 이렇게 슬럼가에서도
유대인들은 힘을 합하여 살았고 외부에서 오는 위협과 위험속에서도 굳굳하게
살았다. 물론 이들이 살기에는 슬럼가는 너무나 비좁았으나 이들의 안전을
위해서는 슬럼가도 보호지역이었다.


각주 Endnotes

1 사도행전 15 장에서 보면 예루살렘공회에서 예루살렘의 지도자들과 사도
베드로는 하나님앞에서 모든 사람이 동등하다고 보았으며 이방인들도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로 구원을 받는다고 말했다. 그래서 다시한번 복음이
이방인들에게 전해진것을 인정하였으며, 또한 바울이 이방인의 사도됨을
다시한번 입증해 주었다.
2 알렉산더 대왕의 헬라화 정책중 하나는 헬라어를 국제어로 삼는 일이였다.
영어로 Hellenization 라고 부른다.
3 기독교는 처음부터 박해를 받아왔고 순교의 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4 니케아공회는 로마황제 콘스탄틴으로 개최되었다. 니케아는 오늘날 터기
도시중에 하나이다.
5 Raymond, P. Scheidlin, A Short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From Legendary Times
to Modern Statehoo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6 솔로몬 벤 이삭 랍비는 탈무드의 주석가로도 매우 유명하다. Scheidlin, p. 101.
7이디쉬어는 아쉬케나지 지역(유럽의 북부 및 중앙 지역)의 유대인들의
역사적인 언어이다. Wikepedia “Yiddish”
8 1095 년부터 1291 년까지 일어난 예루살렘및 라벤트 지역의 지배권을 놓고
일어난 종교전쟁.
9Ami, Isseroff, Zionism-Israel.com
10 “Blood Libel” Wikipedia.com. Scheindlin, pp. 103-105.
11It is also called “the Black Death”. 유럽의 1/3 인구가 희생당한 최악의
전염병이었다. “Black Death” Wikipedia.com. Scheindlin, pp. 109, 117.
12“Venetian Ghetto.” Wikipedia.com. Scheidnlin, p. 155. 베니스지역에 처음으로
유대인들이 정착한떄는 1516 년도이다. 베니스의 슬럼가 빌딩은 1732 년까지
유지되었다.

참고 문헌 Bibliography

김의환, 기독교회사 서울: 성광문화사, 1982.
Chadwick H. 초대교회사, 박종숙 역,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1
Charnes E. E. 세계교회사 (상) 엄성옥 역, 서울: 은성, 1995.
Gonzalez, Justo L. 기독사상사 1. 이형기의 공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88..
Isseroff, Ami. “Crusade-Massacres of Jews” Zionism-Israel.com
Roth, Cecil. The House of Nasi: Dona Gracia. Philadelphia: Jewish Publication Society
of America, 1948.
Scheidlin, Raymond, P. A Short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From Legendary Times to
Modern Statehoo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Wikipedia Internet Source

Site Map
MSBNM-EWBI is a community of witnessing, sharing, and dialoguing on Christianity,
spirituality, and theology, and mission. 
Biblical Monastic Spirituality
​Welcome to Syrian Christianity Seminar
Online Class Catalog 
Purposes​
History
Photo Gallery
Martyr Sukbaknam
EWBI
HermitageHome
​Timeline of the Western Church 1st-10th century
​Christianity in Asia
​Syrian Connections​
About
​Books
​Media
Partners

​Western Treasures

Contact 
Privacy Policy
Terms of Service
                                                                                                            copyright@2022 Martyr Sukbaknam Monastery-EastWest Bible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 Home
    • Prayer Topics
  • Explore
    • About
    • Bak Nam Suk
    • EWBI >
      • Timeline of Christian Branches
      • Timeline of the Western Church 1st-10th century
      • Christianity in Asia >
        • Introduction
        • China Timeline History
        • Korea Timeline History
        • Syrian Connections
      • Online Classes
      • Recent Course Materials >
        • Christian Spirituality >
          • Guide to Christian Spirituality: Living in the Spirit
        • Song of Songs Survey >
          • Song of Songs: Love is Strong as Death
        • Syrian Christianity >
          • Registration Form
          • Survey Syrian Spirituality
          • SCS Note
          • SCS Outline
        • The Book of John 요한 복음 연구 >
          • 요한복음연구
      • Western Treasures >
        • Greek Manuscripts
    • Gospel
    • Lord's Prayer
    • Partners >
      • Missionaries
      • Friends
    • Purpose & History >
      • Affiliations
      • Ministries
      • Photo Gallery
    • Sainthood
    • Schedules
    • Alexander Pak >
      • Earlier years of Bro Alex's photos
      • CV
      • Papers and Writings from Prison
      • Written Works List
    • Terms of Service >
      • Contact
      • Privacy Policy
  • Resources
    • Articles and Writings >
      • On Passover in Jerusalem
      • In the Air
      • American Missionary John Livingstone Nevius (1829-1893)
      • Book Review: Reformation Sketches: Insights into Luther, Calvin, and the Confessions.
      • A Short History of Early Korean-American Churches in America (in Korean)
      • A Brief Introduction To A Secret of Survival of Jews: New Covenant People >
        • Book I Secret of Survival of Jews: New Covenant People >
          • I Chapter 1: In the Beginning
          • I Chapter 2: From Slavery to Freedom
          • I Chapter 3: Mt. Sinai
          • I Chapter 4: Keeping the Sabbath
          • I Chapter 5: Into the Promised Land
          • I Chapter 6: Kings in the Biblical Periods
          • I Chapter 7: The First Temple Period
          • I Chapter 8: The Fall of Kingdom of Judah and the Babylonian Captivity
          • I Chapter 9: Esther and Purim: Triumph of the Weak
          • I Chapter 10: Prescribed Feasts
          • I Chapter 11: Return to Zion and Alexander the Great
        • Book II: Victory Of Faith: Growth of Judaism >
          • II Chapter 1: Rebellion for the Religious Freedom
          • II Chapter 2: Patriarchal Rule
          • II Chapter 3: The Oral Tradition
          • II Chapter 4: The Talmud
          • II Chapter 5: Medieval Western Europe
          • II Chapter 6: Life of Jews among the Islam Setting
          • Affiliation2
          • II Chapter 7: Life of Jews in Eastern Europe
          • II Chapter 8: The Enlightenment and Freedom
        • Book III Victory of Faith: Inheriting the Land >
          • III Chapter 1: Jews in America
          • III Chapter 2: The Holocaust
          • III Chapter 3: Establishment Of Modern Israel
        • Timeline
        • Brief Outline of the Old Testament
        • Glossary
      • Introduction To Apologetics
      • The Existence of God: Revelations Introduced
      • On Humanity: Where Do We Come From?
      • The Person of Jesus: God’s Most Precious Gift
      • The Deity of the Holy Spirit
      • Christian Reformed Church Mission to China
      • A Brief Introduction To God’s Three-In- Oneness: The Trinity And The Council Of Nicaea, 325
      • Commentary on the Book of Revelation by Dr. Eun Kyu Park
      • Comparative Religious Study: Looking at Greek Orthodox Christianity and Understanding of Luther and Calvin On Scripture, Christology, the Holy Spirit and Church
      • Church Fathers
      • A Brief Intro. to Greek Orthodox Church
      • Brief Life's Sketches of the Church Fathers
      • The Council of Nicaea I, 325
      • Outline of the Council of Ephesus (A.D. 431)
      • Origen of Alexandria (185-c. 254)
      • Toward The Council Of Chalcedon, 451
      • The Development Of Episcopal Ministry For The Purpose Of Canon And Creed
      • Meaning of History
      • The Question of Authorities in Forming Christian Doctrine
      • Reflection on Theological Education (In Korean)
      • New Age and Its Impact on Churches and Society (in Korean)
      • Next-Generation Pastor’s Spirituality and Korean Church’s Well Being
      • Meditate on the Lord's Prayer
      • Councils of Nicaea, Ephesus and Chalcedon: Development of Episcopal Ministry
      • With Jesus in a Monastery
      • Antiochean Christology
    • Biblical Monastic Spirituality
    • BiblicalTraining Classes for Everyone
    • Books
    • Featured Book: Secret of  Survival of Jews—Triumph of the Weak
    • LEARNING BIBLICAL GREEK: DR BILL MOUNCE
    • 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