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2. 노예에서 부터 자유까지
From Slavery to Fre edom
야곱(Jacob)에게는 유일하게 가장 사랑스러워하는 아들이 있었다. 그의 이름은
요셉(Jos eph)이였다. 요셉은 야곱의 열 한번째의 아들로서 태어날때 부터
아버지의 사랑을 독차지 했다.1 이유는 야곱이 제일 사랑하던 라헬의 첫번째
아들이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라헬은 레아처럼 자식을 쉽게 그리고 많이 낳지를
못했다. 레아와는 반대로 라헬은 오랫동안 자식을 낳지 못했다. 그래서 그의 여종
빌하에게서 단(Dan)과 납달리(Naphtali)를 낳게 하였다.2
그러나 아버지의 사랑을 독차지 한 요셉은 반대로 형제들과의 관계는 매우
좋지 않았다. 그리고 요셉이 열 일곱이 되자 그는 형들과 함께 양을 치는 일에
참여하게 되었다. 이 일을 기념하는 의미에서 야곱은 요셉에게 색동옷을 입혔다.
이 일은 형들에게 더욱 더 미움을 사는 일이 되버리고 말았다.
그리고 요셉은 형제들의 잘못된 일들을 아버지에게 고해 바치는 일을
하기도 했다.3 그리고 형제들과 아버지에게 미움을 산 일은 그의 꿈에대한
이야기 였다.4
요셉의 꿈의 내용은 열한별들이 자신에게 절을 하는내용이었으며 이 일로
형제들은 요셉을 죽이기로 작정하였다.
맏아들인 르우벤은 요셉을 죽이려는 일에 반대하였다. 그리고 요셉을
도우려고 애를 쓰기 시작했다.5 르우벤은 요셉을 죽이는 것보다 이스마엘
상인들에게 팔것을 제안했다. 요셉을 팔아버린 형제들은 요셉의
색동저고리에다가 짐승의 피를 묻혀서 아버지 야곱에게 내어놓았다. 짐승에게
찢겨죽은줄 안 야곱은 요셉을 위해 매우 슬퍼하며 울었다.6
그러나 이스마엘 상인들은 요셉을이집트의 시위대장 보디발에게 팔았다.
그리고 보디발은 요셉을 그의 집의 종으로 삼았다. 요셉은 보디발의 아내의
유혹에도 아랑곳없이 일만 하였으나 보디발의 아내는 그에게 누명을 씌워 요셉을
감옥에 집어넣었다. 요셉은 이제 피할 수 없는 죄수가 되고 말았다.7
감옥에 갇힌 요셉은 그곳에서도 꿈을 해석하면서 죄수들과 간수들에게
인정을 받았다. 그 곳에 바로의 술잔을 책임맡은 관원과 떡을 굽는 관원이 옥에
갇혀있었다. 이들은 각 각 꿈을 꾸었으며 그 꿈을 요셉에게 풀어주기를 요청했다.
요셉의 꿈의 해석을 통해 생명을 건진 술맡은 관원장은 요셉을 기억하지 못했다.
그리고 세월이 지났다.8
어느날 바로는 잠을 자면서 꿈을 꾸었다.9 꿈의 의미를 모르는 바로는
술잔을 책임맡은 관원의 기억으로 요셉을 왕궁으로 초청하게되었다. 바로앞에선
요셉은 꿈이 하나님께로 부터 나온것이며 해석 또한 하나님의 뜻에서 부터
나옴을 강조했다.
꿈의 내용은 나일강(Nile Rive r)에서 살찐 아름다운 일곱 암소가 나오고
나서 후에 약하고 심히 흉악하고 파리한 일곱 암소가 나일강에서 나와서 그
파리하고 흉악한 소가 처음의 일곱 살찐 소를 먹었으며, 또 다시 꿈을 꾼
내용역시 한줄기에 무성하고 충실한 일곱 이삭이 나오고 그 후에 또 쇠약하고
동풍에 마른 일곱 이삭이 나더니 이 쇠약한 이삭이 좋은 일곱 이삭을 삼키는 꿈의
내용이었다.
요셉은 바로의 꿈의 해석을 하나님의 이름으로 해주었다. 이집트에 칠년 풍년이
있을 것이며, 후에 칠년 흉년이 들것을 예언해주었다. 그래서 바로에게 음식을
저장하고 칠년 흉년을 위해 준비할것을 말했다.
요셉을 믿은 바로는 요셉을 흉년을 위해서 음식 저장하는 자로 책임을
맡기고 또 그를 애굽의 국무총리로 임명하였다.10 칠년 풍년후에 칠년 흉년이
들었을때에는 이집트는 이미 준비가 된 상태였다.
바로는 요셉의 이름을 “사브낫 바네아”라고 지어 주었으며11 그는 제사장
보디베라의 딸 아스낫12을 그의 아내로 주었다. 아스낫은 요셉에게 두아들을
낳아주었다. 이들의 이름은 므낫세(Manas s eh)와 에브라임(Ephraim)이었다.13
이제 흉년은 애굽 온 땅에 퍼지고 근처 지방에 까지 가뭄의 영향으로
사람들이 굶기 시작하였다. 야곱과 그의 자식들이 살고있는 가나안땅에도 가뭄이
들기시작했다. 애굽땅에 곡물이 있다는 소식을 들은 야곱은 아들들에게 애굽땅에
가서 곡식을 사가지고 오라고 보냈다.14 야곱은 막내 아들인 베냐민만 남겨놓고
그의 모든 아들들을 보냈다.15 이제는 가족모임의 시간으로 옮겨져 가고있었다.16
요셉의 형제들이 이집트에 곡식을 사러 오는 때 부터 요셉의 꿈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애굽에 도착한 형제들은 국무총리가 된 요셉 발앞에
무릎을 꿇고 절을 하고 곡식을 살 수 있도록 요청하였다.17 물론 형제들은
요셉을 알아볼 수 없었지만 요셉은 형들을 한 눈에 알아볼 수 있었다.18 요셉은
애굽사람들의 모습으로 나타나있었다. 그의 마음에는 형들에게 그의 자신을
당장이라도 소개 하고 싶었지만 먼저 그들의 마음을 시험해보기로 작정했다.19
그래서 요셉은 그의 신하들에게 그가 사용하는 잔을 곡식과 함께 자루에
넣도록 명령하였다. 그리고 나서 그들에게 가나안땅에서 온 스파이라고 누명을
씌었다. 당황한 형들은 그들의 자신들을 소개하면서 나이많은 아버지와 막내
동생이 아직도 가나안땅에 거하고있다고 고백하였다.20 요셉은 이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서 형 시므온을 놔두고 형들을 가나안땅으로 보낼것을 말했다.21
난처한 일을 당한 형들은 형제 시므온을 놔두고 곡식을 가지고
가나안땅으로 돌아갔다. 고향에 도착한 형들은 아버지 야곱에게 그들에게 일어난
모든것을 알리자 야곱은 고심 끝에 베냐민을 이집트로 보내기로 결심하였다.22
애굽에 도착한 베냐민은 요셉의 마음을 흔들어 놓았다. 그리고 또 한번의 일을
만드는 요셉은 벤자민과 형들에게 그의 자신을 털어 놓았다.23
요셉이 그들의 동생이라는 기쁨 보다는 그의 보복에 더 떨은 형들은 이제
무어라 할 말을 잃었다. 그러나 보복 보다는 형들을 위로하는 요셉의 모습은
용서로 그들을 받아주었다. 그리고 요셉은 형들에게 하나님의 계획속에서
모든일들이 이루어져 가고 있다고 위로해 주었다. 그가 형들에게 팔리움을
당하고 애굽의 땅에 종으로 팔려온것, 그리고 그가 국무총리가 되어서 이집트
뿐만 아니라 열방나라를 구속하는 책임을 맡은것도 다 하나님의 뜻 가운데서
이루어 진것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그리고 더욱 중요한것은 요셉은 그의
아버지와 그의 형제들의 가족을 구원하게 되었다.24
요셉이 이집트에서 국무총리가 됬다는 소식을 들은 야곱은 그 이상 더
행복할 수 가 없었다. 백 삼십세에 야곱은 요셉이 보낸 수레를 타고 온 가족
칠십명이 이집트땅에 도착 하게 되었다.25 야곱은 애굽의 바로를 만나 그를
축복하고 그의 살아왔던 인생을 회고하면서 인생의 짧은 것과 험난함을 다시
한번 강조하였다.26
삶이 얼마 남지 않음을 안 야곱은 그들의 열두아들을 축복하고 요셉의
아들들인, 므낫세과 에브라임에게 축복을 해주면서 이들이 이스라엘의 두 족장이
될 것을 강조했다.27 야곱은 마지막으로 그가 가나안땅에 묻혀질것을 유언하고
숨을 거두었다.28 아버지의 유언대로 요셉과 그의 형제들은 가나안땅,
막벨라굴(Cave of Machpe lah)에 야곱의 시신을 묻었다.29
이집트에 살게된 히브리 백성들은 이제 손님으로서 보다는 그 곳의
백성으로 이들의 삶을 개척해 나갔다.30 히브리인들이 이집트에 살면서 이들은
그곳 백성과 다른 면들을 보이게 된다. 이들은 우선 애굽의 태양신 또는 다른
신들을 섬기지 않았다. 히브리인들은 옷들도 전통의 옷을 입었고 이들의
자녀들에게도 히브리 이름을 지어주기도 했다. 이들의 신앙은 계속해서 그들의
조상 아브라함, 이삭, 야곱의 하나님을 믿고 있었다. 히브리인들의 종교는
유일신 여호와하나님을 믿는다.
이집트에서 히브리인들은 생육하고 번성해나갔다. 이들의 성공적인 삶은
이집트인들에게는 위협의 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이 위협의 대책은
히브리인들을 노예로 삼는 일이었다.31 노예를 삼는 다는 것은 싼 노동으로
애굽의 번영을 누리자는 내용이었다. 그리고 히브리인들의 수요를 줄이기
시작하기 위해서 강제 노동과 핍박을 가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어려움을 당한
히브리인들은 더욱 더 왕성해 나가기 시작했다. 험악한 상황에서 더욱 더
번성하는 히브리인들은 바로32와 이집트인들에게 더욱 위험한 존재가 되 버리고
말았다.
더욱더 심한것은 많은 이집트의 점을 보는 자들이 바로에게 고하기를
히브리인들은 수요가 증가할 것이며 또한이집트를 정복할것이라고 예언했다.
이제 바로는 최악의 법령을 선포한다.33 이 법령은 이스라엘 백성중에 새로
태어난 남자 아기를 나일강에 던져 죽이라는 것이었다. 이 법령을 따르지 않는
자들에게는 험한 벌이 부여 되었다. 그래서 많은 히브리인들은 바로의 법령을
따라가고 있었다.
이러한 가운데 바로의 명령을 순종하지 않은 한 레위지파의 가족이있었다.
부모의 이름은 아므람(Amram)과 요게벳(Yochbed)이34 었다. 이 아기의 부모는
갈 상자를 만들어 역청과 나무 진을 바른후에 아이를 넣고 나일강에 띄어 보냈다.
아이의 누나 미리암(Miriam)은 아이가 어떻게 될것인가 궁금해서 계속 하숫가를
따라 가 보았다. 하숫가에 떠 내려간 아이는 하숫가에서 목욕을 하는 바로의
딸에게 발견이 되었다. 바로의 딸의 이름은 빗드야(Bityah)였다. 빗드야는
아이를 나일강 물속에서 건져 냈다고 해서 이름을 모세(Mos e s )35 라고 지었다.
모세는 바로의 딸의 양자가 되었으며36 그는 애굽의 왕자로서
성장하였다.37 그는 바로의 왕궁에서 이집트의 모든 학문과 문화와 왕자의
교육을 철저하게 받았다. 그는 이제 바로의 후계를 이을 수 있는 자리까지
도달했다.
어느날 모세는 왕궁 밖에 나오게 되었다. 그리고 거기서 이집트사람이
히브리인들을 치는 것을 보게 되었다. 그래서 모세는 이집트 사람을 쳐죽였다.38
이 사실이 알려질것을 두려워 한 모세는 미디안(Midian) 사막으로 도피하였다.39
미디안에 도착한 모세는 양치는 목자가 되었다. 그리고 미디안땅 제사장의 딸인
십보라(T ziporah)와 결혼을 하였다.40
성경에 보며는 하루는 모세가 양을 치고 있는 데 떨기나무가 있는 곳으로
오게되었다. 모세는 떨기나무가 불꽃에 타고 있었지만 그 나무가 타지 않음을
보고 신기하게 생각하고 있는 중에 하나님께서 그에게 나타나셨다고 기록하고
있다.41 하나님은 모세에게 이집트로 다시 돌아가도록 지시하셨다. 모세의
사명은 이집트 왕 바로에게로 부터 이스라엘백성을 나오도록 인도하는 것이었다.
처음에 모세는 하나님의 명령에 대해 자신의 부족함을 드러내었다. 그리고
하나님에게 다른 사람을 그 대신 보내도록 거부하였다.42 모세가 바라는 삶은
조용히 양을 치면서 묵상하면서 살기를 바랬었다. 그러나 하나님의 강력한
권유로 모세는 이스라엘을 이집트에서 인도해야 할 지도자로 나섰다.43 오직
그에게는 순종 밖에 남은 것이 없었다.
모세는 어떠한 사람이었는가? 그의 이야기는 성경 출애굽기 (Book of
Exodus )에서 등장한다. 그는 그렇게 많은 활약을 하고 기적을 베풀고 지도력을
발휘했지만 아직도 그에 대해서는 미스테리로 남아있다. 그는 이집트의
왕자였지만 그의 오랜 삶을 보낸곳은 왕궁이 아니라 미디안 사막이었으며, 또한
그가 인도한 이스라엘백성들이 지낸곳도 역시 사막이었다.44 아직도 그의 시신이
있는 곳을 발견하지 못하였고 그의 성격역시도 파악할 수 없는 상태이다.
성경에서는 모세는 온유한 자라고 지정하고 있다.45 그리고 그의 시신을
가지고 천사장 미가엘과 마귀가 옥신각신 한것도 성경에서만 알 수 있는
이야기다.46 분명한것은 모세는 이스라엘 민족역사에 있어서 역사위치를 바꾸어
놓은 지도자인 것만은 확실하다. 그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하나님의 계명을 전해
준 자이며, 오늘 날까지도 이스라엘백성을 하나의 민족으로 엮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브릿지(bridge )인것 만은 사실이다.
성경은 모세의 겸손한 거절로 말미암아 그의 형인 아론(Aaron)을 그의
도울자로 세워주셨다.47 이제 모세와 아론은 바로 앞에 서서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한다. 내용은 이스라엘백성을 이집트에서 보내줄것과 이들이 하나님이
지시하는 곳에서 제사를 드릴것을 허락하는 것이었다. 하나님이 예언하신것처럼
바로는 이들의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리고 이들을 그의 앞에서 나가게
할것을 청하였다. 그리고 바로는 이에 대해 히브리인들의 노동에 압력을
가했다.48 이로 말미암아 히브리인들은 모세와 아론을 더욱 원망하기 시작했다.
모세와아론은 하나님앞에서 더욱 간절히 그들의 사명에 대해 물어보기도 했다.
하나님은 모세와 아론에게 이들을 보낸 자는 “스스로 있는 자 (I AM WHO
I AM)”49 라고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알리게 하고 이제 곧 이집트에 열가지
재앙(T en Plague s )을 내리실 것을 공포하셨다.50
이집트에 내린 열가지 재앙은 다음과 같다. 물이 피가 되는 것, 개구리,
티끌, 파리, 생축의 죽음, 독종이 발함, 우박, 메뚜기, 흑암, 처음난것의 죽음이다.
이 열재앙이 이집트에 임하기 전에 모세와 아론은 바로에게 마음을 돌릴것을
제안하였으나 바로는 열재앙이 내릴때까지 그의 완악한 마음을 변화시키지
않았다.51 마지막 재앙이었던 장자의 죽음은 그의 아들의 생명까지 빼았아갔다.
드디어 바로는 마음을 바꾸어 이스라엘백성들로 하여금 이집트땅을 떠나게
허락하였다.52
하나님은 모세에게 이스라엘 백성이 이집트를 떠날때 지켜야 할 언약을
주었다. 이것은 니산(Nisan, 니산은 이스라엘의 첫째달임)53 십오일날에 온
이스라엘 백성은 흠이없는 양을 잡아서 피를 문설주에 바를것을 명하셨다.
그리고 고기는 구어서 가족끼리 먹도록 하셨다.
이집트 온땅에 장자들이 죽어가는 때에 이스라엘백성들은 음식을 먹고
있었다. 이 만찬을 유월절 식사(T he Passover Meal)라고 부른다. 이 음식을
히브리어로 세더(Sede r)라고 부른다. 유대교에서는 이 유월절 식사를
지금까지도 지키고있다. 기독교에서는 유월절 식사의 의미를 성찬식으로 드리고
있다. 그 날 밤 이스라엘백성들이 먹은 음식의 종류는 구운 양고기, 누룩이 들어
가지 않은 빵, 이유는 이들이 급히 먹고 떠나야할 시급함때문에 누룩을 넣고
기다릴 시간이 없었기 때문이다.54 그리고 쓴 나물들이었다. 음식을 먹을때
사람들은 허리에 띠를 띠고, 신발을 신고 지팡이를 잡고 급히 먹었다. 그리고 또
이집트를 떠날때에 이집트사람들의 은과 금패물을 구해 가지고 떠났다. 이렇게
이스라엘백성들은 야곱과 그의 아들들이 이집트에 들어온지 사백삼십년 만에
다시 이집트를 떠나게 되었다.55 신학자들 가운데 일월 (Nisan)십오일날 밤에
이집트를 떠난 이스라엘 백성은 약 이 백만명으로 추측하고 있다. 이 해방을
기념하는 날이 페샤(Pe s ach)라고 부른다. 페샤의 의미는 유월절 (Pas sove r)
이라는 뜻이다.
이집트의 장자가 죽은 날 아침에는 온 땅에 울음과 통곡의 바다가 되고
말았다. 이집트의 온 가구의 장자들 가운데 죽지않은 자들이 없었기 때문이다.
바로의 궁정에서도 울음바다가 되고 말았다.56 이스라엘 백성을 떠나 보낸
바로는 다시 마음이 완악하여져서 이스라엘백성들을 추적할것을 명령했다.57
일월 이십 일일 니산달에 이집트 군대는 이스라엘 백성을 따라왔다.
이들을 만난곳은 홍해(Red Se a 또는 Sea of Re ed)바다 앞이었다. 앞에는
바다로 가로 막혔으며 뒤에는 이집트의 막강한 군대가 추적해오고 있었다.
이스라엘은 가운데 막혀있었다. 성경 출애굽기서에 보며는 기적이 이 곳에서
일어났다고 기록하고 있다. 하나님께서 홍해바다를 가르시고 그 마른 땅을
이스라엘백성이 통과하도록 역사하셨다고 적혀있다.58 그리고 이스라엘의
마지막 한 사람까지 다 통과 한 후에 홍해바다가 다시 흐르기 시작했다. 그때
이스라엘 백성을 따라오던 이집트 군대들은 다 바닷물에 빠져 죽어버렸다.59
이제는 상황이 완전히 바뀌어져 버리고 말았다. 이스라엘백성은 구출을 받았고
반대로 이집트군인들이 홍해 물 가운데 빠져서 목슴을 잃은것이 된 셈이다.
구출을 받은 이스라엘백성들은 하나님께 찬미를 돌렸다. 이 기록 역시
출애굽기서 십오장에 잘 기록되어있다.60
각주
Endnote s
Chapte r 2
노예에서 부터 자유까지
From Slavery to Freedom
1 창세기 37: 3, “요셉은 노년에 얻은 아들이므로 이스라엘이 여러 아들보다 그를
깊이 사랑하여 위하여 채색옷을 지었더니 그 형들이 아비가 형제들 보다 그를
사랑함을 보고 그를 미워하여 그에게 언사가 불평하였더라” 야곱의 요셉에 대한
특별한 사랑을 볼 수 있음.
2 창세기 30: 3-8
3 창세기 37:2
4 요셉은 야곱과 라헬사이에 태어난 아들이다. 그는 바단 아람(Paddan-Aram) 에서
출생하였음. 그는 형제들에게 사랑을 받지 못하였다. 그 이유 중에 하나는 형제들의
실수를 일러바치는 일을 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야곱의 사랑을 독차지 한것에
대해서도 형제들에게 미움을 샀다. 요셉은 또한 꿈을 꾸고 해석하는 능력을 가졌다.
그리고 그 꿈때문에도 형제들에게 팔리움을 사게 됬다.
꿈은 고대 당시 신의 전달 방법으로도 사용됬다. 특히 요셉은 그의 모든 꿈과
해석을 하나님께로 부터 나온것으로 고백한다. “Joseph”, Encyclopaedia Judaica X,
p. 203.
5 창세기 37: 21-22
6 창세기 37: 34, “아비가 그것을 알아보고 가로되 내 아들의 옷이라 악한 짐승이
그를 먹었도다 요셉이 정녕 찢겼도다 하고 자기 옷을 찢고 굵은 베로 허리를 묶고
오래도록 그 아들을 위하여 애통하니 그 모든 자녀가 위로하되 그가 위로를 받지
아니하여 가로되 내가 슬퍼하며 음부에 내려 아들에게로 가리라 하고 그 아비가
그를 위하여 울었더라”
7 창세기 39 장
8 창세기 40 장
9 창세기 41 장
10 창 41: 47-49. 바로가 요셉을 국무총리로 임명할때 그의 나이는 30 세 였음.
요셉은 애굽 온 땅을 순찰하면서 곡심을 저장하였음. 고대시대 이방인이 애굽의
높은 지위 가지는 일은 가끔 기록 되어있음. “Joseph,” Encyclopaedia Judaica X, p.
203.
11 창세기 41: 45. Zaphenath-Paneah. 애굽어로 이름의 의미는 “신이 말함, 신이
살아있음 (the god speakes; he lives)” 임. Ibid., p. 206.
12 보디베라는 온(On)지역의 제사장이었음. (창 41:45, 50) 온은 카이로 동북방 13
km에 헬리오폴리스(태양의 도시)에 위치해 있음. 그당시 태양신 “라”(Re)를
섬기는 곳이었음. 보디베라의 딸 아스낫(Asenath)역시 애굽의 여인이였으며 이름의
의미는 “네스”의 속해있는자임. Ibid., p. 206.
13 요셉은 애굽 온 땅에 곡식을 들여들이는 동안 제사장 보디베라의 딸 아스낫과
결혼을 하게 됨. 그리고 두 아들을 출생시킴. (창 41: 50-52)
14 창세기 42 장
15 베냐민을 보내지 않은 이유는 그의 신분의 위협을 느꼈기 때문임. (창 42: 4)
16 요셉은 하나님이 생명을 구원하시려고 그를 형제들 보다 앞서 보낸것을. 믿었음.
(창 45: 5)
17 창세기 42: 9. 요셉이 지난 날에 꾸었던 꿈이 성취되었음을 깨닭음. (참조 창 42:6,
43:26, 44:14)
18 요셉은 히브리어를 알아들을 수 있었으나 통역관을 세웠으므로 형제들은 그를
알아 볼 수 없었음. (창 42: 23)
19 창세기 42: 7, “요셉이 보고 형들인줄 아나 모르는 체하고 엄한 소리로 그들에게
말하여 가로되 너희가 어디서 왔느냐 그들이 가로되 곡물을 사려고 가나안에서
왔나이다” 요셉은 계속해서 이들을 삼일동안 가두고 자신의 정체를 밝히지 않고
형제들의 진심을 알고자 했음.
20 창세기 42: 10-13
21 창세기 42: 24
22 창세기 43: 13
23 창세기 45: 1-4
24 창세기 45: 5-15
25 창세기 46: 28. 야곱은 애굽으로 내려가기 전에 그의 조상 아브라함과 이삭이
거했던 브엘세바에 이르러 하나님께 감사의 희생을 드렸음. (창 46: 1)
26 창세기 47: 7-10 야곱은 바로에게 그의 나이가 130 년이라고 고하나 그의 세월은
그의 조상의 나그네 길의 세월에 비교하고나서 험학한 세월을 보냈다고 고함.
“Jacob said to Pharaoh, ‘The years of my earthly sojourn are one hundred and thirty; few
and hard have been the years of my life They do not compare with the years of the life of
my ancestors during their long sojourn.’”(Gen. 47: 9, NRSV)
27 창세기 48 장
28 야곱은 요셉의 두 아들, 므낫세과 에브라임을 축복하는 가운데 장자의 축복을
동생에게 옮기움. (창 48: 1-20) 여기서 야곱은 장자권을 루우벤에서 요셉에게로
옮김을 보게 된다. “Jacob,” Encyclopaedia Judaica X, p. 1197.
29 창세기 50: 13 마므레 앞 막벨라 묘지는 아브라함이 헷 족속 에브론에게 밭과
함께 사서 소유 매장지를 삼은 곳임.(창 23: 16-20) 마므레는 헤브론을 일컷음.
30 야곱과 그의 자녀들과 후손들은 애굽의 곡창지대인 고센 땅에 거하면서
풍요로운 삶을 살았다. 그리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이스라엘 백성들의 수가
증가했다. 김영진, 고대 이스라엘 역사 (서울: 한들 출판사, 2006), p. 83.
31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이스라엘의 백성들의 수가 증가하는 것을 두려워한
이집트의 바로는 이스라엘 백성들을 박해하기 시작한다. 특히 새로운 도시
라암셋과 비돔을 건설하는데 부역을 시켰다. Ibid., p. 83.
32 성경은 핍박하는 바로의 이름을 밝히지 않고 있음. 출애굽기 1:8, “요셉을 알지
못하는 새 왕이 일어나서 애굽을 다스리더니” 새로 등장하는 바로는 이스라엘
백성을 노예로 삼았음. “He persecuted the Israelites and forced them to build ‘storecities
for Pharaoh: Pithom and Rameses.” “Exodus,” Encyclopaedia Judaica VI, p. 1043.
33 바로는 이제 노예정책으로는 해결을 못 볼것을 알고 더 잔인한 방법을 택한다. 이
방법은 히브리 남자 아기는 죽이고 여자 아기는 살게 하라는 것이었음. Ibid., p.
1052.
34 모세의 부친은 레위 지파의 후손들이었음. “Moses”, Encyclopaedia Judaica XII, p.
372.
35 모세의 출생과 중요한 사건에 대한 이야기는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와
신명기에 나옴. 그리고 첨가된 이야기는 여호수아, 사사기, 사무엘 상, 열왕기 상, 하,
이사야, 호세아, 미가, 말라기, 시편, 다니엘, 에스라, 느헤미야, 역대상, 하에 나옴.
Ibid., p. 372.
36 바로의 딸이 목욕을 하러 하수로 나올때 갈 상자에 있었던 모세를 구한다. 그때에
모세의 누이는 바로의 딸에게 유모를 권장한다. 이렇게 해서 모세의 어머니는
모세를 직접 키울 수 있었음. (출애굽기 2: 5-9) 모세는 바로 궁전에 들어갈때 까지
어머니 의 신앙안에서 자랄 수 있었음. “Moses”, Encyclopaedia Judaica XII, p. 372.
37 모세는 바로의 왕궁에서 자라면서 교육을 받았지만 그의 혈통과 민족에 늘
염두를 두고 있었음. Ibid., p. 374.
38 모세는 항상 불의를 못 보았음. 그리고 피해자의 편에서 서있었음. Ibid., p. 374.
39 출애굽기 2: 15
40 출애굽기 2: 21
41 출애굽기 3: 1-9 광야에서 이드로의 양을 치는 모세는 이제 성숙해 져있었음. Ibid.,
p. 374.
42 출애굽기 3: 11; 4:13
43 출애굽기 4 장
44 사막에서의 훈련은 나중에 모세가 이스라엘백성을 이집트에서 인도할때 많은
도움이 되었음.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을 인도한 지역은 사막이었음.Douglas Burton-
Christie, The Word in the Desert: Scripture and the Quest for Holiness in Early Christian
Monasticism (New York an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p. 195.
45 민수기 12:3 “이 사람 모세는 온유함이 지면의 모든 사람보다 승하더라”
46 유다서 9 절.
47 출애굽기 4:14-31
4848 바로는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짚을 제공하지 않고 그들이 벽돌을 굽는 장소에서
멀리 떨어진 들판에서 스스로 짚을 모아 전과 같은 양의 벽돌을 구우라고 하면서
고역을 한층 더 높였다. 이 처럼 바로는 부역자들으리 괴롭혔으며 또한 이스라엘
백성들과 모세와 아론의 관계를 갈라놓는데 성공하였다. (출 5:21)
49 구약성경 전체에 한번만 나오는 성호임. (출 3:13-15).
50 출애굽기 6:1; 7:1-5
51 로마서 8:17-18 모세에게 베푼 긍휼이나 바로에게 내린 진노는 모두 하나님의
주권적 행동에 의해서 일어남. (참조, 출 33:19)
52 출애굽기 12:33-36
53 니산(Nisan or Abib)달은 오늘날 3,4 월을 이야기 함. 참조, 출 12:2, 13:4, 23:15;
34:18; 신 16:1; 느 2:1; 에 3:7.
54 출애굽기 12: 1-22
55 출애굽기 12:40-41. 스데반은 그의 설교에서 이스라엘 백성이 400 년 동안 종
살이 할 것을 말함. 여기에서 400 년은 포괄적인 숫자이다. 성경은 이스라엘 백성이
430 년 동안 노예생할 했다고 기록되어있음.
56 출애굽기 12: 30
57 출애굽기 14:5-9
58 출애굽기 14: 21-25
59 출애굽기 14: 26-30
60 출애굽기 15 장은 모세의 감사의 노래이다. 모세와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의
위대하심과 놀라우심을 찬양드렸다. 특히 15:14 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나안
땅에서도 형통할 수 있도록 간구하는 노래이다. “Exodus, Book of”, Encyclopaedia
Judaica VI, p. 1054.
참고문헌 Bibliography
김영진, 고대 이스라엘 역사. 서울: 한들 출판사, 2006.
Brinto, Crane, John B. Christopher, Robert Lee Wolfe and Robin, W. Winks, A History
of Civilization: Volume I: Prehistory to 1715 6th Ed. New Jersey: Prentice-Hall, 1984.
Encyclopaedia Judaica. New York: McMillan, 1971.
Kertzer, Morris N. (Rev. by Rabbi Lawrence A. Hoffman), What is Jew? New York: A
Touchstone Book, 1993.
Kurt, Amérlie. The Ancient Newar East c. 3000- 330 B.C. Vol. I.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1995.
LaSor, William S., Daivid Allan Hubbaard, Fredrick WM. Bush, Old Testament Survey:
The Message, Form, and Background of the Old Testament . Grand Rapids: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2.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Jewish Religion. Ed. R. J. Zwi Werblowsky and Geoffrey
Wigoder (New York & Oxford: OUP,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