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3. 입으로 전해진 율법
The Oral Tradition
유대인들이 디아스포라로 흩어져 살 때에 이들은 책에 기록된 모세율법을 가지고
있었다. 이 율법책은 바벨로니아 포로살이 때에 기록되었다. 그리고 모세율법 외에 이들은
구두로 내려온 법이 있었다. 또는 구두율법(Oral Torah)이라고도 부른다.1
구두율법은 히브리어로 토라 세베 페(Torah Sheb’ai Peh)라고 한다. 구두율법의
목적은 모세율법을 해석해 놓은것이다. 전통적으로 이 해석은 모세가 하나님에게서 받은
율법을 해석해 놓은것으로 선생에게서 제자들에게 전해진것으로 보고있다. 이렇게
함으로 해석의 견해와 차이가 학자들 사이에 생기게 되었다.
성전과 유대인들의 땅이 있었을때는 율법의 해석과 연구를 계속할 수 있었으나
그후 땅을 빼앗기고 성전이 없어졌을 때에는 이러한 연구와 해석을 제대로 할 수 없었다.
그 당시에 앞을 내다본 요크 하난 벤 삭개(Jokhanan Ben Zakkai)는 로마황제
베스파시안에게 유대인들의 율법연구할 곳을 허락해 달라고 간청하였으며 이후로
유대교를 연구할 수 있는 연구기관이 설립되었다. 벤 삭개는 바리새파의 학문과
산헤드린의 공회연구를 추진하기 시작했다. 이렇게 하여 유대교는 모세율법 연구와
구두로 내려오는 율법을 계속해서 연구하게 되었다.2
그리고 또한 로마인들을 피해서 숨어 있었던 학자들도 이들의 나름대로 율법을
코트화하여 보관해두었다.
미슈나(Mishna)의 시초가 이렇게 해서 시작되었다.3 미슈나의 히브리어의 의미는
“가르침”라는 뜻이 담겨져있다. 미쉬나를 편집하게 된 장본인은 라비 예후다 하
나쉬(Rabbi Yehuda Ha-Nasi)였다. 그의 이름의 의미는 “왕자 예후다”라는 뜻이다. 그는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나서 나중에 유대인사회에서 지도적인 위치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그가 영향을 준 곳은 남쪽 유대와 갈릴리지방이었다.
하 나쉬는 열열한 율법 연구가였으며 능력있는 지도자였다. 그리고 그는 그의
재산으로 남을 도와주고 유대인들을 보살피기도 했다. 그리고 그는 또 로마인들과도
원만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세명의 로마 황제까지도 그는 좋은 친분을
가지고있었다. 그가 친밀한 관계를가진 황제중 마커스 아렐리우스(Marcus Aurelius)도
포함돼있다.
이렇게 하 나쉬는 율법을 문자화하는 일에 집중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때에
미슈나가 편집되었다.
미슈나의 편집은 매우 시간이 많이 걸리고 또한 자료 수집하는 일에 있어서도 많은
노력이 필요했다. 그리고 오랜 세월을 거쳐서 편집이 마무리 되었다. 주후 200 년경에
미슈나의 편집이 끝이 났었다. 그러나 미슈나의 수정과 교정은 계속 요구되었다. 그리하여
몇 세기를 거쳐서 미슈나는 계속해서 편집이 되어왔다. 미슈나가 집중적으로 연구된
장소는 이집트와 바벨론이었다. 이런 사이에 게마라(Gemara)라는4 예루살렘과 바벨론의
탈무드가 편집되었다.
각주 Endnote s
1 Carol Bakhos, "Jewish Studies 10: Social, Cultural, and Religious Institutions of Judaism," (U.C.L.A. 2005). P.
139.유대교의 구전법은 일반적으로 볼때에 모세가 시내산에서 가지고 온 돌판의 법의 해석부터
시작되었다고 보고 있다. 어떤 학자들은 더 나아가서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기록된 말씀과 구두로도
말씀하셨다고 믿는 다. 이렇게 구전법이 시작되었다고 주장한다. George Robinson, Essential Judaism: A
Complete Guide to Beliefs, Customs, and Rituals (New York: Pocket Books, 2000). P. 313.;
2 Robinson. p. 322.
3 미쉬나(Mishnah)는 ‘가르침’(teaching)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주후 2 세기 부터 존재한 유대교의
할라카의 구전법을 풀이해놓은 책이다. 그리고 후에 랍비 유다 하 나시(Judah Ha Nasi)로 말미암아 편집되고
출판되었다. 미쉬나는 유대교에 있어서 법적인권위를 가지고 있다. Ibid. pp. 322-32.
4 Bakhos. Pp. 140-1. ‘게마라’는 미쉬나와 그밖의 타나크등에 대한 해설을 정리한 책이다. 주후 500 년경에
편집되었다.
각주 Bibliography
Bakhos, Carol. "Jewish Studies 10: Social, Cultural, and Religious Institutions of Judaism."
(U.C.L.A. 2005).
Robinson, George. Essential Judaism: A Complete Guide to Beliefs, Customs, and Rituals. New
York: Pocket Books,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