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4. 탈무드
The Talmud
바 코크바반란이후 산헤드린공회는 랍비연구소를 갈릴리지방인 디베랴로 옮겼다.
갈릴리지방은 유대의 북쪽에 위치하고있다. 디베랴지방에서 미슈나편집을 마친후
200 백년 만에 예루살렘 탈무드가 출판되었다.1
예루살렘 탈무드는 전쟁이 갓 끝난 후에 쓰여졌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여유가
없었으므로 다른 책에 비해서 짧았다.2 그래서 바벨로니안 탈무드와 비교해보더라도
예루살렘 탈무드는 두께가 얇았다. 그래서 예루살렘 탈무드는 약 단어로 750,000 정도
된다.
바벨로니안 탈무드는 예루살렘 탈무드보다 더 여유와 시간이 있는 가운데
기록되었기 때문에 해석과 연구에 대한 열매가 책에 잘 나타나 있었다. 그러나
바벨로니안 탈무드는 주후 6 세기 까지는 나타나지 않았다. 책에 쓰여진 총 단어는 약
이백오십만쯤 된다. 예루살렘 탈무드보다 더 자세히 나타나있고 오늘날에도 이 탈무드를
더욱 많이 사용하고 있는 편이다.3
바벨로니안 탈무드의 편집 위원의수는 약 1200 명정도 된다. 이들은 수라지방에
있는 연구소에서 랍비 아바 벤 이보의 지도하에서 탈무드를 편집하였다. 이들의 주장은
바벨로니안의 탈무드는 유대교의 전통및 보수를 강조하였다. 물론 연구를 하는 동안에
어려움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한때는 정부의 방해작전과 훼방 때문에 연구를 멈출때도
있었다. 그리고 다른 종교의 방해와 전도로 중단될때도 있었으나 탈무드 편집의 진전은
있었으며 주후 500 년경에 탈무드는 책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게마라(Gemara)는 예루살렘 탈무드와 바벨로니안 탈무드의 주석을 말한다.
히브리어로 “게마라”라는 의미는 “완성” 또는 “완료”라는 의미를 포함하고있다.
아람어로는 “전통”(tradition)이라는 뜻도 된다. 탈무드가 예루살렘에서 사용되었을
때에는 히브리어로 내려왔으나, 바벨로니안 탈무드는 아람어로 사용되어왔다.4
아람어는 유대인들이 바벨로니아 시대에 사용했던 방언이었다.
게마라와 법전편집으로 편집한 것이 미슈나이며 이것을 또한 오늘날 탈무드라고
부른다. 탈무드의 의미는 “연구” 또는 “학문연구”라는 의미를 가지고있다. 유대교를
연구하려면 탈무드를 사용해야한다.
누구든지 탈무드를 펼쳐보며는 히브리어로 기록된 미슈나가 있고 미쉬나옆에나
아래에는 아람어로 된 주석을 볼 수 있다. 여기에 기록된 주석은 주후 6 세기 부터 15 세기
까지 학자들의 연구의 열매를 볼 수 있다. 탈무드 학자들은 리쇼님(Rishonim) 또는
“첫번째”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5
탈무드는 그리하여 학자들과 랍비 그리고 법관들의 주석이 담겨있으며, 인간들이
살아야하는 모든 법과 관례 풍습등등이 기록되어있다. 탈무드의 주제는 사회적 공동체 삶,
개인적 삶, 도시, 시외, 민사법, 형사법, 공동체, 가정및 매일 일어나는 일들에 대해
언급되어있다. 탈무드는 인간살이에서 빼어놓은 부분이 거의 없다.6
탈무드의 내용을 분석해보며는 다음과 같다.
부분 또는 장을 스다림(Sedarim)이라고 부른다.7
1. 스라임(Zera’im): 농업 또는 목축법에 대해 기록됨. 그리고 기도와 축복에 대한 법이
포함되어 있음.8
2. 모에드(Mo’ed): 안식일과 축제에 대해 언급되어 있음.9
3. 나심(Nashim): 결혼과 이혼에 대해서 언급되어 있음.10
4. 네시킨(Nezikin): 민사법과 도덕에 대해서 언급되어 있음.11
5. 코다쉼(Kodashim): 제사와 성전안에서 행하는 일들에 대해 언급되어 있음.12
6. 토하롯 (Toharot): 순결에 대한 법과 불 순결에 대한 법에 대해 언급하고 있음.13
각 장에 나오는 책들을 마세크톳(Massichtoth)이라고도 부른다.14 이 책들은 합해서 총
63 권으로 나누어져 있다. 이렇게 탈무드는 다양성이 있으며 또한 모든 분야를 내포하고
있다.
탈무드는 율법만으로 느끼는 엄하고 건조한 것 만 있는 것이 아니라 내용
가운데서는 이야기도 있으며 전설, 기도, 비유, 신학, 신과 대화등의 살아있는 듯한 느낌을
주기도 한다. 탈무드는 읽은 자로하여금 랍비와 만나는 즐거움을 주기도 한다.
각주 Endnote s
1 유대교에서는 2 개의 탈무드가 있었다. 하나는 예루살렘 탈무드 또는 팔레스타인 탈무드(Palestine
Talmud)와 바벨론 탈무드(Babylonian Talmud)가 있었다. 예루살렘 탈무드는 주후 4-5 세기때 편집되었으며
바벨론 탈무드는 주후 6-7 세기에 편집되었다. 탈무드를 이야기 할때면 거의 바벨론 탈무드를 언급한다.
양은 예루살렘 탈무드의 두배나 된다. Joyce Moss, World Literature and Its Time: Profiles of Notable Literary
Works and the Historical Events That Influenced Them. (Detroit and New York: Thomson-Gale, 2004). P. 535.
2 Ibid.
3 George Robinson, Essential Judaism: A Complete Guide to Beliefs, Customs, and Rituals (New York: Pocket
Books, 2000). P. 346.
4 바벨론 탈무드는 동아람어(Eastern Aramaic)를 사용했으며 예루살렘 탈무드는 서아람어를 사용했다. Ibid.
p. 345.
5 Ibid. p. 347.
6 유대인의 모든 삶이 탈무드에 의해 살아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만큼 탈무드가 유대인에게 주는
영향은 매우 크다. Morris N. Kertzer, What Is a Jew?: A Guide to the Beliefs, Traditions, and Practices of Judaism
That Anersw Questions for Both Jew and Non-Jew, ed. A. Hoffman Lawrence (New York: A Touchstone Book: ,
1993). P. xxvii.
7 히브리어로 순서라(Order)는 의미를 가지고 있음. Abraham Cohen, Everyman's Talmud (New York: Schocken
Books, 1995). P. xliv..
8 히브리어로 ‘씨’(Seed)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음.Ibid. p. xlv.
9 히브리어로 ‘계절’ (Season)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음.Ibid.
10히브리어로 ‘여인’(women)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음.Ibid. p. xlvi.
11히브리어로 ‘배상’ (Tort)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음.Ibid. p. xlvi.
12히브리어로 ‘신성’ (Sanctities)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음.Ibid. p. xlvii.
13히브리어로 ‘순결’(Purities) 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음.Ibid.
14 히브리어로 ‘논문’ 또는 ‘소책자’라고 불리움. 탈무드 전체가 523 장으로 구성되어있다. Ibid. p. xliv.
참고문헌 Bibliography
Cohen, Abraham. Everyman's Talmud. New York: Schocken Books, 1995.
Kertzer, Morris N. What Is a Jew?: A Guide to the Beliefs, Traditions, and Practices of Judaism
That Anersw Questions for Both Jew and Non-Jew, Edited by A. Hoffman Lawrence.
New York: A Touchstone Book: , 1993.
Moss, Joyce. World Literature and Its Time: Profiles of Notable Literary Works and the
Historical Events That Influenced Them. Detroit and New York: Thomson-Gale, 2004.
Robinson, George. Essential Judaism: A Complete Guide to Beliefs, Customs, and Rituals. New
York: Pocket Books,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