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5. 약속의 땅 안에서
In the Promised Land
가나안(Canaan)땅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백성에게 약속해주신땅이다. 1
가나안의 이름은 노아의 아들 함(Ham)의 아들인 가나안에서 따 온것이다.
가나안땅은 요단강과 사해바다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남쪽 경계선은
이집트이며 북쪽 경계선은 시리아(As syria)이다.
(한때에는 지경이 동쪽인 요단동편(T rans jordan)까지 포함되기도 했다.)
가나안 사람들은 셈족의 후손들이었으며,2 히브리인들과 유사한 언어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들의 생업은 농사를 짓는 일이었으며 가끔 사냥을 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여호수아서(Book of Joshua)에 보며는 하나님께서 어떻게
이스라엘백성들을 가나안땅에 인도하여 내셨는지 잘 기록되어있다. 3 모세가
죽은 뒤 주전 약 1250 년경에 하나님은 여호수아를 모세의 후계자로 세우시고
이스라엘백성들을 인도하도록 하셨다. 4 여호수아는 에브라임의 족속에 속한자
이며 아버지의 이름은 눈(Nun)이었다. 여호수아는 모세의 수종드는
자로서모세의 지도력밑에서 많은 훈련을 받았다. 그는 이스라엘백성의
지도자로서 손색이 없는 자였다.5
그러나 그가 들어가야 하는 가나안 땅 역시 대단히 강한 곳이었다. 가나안
사람들은 이스라엘 백성보다 더 강한 무기를 가지고 있었으며 전쟁경험도 많은
자들이었다. 그리고 도시의 성벽과 담은 매우 높았고 견고했다. 오래된 역사와
많은 전쟁을 통해 살아온 가나안땅을 정복하기는 거의 불 가능한 일이었다.
성경에 보며는 하나님께서 여호수아를 통해 제사장들로 하여금 언약궤를 메고
여리고성을 돌라고 명령하셨다.6 그래서 여호수아는 가나안땅 정복의 전초지를
여리고(Je richo)로 정했다. 7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한 여호수아는 제사장과
군인을 불러내어 여리고성을 돌게하였다. 전략은 이러하였다. 맨 먼저
무장군인이 여리고 성벽쪽을 행진하고 다음 나팔을 든 일곱명의 제사장이 따르고
다음으로 하나님의 법궤와 마지막으로 후위를 담당할 부대가 뒤를 따랐다.
그리고 이 계열로 6 일을 계속해서 연속 행진하였고 제 7 일에는 이른 새벽에
행진한 모든 자들이 제사장 7 명과 함께 큰 소리로 고함을 쳤다. 그때에 순식간에
여리고 성벽이 무너지고 드디어 여리고는 함락되었다.8
여호수아가 점령한 땅 중에 하솔(Hazor)이라는 곳이있다. 이 땅은 가나안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거민은 약 오만명 정도 살고 있었다. 성경에서
여호수아는 군인들과 함께 가나안 북방땅 하솔에 거하는 모든 사람들과 육축과
신전들을 다 진멸하고 불살랐다. 이는 하나님의 명령에 하나도 빠짐없이
준행한것이다.9
여호수아의 전쟁중에 승리만 있었던것은 아니다. 전쟁가운데 패배한
경우도 있었다. 이스라엘백성이 여리고에서 서북쪽으로 위치한 요지
아이(Ai)성이 있었다. 10 이 성은 성서 지리학적으로 군사상의 요지로
알려져있다11 . 여호수아의 정탐군의 보고를 받은 여호수아는 2000- 3000 명의
군인을 보내어 정복하도록 했다. 그러나 인명피해를 보고 패배하고 내려왔다.
이때 이스라엘백성들은 사기를 잃고 실망하였다. 전쟁패배의 원인이 밝혀졌다.
아간(Achan)이라는 자가 노략한 물건 중에 시날산에 아름다운 외투 한 벌과 은
200 세겔과 50 세겔 중량의 금덩이 하나를 보고 탐내어 취하였던것이다.
여호수아는 아간을 아골골짜기에서 처형하였다. 성경에서 여호수아가 그가
숨겨둔 모든 물건들을 가져다가 여호와 앞에 놓은 다음에 온 이스라엘이 그를
돌로 치고 그것들도 돌로 치고난 다음에 . 그의 시체와 물건들을 불로 사르고 그
위에 돌무더기를 크게 쌓았다. 그리고 그 곳의 이름을 아골골짜기(Valley of
Achor)라고 부른다.12
언약궤는 이스라엘 백성과 늘 함께 같이 다녔다. 이제 가나안 땅에
이스라엘 백성들이 천천히 정착하게 되면서 언약궤는 실로(Shiloh)와 그 후에
에벤에셀(Eben- Eze r)에 영구히 있게 되었다.13 후에 블레셋 사람들과의 전쟁의
패배로 언약궤는 아스돗(Ashdod)으로 옮겨갔다. 그리고 또 다시 여러
블레셋도시로 옮겨 졌었다. 성경에서 언약궤가 가는 곳마다 그 곳에는 재앙과
염병이 생겨나고 이 것을 깨달은 블레셋사람들은 언약궤를 다시
이스라엘백성들에게 돌려 보내기로 결정하였다.14
언약궤가 예루살렘에 거하게 된때는 다윗왕때이다. 15 그리고 다윗왕의
아들인 솔로몬(Solomon)왕이 하나님을 위해서 성전(Solomon Temple )을
건설하고 난 후에 언약궤는 영구히 성전에 머무르게 되었다.16 역사에 보며는
솔로몬왕이 성전을 건축한때를 주전 825 년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나서 주전
5 세기때 바벨론왕으로 부터 예루살렘이 함락되고 예루살렘성전을 불로 태우고
성벽을 허물어 황폐하게 만들었다.17
하나님의 언약궤는 이때부터 어디에 있는 지는 아무도 모르고 있다. 다만
언약궤는 이스라엘백성에게 있어서 이들의 역사가운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여호수아가 죽은후에 이스라엘 역사가 사사(Judge s )들의 시대에 들어서게
된다.18
성경에서 사사기는 여호수아 시대의 끝으로 부터 시작하는 책이다.
여호수아와 같은 강력한 지도자가 나오지 않아 이스라엘백성들은 혼란과
혼합종교에 빠지게 되었다. 하나님께서는 사사들을 보내어 그의 백성을 배교와
우상숭배에서 건져내셨다.
사사들은 무사의사와 교사의사를 결합한 것이며 이들은 군사적
지도자이며 또 교육적 지도자의 위치에 있는 자들이었다. 영어로는
재판관(Judge s )이란 이름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사사들을 재판관장이라고 보기
보다는 이스라엘백성이 어려움을 당할때 마다 나타나 이들을 구출하는
유력자이었다.19
사사시대는 여호수아가 죽은 후 왕정수립까지 주전 1300- 1050 년경의 약
200 년간 존속하였다. 하나님이 왕으로 직접 통치하시는
신정(T heocratic)시대이며 상기의 사사에 의해 사회 질서가 유지 되었다.
이스라엘의 역사를 볼때에 사사기는 왕정시대까지를 이어주는 중요한 책이며
또한 그 당시 이스라엘백성들의 사상, 신앙모습들을 잘 보여주는 하나님의
말씀이기도하다.20
이스라엘의 사사들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 옷니엘(Othnie l), 에훗(Ehud),
삼갈(Shamgar), 드보라(Deborah), 기드온(Gideon), 아비멜렉(Abime le ch),
돌라(T ola), 야일(Jair), 입다(Jephthah), 입산(Ibzan), 압돈(Abdon),
삼손(Samson)이며, 엘리(Eli)와 사무엘(Samue l)도 이스라엘의 사사들의 계보에
들어있다.
사사기의 이야기 가운데 이스라엘백성의 위기와 패배들은 이스라엘백성이
하나님의 말씀을 어기거나 멀리하였기 때문에 온것이라고 성경은 기록하고 있다.
그래서 사사들은 이스라엘백성으로 하여금 이들의 잘못과 죄를 회개하고
하나님의 율법을 다시 지키도록 인도하는 것이었다.
이스라엘 사사중에 여인이 있었다. 여자 사사의 이름은 드보라
(Deborah)였으며 그녀 남편의 이름은 랍비돗(Lapidoth)이었다. 드보라는
여선지자였으며 백성들의 지도자였다. 그리고 그녀는 군대의 전력가이기도했다.
그녀는 바락(Barak)과 함께 전쟁지시도 내렸고 바락을 돕기도 했다.21
드보라는 하나님의 예언과 계시를 통해 이스라엘백성이 시스라(Sis e ra)의
가나안 군인들을 물리칠것을 예고 받고 바락을 통해 전진하라고 지시하기도 했다.
처음에는 바락이 의문과 질문이 많았지만 순종하는 의미로 병사 1 만을 데리고
다볼산에서 시스라의 군대와 결전하여 시스라의 철병거와 군대를 격파하였다.
성경에는 하나님께서 비를 내리게 하사 땅이 진흙이 되게하사 시스라의 철병거가
진흙에 빠져 움직이지 못하고 있을때 바락과 군병들이 시스라의 군대를
무찔렀다고 기록하고 있다. 전쟁의 승리는 드보라를 통해서 예언된 것이며,
이스라엘 백성의 승리도 하나님께서 인도하신것을 보여준 것이다.
사사중에 초인력을 자진 자가 있다. 이름은 삼손(Samson)이다.22 삼손은
전설적인 유대인의 영웅이며 초자연적인 힘을 가진 자였다. 그는 사십년동안
이스라엘백성을 치리하였다. 그 당시의 이스라엘의 적은 블레셋 사람들이었다.
블레셋 사람들은 이스라엘백성을 괴롭히고 억압하였다. 블레셋 사람들은 그당시
해안쪽으로 거주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 지역들을 가사(Gaza), 아스돗(Ashdod),
그리고 욥바(Jaffa)라고 부르고 있다.
삼손의 이야기는 들릴라(De lilah)를 빼놓을 수 없다. 이야기는 이렇게
소개된다. 블레셋에게는 삼손의 나타남이 위협이었다. 그리고 삼손은 매번
블레셋과 싸우면 승리를 하였다. 그래서 블레셋 지도자들은 삼손이 들릴라를
사랑하는 것을 알고는 그녀에게 은 1,100 개를 줄것을 약속하면서 삼손의 괴력의
비밀을 알아내도록 하게 하였다. 블레셋 방백들에게 매수된 들릴라는 삼손에게
그의 괴력의 비밀을 이야기 해줄것을 졸라댔다. 삼손은 세번씩이나 들릴라에게
그의 비밀을 이야기 하지않았으나 그녀의 끈질긴 애원에 못이겨 드디어 삼손은
그의 괴력의 비밀을 이야기 하고 말았다. 그의 고백은 아직 삭도를 대지않은
머리카락이 힘의 원천이라고 말하였다.23
그러던 어느날 밤, 삼손이 들릴라의 집에서 잠을 자고 있는 중에 그녀는
삼손의 머리카락을 7 가닥이나 잘랐다. 그리고 숨었던 블레셋 방백들은 삼손을
체포하려고 뛰쳐나왔다. 삼손은 이제 그의 힘이 나간것을 모르는 가운데
일어났으나 이미 그에게서 힘은 빠져나간 상태였다. 블레셋에게 잡힌 삼손은 두
눈을 뺏겼고 가사로 끌려 갔다.24
이제 처형을 기다린 삼손은 블레셋 사람들 앞에서 조롱을 당하였다.
그리고 옥중에서 맷돌을 돌리고 있었으며 죄인의 모습을 드러내고있었다.
블레셋의 신인 다곤(Dagon)의 축제일때에 여흥행사로 삼손을 옥에서 불러내어
힘의 재주를 부리게 하였다. 그를 다곤신전의 두 기둥사이에 묶어놓았다. 그때에
신전에 모인 자들은 남녀 3000 명 가량이 삼손의 재주 부리는 것을 보려고
모여있었다. 그때에 삼손의 머리에서 머리카락이 다시 자라고 있었다. 이제 힘을
가지기 시작한 삼손은 하나님께 기도를 드렸다. “주 여호와여 구하옵나니 나를
생각하옵소서. 하나님이여 구하옵나니 이번만 나를 강하게 하사 블레셋 사람이
나의 두 눈을 뺀 원수를 단번에 갚게 하소서”라고 간구했다.25 삼손은 마지막
공격을 위해 기력을 회복하고 그의 몸을 굽히자 다곤신전의 받친 두 기둥이
무너지면서 큰 소음과 함께 신전이 무너져 내려 앉아버렸다. 그리하여 삼손은
그 안에 있는 모든 방백과 백성과 함께 깔려 죽었다. 그리하여 삼손은 그의
원수들에게 보복을 하였으며 그 자신도 원수들과 함께 죽고 말았다.
삼손의 생애는 비극이었다. 여호와의 택함을 받아 이스라엘백성을
구출해야하는 사명을 받았지만 그의 싸움에는 항상 여자가 개입 되어있었다.
먼저 딤나의 여자, 다음에는 가사의 여자, 그리고 세번째가 소렉 골짜기의
들릴라였다. 처음 결혼에 실패한 삼손의 삶은 마침내 들릴라에게 미혹되어 그의
힘을 잃고 비참한 처지에 떨어지고 말았다. 그러나 또한 삼손은 신앙의 용사였다.
그는 모든것이 하나님께로 부터 온것을 믿고 있었으며 그의 사랑 또한
진실이었다. 그는 끝으로 하나님의 뜻안에서 그의 적인 블레셋의 지배하에서
이스라엘을 구출한것은 사실이다. 거기에 하나님의 경륜이 있는 것이다.26
이스라엘백성들은 그들이 옮겨 다니며 살면서 그 곳의 사람들의 풍습과
습관 그리고 종교에 영향을 받고있었다. 특히 가나안땅에서 살면서 이들은
가나안 종교에 접하게 되었다. 이것은 이스라엘백성들에게 있어서 올무가 되었다.
가나안땅의 신들은 다양하였다. 그리고 이들은 이러한 신들이 자연과 인간의
삶의 앞날을 주관한다고 믿고있었다. 그래서 이 신들에게 제사를 드리고 향을
피웠다.
성경에서는 이스라엘백성들이 하나님을 숭배하는 것을 버리고 가나안땅의
신들을 섬기므로 하나님과 맺은 언약을 잃어버렸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래서
성경에서 늘 말하기를 이스라엘백성이 하나님을 멀리하면 그들에게 힘든 역경과
고난이 닥친것이라고 한다. 그래서 그들에게 패배와 억압이 항상 하나님을
멀리할때에 따랐다 그러나 하나님께 회개하고 돌아오면 그때부터 평화가
찾아오기도 했다.
이스라엘의 마지막 선지자는 사무엘(Samue l)이다. 이스라엘 역사를 볼때
사무엘은 사사들 보다는 제사장 또는 선지자로 여기고 있다. 그는 이스라엘 온
땅에 다니면서 하나님의 말씀과 백성들을 지도하였다. 그리고 그는 누구보다도
존경을 받은 선지자였다. 그러나 그가 살았던 당시에도 전쟁의 위협은 항상
따라다녔다. 블레셋의 군사의 협박과 위협은 그에게서 군사의 지도력을
요청하기도 했다. 성경에서 사무엘은 그의 두 아들들에게 희망을 걸었다. 그러나
그 아들들은 이스라엘의 지도자가 될 만한 인물들이 못되었다. 이스라엘
지도자들은 다른 생각을 가지고있었다. 사실상 이집트에서 나온지 400 년이
지난 이때까지도 이스라엘 백성들에게는 중심적인 인물이 없었다. 지도자에대한
필요성은 블레셋의 위협으로 더욱 간절하게 느끼게 되었다. 이스라엘백성들은
이웃들의 왕들에 대해 부럽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또한 왕에대한 간절함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왕을 통해서 흩어진 모든 지파와 족속들을 단합시키고 힘을
모으는 일에 있어서 왕이 필요한것을 느꼈다.
사무엘은 이 사실에대해 매우 못 마땅하게 생각하였다. 이유는 하나님이
모든것을 인도하셨고 백성들에게는 더 이상 다른 것이 필요 없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백성들의 간구를 들어주셨다. 그리고 하나님께서 백성들에게
왕이 그들을 괴롭힐것을 미리 말씀하셨다.
이제 나이가 많이든 사무엘은 하나님의 인도하심에 따라 이스라엘의 첫
왕을 기름붓기 위해서 나간다.
각주
Endnote s
5. 약속의 땅 안에서
In the Promis e d Land
1 성경은 보통 이스라엘 시대 이전의 팔레스타인 주민을 가나안인, 또는 아모리
족이라 부르고 있다. 이 두가지 용어를 혼용하는 것이 적절하지는 않지만, 성경이
사용하는 이 두 이름을 구별하는 것은 어렵다. 그 이름이 무엇에서 유래했든
이집트제국 시대에 ‘가나안’이라는 말은 (요단간 동편을 제웨한) 서부 팔레스타인,
베니게의 대부분, 남부 수리아를 포괄하는 지역를 가르키는 공식 명칭이었다.
‘가나안’인은 이 지방 주민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던 서북 셈 족을 가리키는
명칭이었을 것이다. B. Bright, A History of Israel 4ed. (Louisvil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0), 152.(번역, 엄성옥)
2 Ibid.
3 참조. 여호수아 6 장
4 LaSor, Old Testament Survey, p. 205.
5 눈의 아들 여호수아는 모세의 휘하에 있던 용장으로서 큰 공을 자주 세웠다.
여호와의 말씀을 모세에게서 배우고, 모세가 죽은 후 그의 후계자로 피택되어
이스라엘 민족의 지도자가 되었다. 그는 여호와를 위하여 열심히 일하였고 또
지도자 모세에게도 절대 복종과 봉사를 하였다. 곧 ‘주종의 도’와 ‘사제의 도’를
충실히 행한 모범적 인물이었다. 그는 모세가 명한 하나님의 말씀을 우로나 좌로나
굽히지 않고 걸었기 때문에 모세의 후계자로서 가나안의 정복과 토지 분배의
대업을 완수할 수 있었다. 강석호, 평신도가 이해가 구약 성서 , p. 178.
6 참조. 여호수아 6:1-5
7 여리고는 예루살렘으로 부터 동북쪽으로 약 35 km 되는 곳에 있는 오아시스이다.
여리고는 사해북단으로 부터 약 10 km 북쪽이고, 요단강으로 부터는 약 7 km
서쪽이 되는 요단 계곡에 속해 있는 해저 250 m 되는 곳이다. 여리고는 낮은
지역이라 여름에 매우덥다. 그러나 겨울에는 춥지 않다. 여리고 성은 사람이 살았던
역사가 주전 8000 년경부터이기에 그동안 17 회 이상의 도시가 건설되었다. 각
시대에 따라 여리고의 위치와 도시의 이름이 변화도기도 했다. 박 수자, 약속의 땅
이스라엘, P. 262.
8 참조. 여호수아 6: 15-21
9 참조. 여호수아 11: 1-15. 하솔(Hazor)왕 야빈이 여호수아가 남방을 정복했다는
소식을 듣고 북부 가나안의 제왕을 규합하여 이스라엘군과 싸우려 했으나 그는
참패했다. 여호수아는 왕을 칼날로 쳐 죽이고 성중에 있는 모든 사람을 멸하고
불살랐다. 하솔은 주전 1400 년경 대회재로 멸망하였는데 근대의 고고학적 발굴에
의해 증명되었다. 기타 성읍들을 취하여 그 왕들은 진멸하였다. 하솔은 불살랐으나,
산위에 건축한 성읍은 자기들이 살기 위하여 불사르지 아니 하였다. 그 성읍의
재물은 이스라엘 자손이 탈취하였다. 여호와께서 무릇 모세에게 명하신 것을
하나도 행치 아니한 것이 없었다. 강석호, pp. 186-187.
10 참조. 7-8 장. 아이(Ai)성의 사건은 죄로 인한 패배였음. 아간의 탐욕으로
말미암아 이스라엘 군이 패배를 하였고 아간의 처형으로 말미암아 승리를 가져
오게 되었음.
11 고고학자의 발굴에 의하면 아이성은 여리고보다 큰 성읍임이 발혀졌다. 강석호,
p. 183.
12 참조. 여호수아 7:22-26.
13 참조. 사무엘상 4:1-11.블레셋전쟁의 패전으로 언약궤를 빼앗기게 됨.
14 참조. 사무엘상 6: 1-12.하나님이 언약궤와 블레셋의 우상인 다곤당의 다곤상의
곁에 두었으나 이튿날 다곤이 엎드러져 얼굴이 땅에 닿았고 그 머리와 두 손목이
끊어져 문지방에 있고 다곤의 몸둥이만 남았다. 다곤이 여호와 앞에 굴복하여
엎드려 박살이 나서 부서져 있었다. 그 이후에 더하여 독종으로 아스돗과 그 지경을
쳐서 망하게 하니 아스돗 사람들이 이 재난을 보고 하나님의 궤를 가드로 옮기나
거기서도 재앙이 발하므로 하나님의 궤를 이스라엘로 되돌아가게 함. 강석호, pp.
225-226.
15 참조. 사무엘하 6 장.
16 참조. 열왕기상 5-7 장. 솔로몬은 다윗의 아들이며 성전건축과 그의 궁전을
설립하였다. 그는 즉위한지 4 년 시브월에 성전을 건축하기 시작하여 7 년 6 개월을
요하여 완공하였다.
17 이스라엘 역사로 보며는 2 번의 포로 시대들이 있었다. 첫번의 포로 시대는 주넌
722 년 북왕국 이스라엘의 앗수르의 침공에 의해 사마리아의 함락으로 남북
병존시대는 끝났다. 두 번째는 남쪽 왕국 유다는 주전 586 년경에 바벨론의
침략으로 예루살렘과 솔로몬 성전의 파궤로 포로생활을 하게 되었다. 참조.
Theodore H. Robinson, p. 372-429.
18 사사(Judges)란 말은 ‘무사’의 ‘사’와 ‘교사’의 ‘사’를 결합한것이며 이들은 군사적
지도자이며 또 교육적 지도자란 면에서 나온 역어이다. 영어로는 Judges
‘재판인’이란 뜻으로 사법상의 지도자이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재판인이라기 보다
이스라엘 민족의 정치적 군사적 위기에 임하여 하나님의 영력을 받아서 민족을
위난에서 구출한 지방 유력자였다. 그러므로 사사는 구조자, 옹호자, 지도자,
지배자란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지파 내에 있어 일시적 유력한 종교적 군사적
지도자였다. 사사 시대는 여호수아가 죽은 후 왕정수립까지 주전 1300-1050 년경의
약 200 년간 존속되었다. 하나님이 왕으로 직접 통치하시는 신정 정치새대이며
상기의 사사에 의해 사회 질서가 유지 되었다. 강석호, p. 196.
19 사사기는 역사적 가치가 매우 크다. 가나안(Cannan) 침입 당시의 이스라엘인의
생활상이 잘 나타나 있으며 당시의 사상, 신앙을 직설한 것이기 때문에 귀중한
가치를 가지고 있음. 강석호, Ibid.
20 LaSor 는 사사기를 설명하면서 사사기의 부분은 역사의 개념이라고 말하고 있다.
“Part of the message of Judegs is its concept of history.” LaSor, p. 22. 이 뜻은 하나님의
성실하심과 인자하심이 이스라엘 백성의 불순종과 우상숭배속에서도 나타남을
보여주고 있음. 하나님은 그의 백성을 끝까지 참으시고 기다리심.
21 참조. 사사기 4:4-5:1-31.
22 참조. 사사기 13-16 장. 삼손은 하나님께서그가 모태에 생기기 전에 그를
택하셨다. 그의 사명은 블레셋 사람의 손에서 이스라엘을 구원하는 것이였다.
LaSor 은 삼손이 도덕적으로는 본이 못 되었다고 보고 있으며 또한 그는
개인주의적 사람이라고 지적함. C. F. Kraft는 그를 부정적인 종교지도자라고
일컷음. 그러나 삼손은 하나님을 믿었으며 블레셋 지배하에서 이스라엘을
구원한것은 인정해야 함. LaSor, p. 22.
23 참조. 사사기 16: 4-22.
24 참조. 사사기 16: 21.
25 참조. 사사기 16:28.
26 강석호, p. 212.
참고문헌 Bibliography
Boadt, Lawrence. Reading the Old Testament: An Introduction. New York: Paulist Press,
1984.
Brinto, Crane, John B. Christopher, Robert Lee Wolfe and Robin, W. Winks, A History
of Civilization: Volume I: Prehistory to 1715 6th Ed. New Jersey: Prentice-Hall, 1984.
Burton-Christie, Douglas. The Word in the Desert: Scripture and the Quest for Holiness
in Early Christian Monasticism. New York an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Encyclopaedia Judaica. New York: McMillan, 1971.
Kang Soo Ja, The Promised Land of Israel. Seoul, Yang Suh Publishing Co., 1986.
76
Kertzer, Morris N. (Rev. by Rabbi Lawrence A. Hoffman), What is Jew? New York: A
Touchstone Book, 1993.
Kurt, Amérlie. The Ancient Newar East c. 3000- 330 B.C. Vol. I.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1995.
LaSor, William S., Daivid Allan Hubbaard, Fredrick WM. Bush, Old Testament Survey:
The Message, Form, and Background of the Old Testament . Grand Rapids: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2.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Jewish Religion. Ed. R. J. Zwi Werblowsky and Geoffrey
Wigoder (New York & Oxford: OUP, 1997.
Werner, Keller. Trans. B. H. Rasmussen, The Bible as History 2nd. Ed. New York:
William Morrow and Company, 1981.
강석호, 평신도가 이해가 구약 성서 . 서울: 은혜기획, 1998.
이원우. 성서: 거룩한 글들의 도서관. 서울: 살림,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