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lcome to Martyr Sukbaknam Monastery נבחר שם מעשר רב מכסף ומזהב חן טוב׃
  • Home
    • Prayer Topics
  • Explore
    • About
    • Bak Nam Suk
    • EWBI >
      • Timeline of Christian Branches
      • Timeline of the Western Church 1st-10th century
      • Christianity in Asia >
        • Introduction
        • China Timeline History
        • Korea Timeline History
        • Syrian Connections
      • Online Classes
      • Recent Course Materials >
        • Christian Spirituality >
          • Guide to Christian Spirituality: Living in the Spirit
        • Song of Songs Survey >
          • Song of Songs: Love is Strong as Death
        • Syrian Christianity >
          • Registration Form
          • Survey Syrian Spirituality
          • SCS Note
          • SCS Outline
        • The Book of John 요한 복음 연구 >
          • 요한복음연구
      • Western Treasures >
        • Greek Manuscripts
    • Gospel
    • Lord's Prayer
    • Partners >
      • Missionaries
      • Friends
    • Purpose & History >
      • Affiliations
      • Ministries
      • Photo Gallery
    • Sainthood
    • Schedules
    • Alexander Pak >
      • Earlier years of Bro Alex's photos
      • CV
      • Papers and Writings from Prison
      • Written Works List
    • Terms of Service >
      • Contact
      • Privacy Policy
  • Resources
    • Articles and Writings >
      • On Passover in Jerusalem
      • In the Air
      • American Missionary John Livingstone Nevius (1829-1893)
      • Book Review: Reformation Sketches: Insights into Luther, Calvin, and the Confessions.
      • A Short History of Early Korean-American Churches in America (in Korean)
      • A Brief Introduction To A Secret of Survival of Jews: New Covenant People >
        • Book I Secret of Survival of Jews: New Covenant People >
          • I Chapter 1: In the Beginning
          • I Chapter 2: From Slavery to Freedom
          • I Chapter 3: Mt. Sinai
          • I Chapter 4: Keeping the Sabbath
          • I Chapter 5: Into the Promised Land
          • I Chapter 6: Kings in the Biblical Periods
          • I Chapter 7: The First Temple Period
          • I Chapter 8: The Fall of Kingdom of Judah and the Babylonian Captivity
          • I Chapter 9: Esther and Purim: Triumph of the Weak
          • I Chapter 10: Prescribed Feasts
          • I Chapter 11: Return to Zion and Alexander the Great
        • Book II: Victory Of Faith: Growth of Judaism >
          • II Chapter 1: Rebellion for the Religious Freedom
          • II Chapter 2: Patriarchal Rule
          • II Chapter 3: The Oral Tradition
          • II Chapter 4: The Talmud
          • II Chapter 5: Medieval Western Europe
          • II Chapter 6: Life of Jews among the Islam Setting
          • Affiliation2
          • II Chapter 7: Life of Jews in Eastern Europe
          • II Chapter 8: The Enlightenment and Freedom
        • Book III Victory of Faith: Inheriting the Land >
          • III Chapter 1: Jews in America
          • III Chapter 2: The Holocaust
          • III Chapter 3: Establishment Of Modern Israel
        • Timeline
        • Brief Outline of the Old Testament
        • Glossary
      • Introduction To Apologetics
      • The Existence of God: Revelations Introduced
      • On Humanity: Where Do We Come From?
      • The Person of Jesus: God’s Most Precious Gift
      • The Deity of the Holy Spirit
      • Christian Reformed Church Mission to China
      • A Brief Introduction To God’s Three-In- Oneness: The Trinity And The Council Of Nicaea, 325
      • Commentary on the Book of Revelation by Dr. Eun Kyu Park
      • Comparative Religious Study: Looking at Greek Orthodox Christianity and Understanding of Luther and Calvin On Scripture, Christology, the Holy Spirit and Church
      • Church Fathers
      • A Brief Intro. to Greek Orthodox Church
      • Brief Life's Sketches of the Church Fathers
      • The Council of Nicaea I, 325
      • Outline of the Council of Ephesus (A.D. 431)
      • Origen of Alexandria (185-c. 254)
      • Toward The Council Of Chalcedon, 451
      • The Development Of Episcopal Ministry For The Purpose Of Canon And Creed
      • Meaning of History
      • The Question of Authorities in Forming Christian Doctrine
      • Reflection on Theological Education (In Korean)
      • New Age and Its Impact on Churches and Society (in Korean)
      • Next-Generation Pastor’s Spirituality and Korean Church’s Well Being
      • Meditate on the Lord's Prayer
      • Councils of Nicaea, Ephesus and Chalcedon: Development of Episcopal Ministry
      • With Jesus in a Monastery
      • Antiochean Christology
    • Biblical Monastic Spirituality
    • BiblicalTraining Classes for Everyone
    • Books
    • Featured Book: Secret of  Survival of Jews—Triumph of the Weak
    • LEARNING BIBLICAL GREEK: DR BILL MOUNCE
    • Media

Chapter 11. 시온으로의 귀환 부터 알렉산더대왕까지
Return to Zion and Alexander the Great



페르샤제국의 상승은 주전 6 세기 부터였다.1 거기에 활약을 한 왕은 고레스(Cyrus the
Great, 통치, B.C. 559-530)대왕이었다.2 그는 페르샤전국을 통치하였다.3 페르샤제국은
이제 세계역사에서 새 바람을 통해서 또 한번의 변화를 가지고 온다.4
주전 6 세기 반 부터 바벨론땅에서 살고 있던 유대인들은 이제 망명의 삶에서
벗어나 자리를 잡아가며 안전하게 살아가고 있었다. 이들은 유대교의 전통을 유지하기
위해서 율법을 정리하였다. 그러나 페르샤제국의 발전으로 유대인들은 또 한번의 문화와
새로운 주인을 만나야했다.

페르샤제국을 다스린 고레스왕은 어떠한 자 였는가?5 우선 페르샤인들은 인도-
유럽의 사람들로서 메소포타미아땅에서 살았다. 이들은 강하지는 않았지만 고레스의
등장으로 말미암아 페르샤제국을 설립하게 되었다. 고레스왕은 메데(Mede)의 왕을
무찌르고 나서 메데를 통치했다.6 그래서 페르샤제국의 영토를 늘려갔다. 고레스의
화려한 활약속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해서는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그에 대해아는
바는 그의 종교와 그의 사명이다.7

고레스의 종교는 조로아스트라( Zoroaster)였다. 이 종교는 주전 7 세기에
페르샤인 선지자였던 조로아스트라가 세운 종교이다.8 그의 가르침은 세상에 영원한
신이있으며, 그의 이름은 마르덕(Marduk)이었다. 마르덕은 선하며 모든것을 창조한
신이다. 그러나 세상에는 또 하나의 신이 있는데 이 신은 악하며 또한 세상에 적으로
나타난다. 그래서 조로아스트라종교는 세상에 선과 악이 있음을 가르치고 또한 선과악
사이에 항상 전쟁이 있다고 믿는다. 그래서 고레스왕의 사명은 조금이라도 더 땅을
정복해서 선한 영토를 늘려야한다고 믿었다. 다행인것은 고레스왕이 유대인들이 믿는
여호와 하나님을 선한 신으로 인정한것이다.9 그래서 고레스 왕은 유대인들에게
선대하였으며 그가 직위에 오르자 마자 유대인들의 귀환을 선포하기도 했다.10
유대인들의 전통에 보며는 고레스왕이 환상을 보는 가운데 하나님의 명령을
받았다고 전해진다. 환상의 내용은 하나님께서 그에게 예루살렘에 다시 제사드릴곳을
세우라는 것이었다. 그래서 그는 환상에 나온 계시를 실천했다.11

고레스의 글에 보며는 그는 유대인들 뿐 아니라 그의 제국에 속한 모든 사람들에게 그들이
원하면 각자의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는 조서를 내렸다.12 물론 유대인들에게서 특별한
기회였다. 유대땅으로 가서 성전을 다시 재건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유대인들의 예루살렘귀환은 4 차례에 걸쳐서 이루어졌다.13 제일 먼저 귀환한
자들은 여오아김의 아들 세스바살(Sheshbazzar)였다.14 그는 조그마한 무리를 데리고
예루살렘으로 귀환했으나 이들이 도착하자 마자 공격을 받았다. 그 당시 예루살렘에는
귀향을 못간 유대인들이 남아서 그곳의 민족들과 결혼을 해서 담을 쌓고 살고 있었다.
이들은 온전한 유대인들이 아니었다. 혼혈인들이었다. 그래서 세스바살과 그의 사람들을
거절한것이다.

두번째 그룹은고레스왕이 죽은후에 나타났다. 주전 520 년경에 고레스의
후계였던 다리우스(Darius I, B.C. 522-486)왕의 조서로 귀환한 유대인들이다. 유대인의
전통에는 다리우스왕은 에스더의 아들로 알려져있다. 다리우스는
스룹바벨(Zerubabel)15을 주지사로 임명하고 나서 바벨론에 속했던 유대인 5 만명을
예루살렘으로 인도하였다. 스룹바벨은 다윗왕의 후손이었다.16 이번 귀환에 참여한
사람들중에는 서기관들과 제사장들도 포함되었으며 첫번째 귀환한 사람들보다는
성공적이었다. 그리고 이들이 성전 재건에 일을 시작한 사람들이었다.
세번째 그룹이 귀환할때 까지는 60 년이 지난다. 세번째 그룹의 지도자는
에스라(Ezra)선지자였다. 에스라는 성경에 나오는 선지자이다. 주전 458 년경에 에스라는
바벨론에서 예루살렘으로 귀환하였다.17

성경에서 에스라는 학자로써 알려져있으며 유능한 지도자로 기록되어있다.18
그는 율법에 박식하였으며 백성들에게도 인정을 받은 지도자였다. 예루살렘으로
귀환한다는 소식을 듣고 에스라는 많은 무리를 데리고 예루살렘으로 귀환했다19.
에스라의 영향은 유대교를 강화시키고 바벨론에서 가져온 율법을 백성들에게 읽히고
가르치는데 이바지를 다 했다.20
에스라는 또한 백성들에게 안식일(Sabbath)을 성수할것을 가르쳤다. 그리고 성전
재건에 필요한 것들을 거둬들였다. 그는 또한 예루살렘에 살고있는 이방인들과 결혼하는
것을 금하였다.21 이유는 우상숭배에 대한 위험성 때문이었다. 특히 유대인 남자들과
이방여인들과 결혼을 반대하였다. 유대교에서는 유대인 남자가 이방인 여자하고
결혼해서 낳은 자녀들은 유대인이 아니었다. 오직 유대인 여인에게서 태어난 자여야만
유대인으로 인정한다. 그리고 에스라는 이방여인과 결혼한 자들의 결혼을 무효화
시켰다.22

느헤미야(Nehemiah)은 등장은 3 년후인 445 년경이다. 그는 유대인들의
지도자였으며 페르샤의 고위 직위관이였다.23 그는 마직막 4 번째 유대인들을 데리고
귀환한 자였다.24 느헤미야는 예루살렘에 도착한 후에 성벽을 다시 쌓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의 공적은 성경에도 기록되어있다.25

유대인들의 예루살렘 귀환의 가장큰 목적은 성전의 재건이었다.26 성전의 재건은
첫 번째 귀환구룹이 도착한후에 곧 바로 시작했다. 그러나 재건의 기간은 매우 오래
걸렸다. 사마리아인들의 방해 공작은 처음부터 시작됐다. 이들의 방해공작의 이유는
이들에게 함께 재건할 기회를 주지 않았으며 또한 이들을 유대인들로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27

그러나 에스라가 예루살렘에 도착했을때 예루살렘 성전의 재건이 끝난 상태였다.
때는 주전 458 년경이었다.28 이제 남은 것은 성전을 재 헌신하는 예배가 남아있었다.
두번째 성전은 첫번째 성전에 비해서 매우 미비하였다. 그래서 옛날의 성전을
목격한자들은 현재의 성전의미비함을 보고 너무 초라하여 슬픔을 억제치 못해 소리를
내어 울었다.29 그러나 선지자는 실망하지말고 낙담하지 말고 힘을 내라고 위로의 말을
하였다.30

두번째 성전에있어서 솔로몬의 성전과 비교해서 또 다른것이 있었다. 이것은
지성소안에 언약궤가 들어있지 않은 것이다. 언약궤는 바벨론 침략때 사라진 이후
오늘날까지 궤가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없다.
귀환한 유대인들의 종교생활에서 또 하나의 변화는 제사장들의 자격이었다.
두번째 성전이 세워진후에 제사장들이 제사를 드리고 있었다. 그리고 제사장들가운데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있었던 자가 대제사장(High priest)이었다. 유대교에 있어서
대제사장은 유대교를 대표한 자였다. 그리고 그의 죄는 유대인들의 모든 죄가 될 정도로
중했다. 그의 깨끗함은 온 유대의 순결을 암시하고 있었다. 대제사장의 책임과 영향은
대단하였다.

성경적으로는 제사장의 직책을 세습하였다. 첫 번째 대제사장은
아론(Aaron)이었다.31 아론이 죽은 후에는 그의 아들들이 이어받았다. 그러나 두 번째
성전시대 때에는 제사장에 대한 자격에 변화를 가져왔다.32 이제는 제사장 직책을
세습하는것이 아니라 누가 가장 돈을 많이 내느냐에 의해서 결정하였다.33 그리고
로마제국시대에는 제국의 지도자가 제사장을 임명하였다.

두 번째 성전의 제사장은 성경에서와 탈무드(Talmud)에서 말해주고 있다.
탈무드는 율법을 풀어놓은 책이며 또한 말로 내려오는 전통이 기록되어있는 책이다.
탈무드는 주전 500 년경에 기록된책이다. 탈무드에 보며는 솔로몬 성전시대 때에는
18 명의 대 제사장이 있었으며 (기간은 400 년을 말한다.) 그러나 두 번째 성전때에는 300
명 가량 된다고 기록하고 있다. 두번째 성전때에 이렇게 많은 대제사장들이 나왔다는
것은 무엇을 말 해주는가? 탈무드는 설명을 해주고있다. 두번째 성전시대에는 대
제사장들의 자격 또는 도덕의 상태가 매우 낮았기 때문이라고 한다.34 대제사장
요카난(Yochanan)과 시몬(Shimon)과 이스마엘(Yishmael)은 합해서 110 년을 섬겼으나
그후에 대 제사장들은 일년에 한 번씩 바꾸어진것을 말한다. 

그러면 어찌하여 일년에한번씩 대 제사장이 바뀌었는가? 성경에 보면 매년 속죄일 때 대 제사장이 지성소에
들어가게 되어있다. 지성소는 성전에 가장 거룩한 곳이었으며 이 곳은 대 제사장이 일년에
한번씩 들어가서 이스라엘백성들의 죄를위해서 제사를 드리는곳이었다.35 그리고
탈무드에 따르면 대제사장이 하나님의 이름을 부르는 곳이 이곳 지성소였다. 지성소는
하나님이 임재하는곳이었으므로 매우 거룩하고 중요한 곳이었다. 대제사장이 지성소에
들어갈 때면 그의 몸에 방울이 달린 밧줄을 묶은후에 들어갔다. 그래서 혹시 대제사장이
제사를 드리다가 죽으면 또는 방울소리가 안 들리면 사람들이 지성소에 들어가지
않았으며 다만 밧줄을 통해서 대제사장을 끌어내었다.36 불행하게도 지성소에 들어간
대제사장들은 매년 죽어서 나왔다고 탈무드는 기록하고있다.

두번째 성전시대에는 이렇게 대제사장들의 부족함과 신앙의 나태함에도
불구하고 유대교는 지탱해 나갔다. 그리고 또 하나의 발전은 왕국시대가 아니라
신국(Theocracy)시대였다. 이 뜻은 왕이 다스린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직접 그의 백성을
인도하신다는 것이다. 페르샤제국시대에 생겨난 신국시대는 유대인들로 하여금 오직
여호와 하나님만 섬기도록 하였다.
신정정치의 시도를 한 자는 에스라(Ezra)로 알려져있다. 에스라는 유대인들에게
율법을 가르치고 또한 하나님께로 돌아와야만 민족이 살 수 있다는 확신을 가르쳤다.
그래서 에스라는 120 명의 지도자들을 택해서 신정국회를 조직하였다. 그리고
신정국회는 알렉산더 대왕때까지 존속되었다.

신정국회의 멤버로써는 모르드개(에스더의 삼촌), 학개, 스가랴, 말라기 등의
선지자들이 포함되었다. 그외에 대제사장들이 멤버로서 활약을 하였다.
구약성경의 정립도 신정국회에서 만들어졌다. 구약성경을 유대인들은 히브리
성경(Hebrew Bible)이라고 부른다. 또는 유대교 경전으로도 본다. 이들은 기독교의
구약성경(Old Testament)을 히브리성경(The Hebrew Bible)이라고 한다. 학문적으로는
‘다낙크’(TaNaK)’라고도 부른다. 다낙크는 히브리성경의 세 부분에 대한 제목의 첫번째
단어를 모아서 부르는 이름이다. 첫번째는 토라(Torah)에서 나온 약자, Ta 이며37, 두
번째로는 나비임(Nevi’im)의 약자, Na 로써 선지자들이라는 뜻이며38, 세번째로는
켓투빔(Ketuvim)의 약자 kh 이다. 켓투빔은 11 권의 책이라는 뜻이다.39 그래서 이 세
단어들을 모아서 부른책을 다낙크 (TaNaK)라고 부른다.40

신정국회에서는 히브리성경만 편집한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에스겔서와 12 명의
소선지자들을 편집하기도 했다. 그리고 다니엘서(Daniel)서와 에스더도 더불어
편집하였다. 신정국회는 이렇게 히브리성경을 대중들을 위해서 정립해 놓았으며
계속해서 유대교가 대중들에게 다가 올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결과로 이제는 하나님의
말씀이 단지 특별한 제사장들에게만 소유하는 책이 아니라 누구든지 접할 수 있는
하나님의 말씀이 된 것이다.
성전이 없는 때에 유대인들은 성전중심 예배보다는 개인의 신앙생활에 중점을 둔
때가 있었다. 그래서 유대인 각 사람들은 기도를 통해 예배를 드렸다. 그래서 정립된
기도문이 발전하였다. 그리고 유대인들은 기도문을 통해서 직접 하나님께 기도를 드렸다.
이 기도문은 두 번째 성전이 설립된 후에도 계속해서 사용하였다.41

신정국회는 이렇게 기도문을 편집하고 작성하는데에도 활약을 했다. 유대인들이
사용하고 있는 18 가지의 축복기도문이 신정국회에서 편집된 것이다. 이 기도문은
히브리어로 `세모네 에스레이(Shemoneh Esrei)’라고 부른다.42 그리고 유대교에서는
하루에 3 번씩 이 기도문으로 기도를 드리라도 한다. 이 기도를 드릴때에는 반드시
일어나서 드려야 하므로 또는 `아미다(Amida)’43라고 부른다.
이제 유대교는 성장하였다. 그리고 두 번째 성전은 유대인들로 하여금 이들의
정체성과 삶의 목적을 가져다 주었다. 그러는 사이에 역사는 또 한번 변한다.
이번의 변화는 유럽에서 오는 것이었다.

유대인들이 예루살렘으로 귀환한 지 200 년이 지난후 유대인들은 페르샤의
영향속에서 살고 있었다.44 그러나 그때에 또 하나의 정치적 변화가 왔다. 이것은
마케돈(Macedon)의 빌립 2(Philip II)세의 정복이었다. 페르샤는 강한 나라였으며 또한
평화스러웠다. 그러나 유럽에서는 새 바람이 불고 있었다.45 그때는 유럽이 일어나는
시대였다. 이때 까지는 동방나라에서 모든 역사가 쓰여졌다.46 그러나 그때는 역사의
흐름이 유럽으로 옮겨지고 있었다.47
유대교가 유럽에 영향을 주는 시대가 다가오는 것이었다. 그러나 유대인들은 이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하나님의 때는 이제 유대인들에게 새로운 창조를 가져다 준다.
오늘날 우리가 아는 중세, 근대역사와 모든 혜택이 유럽에서 왔다고 하면 유대인의 활약이
성공했다는 결론이다.
마케돈의 빌립 2 세는 페르샤 정복의 꿈을 꾸고 있었으나 그의 꿈은 그가 이루지
못하고 그의 아들 알렉산더 3 세 (Alexander III, )가 이루었다.48 빌립은 주전 336 년경에
암살을 당하고 만다. 그리고 그의 왕권은 알렉산더 3 세가 이어 받는다. 알렉산더는
역사적으로 대왕으로 부름을 받는다.49

페르샤의 고레스가 환상을 본것 같이 알렉산더대왕 역시 환상과 사명을 가지고
태어났다. 그러나 알렉산더는 고레스왕처럼 종교적이나 의를 이루기 위해서 꿈을
가진것이 아니라 그는 오직 헬라사상과 문화를 전 세계에 심는 것이 그의 꿈이었다.50
알렉산더는 헬라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육을 받고 자랐다.51 그는
온헬라이상관(Pan-Hellenistic ideal)을 품었다. 이것은 또한 기독교의 신약세계를 준비하는
전주곡이기도 하다.

알렉산더는 20 세에 왕권에 올라온 후 그리스를 통일하였다. 그리고 그는
계속해서 시리아, 이집트등의 나라를 순식간에 정복하였다. 이제 그는 그의 아버지가
꿈꾸던 페르샤제국을 정복하기 위해서 나섰다. 그는 순식간에 페르샤를 정복하였다. 52
유대인들의 앞날은 이제 헬라문화와 접해야만 헀다.53 유대인들이 살고있는 곳은
주전 332 년경에 그리스의 속국이 되었다. 놀랍게도 알렉산더는 유대인들과 유대교에
대해서 매우 선대했다. 유대인들은 알렉산더의 정책을 이해했다. 동과 서의 문화를 합하여
철학, 문화, 언어를 만들어 낸 것을 헬레니즘(Hellenism)이라고 부른다.54 그러나
헬레니즘은 유대교를 분열하는데 요인이 되었다. 이유는 정통유대교인들과 헬라주의
유대인들 사이에 종교문제로 다투게 된다.55

역사는 쉬지 않는다. 다만 인간의 영향은 역사를 만들고 역사는 인간의 한계를
보여준다. 유대인들 역시 헬라문화로부터 독특한 문화를 창출하였으며 또한 역사는
유대인들의 영향을 우리들에게 오늘도 가르쳐 주고 있다.

각주
Endnote s

11. 시온으로의 귀환 부터 알렉산더대왕까지
Return to Zion and Alexander the Great

1 페르샤에 대한 언급은 주전 640 년경 앗수르나라 기록에 나와있음. 역사적으로 메데에 속한적이있었으나
구로스왕때 독립을 하였으며 정상에 올랐다. 페르샤는 오늘날 이란(Iran)을 일컸는다. “Persia”,
"Encyclopaedia Judaica," (New York: McMillan, 1993). XIII, P. 306.
2 고레스는 페르샤의 왕 캄비스 일세와(Cambyses I) 메데제국의 왕 아스타게스(Astyages)의 딸
만다네(Mandane)의 아들이었다. Jacob Abbott, Cyrus, the Great (New York and London: Harper & Brothers
Publishers, 1900). P. 37.
3 고대 통나무실린더에 실은 글에는 고레스왕(주전 539-530)이 그의 부친 캄비세스 I 세의 왕권을 이어받고
왕이됬고, 또한 그는 바벨론의 신 마르덕의 소명으로 전 나라를 통치하게 되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Eugene Merrill, Kingdom Priests: A History of Old Testament Israel, Second ed. (Grand Rapids: Baker Academic,
2008). P. 503.
4 고레스왕은 메데제국과 바벨론제국을 정복하고 고대시대 새로운 왕으로 나타난다. John L. Berquist,
Judaism in Persia's Shadow (Minneapolis, MN: Fortress Press, 1995).p. 18.
5 참조. 고레스왕은 페르샤 제국을 창설한 왕이다. Abbott. P. 2.
6 R. K. Harrison, Old Testament Times: A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Context (Grand Rapids: Baker Books,
2005).p. 279.
7 고레스왕은 이스라엘역사와 민첩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는 구약성경에 여러군데 언급되어 있다. 그의
사명은 이스라엘민족을 구하는 데 있었다. 그리고 성전을 재건하고 이스라엘백성을 귀환시키는데 명을
내렸다. (대하 36:23) 그는 하나님의 도구로 사용되었다. 참조. 에스라서; 대하; 단 1:21; 6:28; 10:1).
8 종교의 시작은 이란(Iran)에서 발생했다. 한때는 이란의 공식종교이기도 했다. 특히 이란과 인도에 많은
신도들이 있으며 중동지방에서도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Zoroastrians”, Abingdon Dictionary of Living
Religion, ed. Keith Crim (Nashville, Tennessee: Abingdon Press, 1981). P. 827.
9 이사야서 40-55 장을 두번째 이사야(Second Isaiah)라고 불리운다. (두번째이사야는 촛점이 심판보다는
미래에 대한 소망과 회복을 기록한 말씀이다. Jill Anne Middlemas, The Templess Age (Louisville and London: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7). P. 94.) 이사야 40-55 장에 고레스의 이름이 두 번 언급된다. 그는
여호와의 종으로 묘사되고 있으며 목자로 언급되기도 하다. Berquist. P. 31. 페르샤 왕 고레스는 이사야의
예언처럼 므삿세왕 시대 100 년후에 태어났다. 그리고 유다 민족을 바벨론 포로생활에서 귀환하는 조서를
내렸다.
10 대하 36:23; 스 6:3.
11 에스라 1 장 2-4 절에는 유대인에 대한 귀환의 언급이 나와 있다. 조서에는 성전 재건에 대해 하나님께로
부터 온것이라는 사실을 인정하고 있음. 70 년의 포로생활이 끝이난 후 이스라엘 민족은 3 왕들
(고레스(주전 539-530), 다리우스 1 세 (주전 522-486), 아닥사스다 1 세(주전 465-424))의 보호와 협조를 받아
경건한 유대인들의 지도자들 스룹바벨, 여호수아, 학개, 스가랴, 에스라, 느헤미야를 통해 제 2 성전이
재건되고 진정한 예배가 회복되었다.
12성경외에 나온 고레스 조서는 다음과 같다. “I returned to (these) sacred cities on the other side of the Tigris, the
sanctuaries of which have been ruins for a long time, the images which (used) to live therein and established for
them permanent sanctuaries. I (also) gathered all their (former) inhabitants and returned (to them) their
habitations.”Berquist. p. 24.;포로된 자들은 다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는 조서를 내렸음. Harrison, p. 275.
13 첫번째 단계는 에스라 2:1-70 절에 나와있다. 주전 538 년경, 예배의 회복을 주장한 첫 번째 구릅들은
제사장들과, 레위인들과 성전에 관련된 자들이 주를 이루었다. 두번째 단계는 주전 521-485 년경,
스릅바벨(Zerubbabel), 학개(Haggai) 와 스가랴 Zechariah)에 의해서 이루어 졌다. 이 단계에서는 성전재건에
촛점을 마추었다. 세번째 단계는 고레스왕이 죽은지 100 년이 지난후 아닥사스다 1 세때(주전 464-423)에
이르어 졌다. 이 당시에 중요한 인물들은 에스라였다. 그는 모세율법을 법전으로 편찬해서 백성들을
가르쳤다. 네번째 단계는 주전 404-368 년경, 아닥사스다 2 세때 느헤미야가 예루살렘에 도착해 예배와
백성의 순결을 주장했다. 느헤미야는 이미 두번이나 전에 예루살렘을 방문해 성벽을 쌓았다.The New Oxford
Annotated Bible (Revised Standard Version), ed. Herbert G. May and Bruce M. Metzger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73). P. 581 OT; 참조. Henry Jackson Flanders Jr., People of the Covenant: An Introduction to
the Hebrew Bible, Fourth ed. (New York an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Pp. 430-449.
14 참조. 스 1:11.
15 스릅바벨은스알디엘의 아들이며 성전재건에 참여한 인물이다. 그러나 성전헌당식때 이름의 언급이 없다.
(참조. 스 6:16 절)
16 대상 3:17-19. 그는 유다왕 여호아긴의 아들 스엘디엘의 조카로 나와있다.
17 Flanders Jr. P. 436.
18 에스라는 익숙한 학사로 묘사되어졌다. 이 말은 모세의 율법을 잘 알 뿐 아니라 그대로 실행하는 자도
포함됨. 그는 또한 왕의 심임을 받았고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직접 가르쳤다. (참조. 스 7 장)
19 참조. 스 8:15-20.
20 에스라의 언약의 갱신은 애통과 회개와 회복이었다. 참조. 느 7:7-9:37.
21 참조 스 9:1-10:44.
22 참조. 스 10:18-44.
23 느헤미야는 페르샤의 아닥사스다 일세의 ‘술 맡은 자’의 신분을 가진 중요한 인물이었다. 그는
포로생활때 본을 보여준 유대인 중에 한명이다. 제국의 중요한 직분을 맡았으나 그의 관심은 이스라엘의
신앙의 순결과 충성이였음.
24 느헤미야는 적어도 두번 이상 예루살렘을 방문했음.
25 참조. 느 13:29-31.
26 학개서 스가랴서을 참조함. 두 성경은 성전건축이 방해와 무관심으로 미루어진 것을 비난하고 재건에
대해 촉구하는 내용이다. 특히 스가랴의 환상은 하나님과 그의 백성이 회복됨을 내포하고 있다. 오직
성전재건을 통해서 이 관계가 회복될 수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참조. 슥 7:1-8:23.
27 참조. 느 4:1-6:14. 사마리아인 산발랏을 비롯해서 암몬 사람 도비야 그리고 아랍인과 블레셋사람들은
성전재건에 방해를 놓핬다. 느헤미야와 모든 남자여자는 용기를 잃지 않고 끝내는 폐허가 된 성전벽을
재건하였다.
28 Harrison. P. 290. 성경에서 난애도가 있다. 문제는 에스라와 느헤미야가 같은 시대의 인물인가이다. (참조.
느 8:9, 에스라와 느헤미야의 이름이 같이 나온다.) 에스라서 7-10 장은 느헤미야서 1 장 전에 나오고 있다.
그러면 느헤미야서에 나오는 아닥사스다왕(주전 465-424)(느 1:1)은 에스라서에 나오는 아닥사스다왕(스
8:1)과 동일한 왕이다. 이렇게 되면 에스라와 느헤미야는 동 시대의 인물이 된다. 그러나 많은 학자들은
에스라가 예루살렘에 온 기간은 예레미야의 초청으로 보고있다(느 8:1). Loring Woart Batten, A Critical and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Book of Ezra and Nehemiah, The International Critical Commentary (Edinburgh: T
&T Clark, 1913). Pp. 28-30.
29 참조. 스 3:12-3. 대성통곡은 ‘큰 소리로 울며’라고 번역되어야 할 것이다. 많은 노인들은 약 50 년 전에
파괴되었던 솔로몬 성전의 화려함을 기억하고 페허(참조 학개 2:3)가 되었던 그곳에 다시 전을 세우게 됨을
보고 하나님의 사랑에 감격하여 울었다. 관주 톰슨 성경, p. 714.
30 느 8:9.
31 대제사장직분은 야곱의 셋째아들 레위(Levi)의 후손인 아론(Aaron)의 계열에서 나왔다. Harrison. P. 139.
32 Ibid., p. 300.
33 Doron Mendels, The Rise and Fall of Jewish Nationalism (New York and London: Doubleday Press, 1992). Pp.
117-118.
34 John Bright, A History of Israel, 3 ed.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81). pp. 419-420.
35 참조. 출 30:10. 레 16:34; 히 9:7.
36 참조. 출 28:31-35.
37 참조.The Jewish Study Bible, ed. Consulting Editor: Michael Fishbane Adele Berlin and Mar Zvi Brettler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Pp. 1-7. 토라는 모세요경을 말한다. 헬라어로는 ‘펜타튜크’(Pentatuech,
라틴어화 된 헬라어)라고 부름. 토라는 구약성경에 제일먼저 나오는 다섯권의 책이다.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로 구성되어 있다.
38 Ibid., pp. 451-61.선지서는 대,소(Former and Latter Prophets) 선지서로 나누어지어 있다. 대, 소 선지서는
시대로 나눈것이 아니라 정경순서에 따라 나눈것이다. 유대교에서는 선지서를 8 책으로 본다, 여호수아,
사사기, 사무엘, 열왕기, 이사야, 예레미야, 에스겔 과 소선지서 12 을임. 유대교에서는 사무엘과 열왕기를
한 책의 성경르로 보고 있음.
39 Ibid., pp. 1275-79. 성지서(Writings)는 구약성경에서 가장 다양한 부분임. 역사서부터 지혜서 그리고
묵시서를 내포하고 있음 5 책의 두루마리(megilloth)는 룻기,아가서, 예레미야애가서, 전도서 그리고
에스더를 말함. 다니엘, 에스라, 느헤미야, 역대상, 시편, 욥기를 말함. 유대교에서 역대상은 한권의 성경으로
봄.
40 “Tanakh”, "Encyclopaedia Judaica."XV., p. 790.
41 히브리어로 하 테필라(ha-Tefillah)라고 부름.George Robinson, Essential Judaism: A Complete Guide to Beliefs,
Customs, and Rituals (New York: Pocket Books, 2000). Pp. 34-5.
42 히브리어로 18 임.Ibid.p. 591.
43 ‘아미다’는 일어나서 드리는 기로라는 의미앋.Ibid. Pp. 34-5.
44 페르샤식민지 시대 부터 유대교의 기초(The Foundation for Judaism)가 세워져 나갔다. 이때 부터도 또한
초대 기독교의 뿌리가 나옴을 기억해야한다.기독교의 뿌리는 유대교에서 나왔다. Berquist. pp. 237-240.
45 세계는 서쪽을 바라본다.Solomon Grayzel, A History of the Jew: From the Destruction of Judah in 586 Bc to
the Present Arab Israeli Conflict (New York: Meridian, 1968). P. 52.
46 앗수르, 바벨론, 메데,페르샤는 다 동방제국의 나라들이었다.
47 21 까지 세계를 주도하는 나라들을 보며는 서방나라들이다. 특히 오늘날 영어는 세계의 언어이다. 물론
중국어도 세계에서 많이 사용되지만 세계의 공통어는 아니다.
48 빌립(주전 359-336)은마게도니아인으로 그리스를 통합하였다. 그리고 페르샤를 상대로 정복준비를
하다가 주전 336 년경에 암살로 죽는다. 그리고 그의 아들 알렉산더(주전 356-323)가 후계자가 된다.
Harrison. P. 296.
49 알렉산더는 부친인 마게도니아 빌립의 왕권을 이어받고(주전 336) 그 당시에 알려진 나라들을
헬레니즘으로 변화시켰다. 그는 주전 334 년경 헬레스폰트(Hellespont)해협을 건너 부친의 꿈인
페르샤제국의 요지인 그레니커스(Granicus)를 정복하고 일년이 지난후(주전 333) 소아시아 전체를 정복했다.
그리고소아시아의 페르샤의 마지막 요지인 이수스(issus)까지 정복했다. 그후 동쪽으로는 인도의
인더스강(Indus River)까지 정복해 나갔다. 그리고 남쪽으로는 이집트 그리고 북쪽으로는 시리아,
팔레스타인지역까지 정복했다. 그는 정복한 지역마다 그의 이름을 따서 도시를 세웠다. 그는 나이
33 세(주전 323)에 세상을 떠났다.
50 알렉산더의 꿈은 세계가 헬라화되는 것이었다. Flanders Jr. P. 465.
51 많은 역사가들은 알렉산더는 마음과 지식이 월등한 왕이였다고 말한다. 특히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은
매우 컸다. Theodore Ayrault Dodge, Alexander: A History of the Origin and Growth of the Art of War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Battles of Ipsus, 301 Bc, Witha Detailed Account of the Campaigns of the Great Macedonian
(Boston: DeCapo Press, 1996)., p. 181.
52 페르샤를 정복한 때는 주전 334. 왕위에 즉위한지 2 년만에 정복하였다.
53 유대인들이 거한 페르샤지역 그리고 팔레스타인 지역 모두 헬레니즘에 영향을 받았다. 그리고 언어는
그리스어를 사용했다. Harrison. P. 296.
54 “Hellenism”,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Jewish Religion," ed. R. J. Zwi and Geoffrey Wigoder Werblowsky
(New York an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P. 315-6.
55 Harrison. Pp. 299-300.

참고문헌 Bibliography
Abbott, Jacob. Cyrus, the Great. New York and London: Harper & Brothers Publishers, 1900.
Abingdon Dictionary of Living Religion. Edited by Keith Crim. Nashville, Tennessee: Abingdon
Press, 1981.
Batten, Loring Woart. A Critical and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Book of Ezra and Nehemiah
The International Critical Commentary. Edinburgh: T &T Clark, 1913.
Berquist, John L. Judaism in Persia's Shadow. Minneapolis, MN: Fortress Press, 1995.
Bright, John. A History of Israel. 3 ed.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81.
Dodge, Theodore Ayrault. Alexander: A History of the Origin and Growth of the Art of War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Battles of Ipsus, 301 Bc, Witha Detailed Account of the
Campaigns of the Great Macedonian. Boston: DeCapo Press, 1996.
"Encyclopaedia Judaica." I-XVI. New York: McMillan, 1993.
Flanders Jr., Henry Jackson. People of the Covenant: An Introduction to the Hebrew Bible.
Fourth ed. New York an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Grayzel, Solomon. A History of the Jew: From the Destruction of Judah in 586 Bc to the Present
Arab Israeli Conflict. New York: Meridian, 1968.
Harrison, R. K. Old Testament Times: A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Context. Grand Rapids:
Baker Books, 2005.
The Jewish Study Bible. Edited by Consulting Editor: Michael Fishbane Adele Berlin and Mar
Zvi Brettler.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Mendels, Doron. The Rise and Fall of Jewish Nationalism. New York and London: Doubleday
Press, 1992.
Merrill, Eugene. Kingdom Priests: A History of Old Testament Israel. Second ed. Grand Rapids:
Baker Academic, 2008.
Middlemas, Jill Anne. The Templess Age. Louisville and London: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7.
The New Oxford Annotated Bible (Revised Standard Version). Edited by Herbert G. May and
Bruce M. Metzger.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73.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Jewish Religion." edited by R. J. Zwi and Geoffrey Wigoder
Werblowsky. New York an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Robinson, George. Essential Judaism: A Complete Guide to Beliefs, Customs, and Rituals. New
York: Pocket Books, 2000.
Site Map
MSBNM-EWBI is a community of witnessing, sharing, and dialoguing on Christianity,
spirituality, and theology, and mission. 
Biblical Monastic Spirituality
​Welcome to Syrian Christianity Seminar
Online Class Catalog 
Purposes​
History
Photo Gallery
Martyr Sukbaknam
EWBI
HermitageHome
​Timeline of the Western Church 1st-10th century
​Christianity in Asia
​Syrian Connections​
About
​Books
​Media
Partners

​Western Treasures

Contact 
Privacy Policy
Terms of Service
                                                                                                            copyright@2022 Martyr Sukbaknam Monastery-EastWest Bible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 Home
    • Prayer Topics
  • Explore
    • About
    • Bak Nam Suk
    • EWBI >
      • Timeline of Christian Branches
      • Timeline of the Western Church 1st-10th century
      • Christianity in Asia >
        • Introduction
        • China Timeline History
        • Korea Timeline History
        • Syrian Connections
      • Online Classes
      • Recent Course Materials >
        • Christian Spirituality >
          • Guide to Christian Spirituality: Living in the Spirit
        • Song of Songs Survey >
          • Song of Songs: Love is Strong as Death
        • Syrian Christianity >
          • Registration Form
          • Survey Syrian Spirituality
          • SCS Note
          • SCS Outline
        • The Book of John 요한 복음 연구 >
          • 요한복음연구
      • Western Treasures >
        • Greek Manuscripts
    • Gospel
    • Lord's Prayer
    • Partners >
      • Missionaries
      • Friends
    • Purpose & History >
      • Affiliations
      • Ministries
      • Photo Gallery
    • Sainthood
    • Schedules
    • Alexander Pak >
      • Earlier years of Bro Alex's photos
      • CV
      • Papers and Writings from Prison
      • Written Works List
    • Terms of Service >
      • Contact
      • Privacy Policy
  • Resources
    • Articles and Writings >
      • On Passover in Jerusalem
      • In the Air
      • American Missionary John Livingstone Nevius (1829-1893)
      • Book Review: Reformation Sketches: Insights into Luther, Calvin, and the Confessions.
      • A Short History of Early Korean-American Churches in America (in Korean)
      • A Brief Introduction To A Secret of Survival of Jews: New Covenant People >
        • Book I Secret of Survival of Jews: New Covenant People >
          • I Chapter 1: In the Beginning
          • I Chapter 2: From Slavery to Freedom
          • I Chapter 3: Mt. Sinai
          • I Chapter 4: Keeping the Sabbath
          • I Chapter 5: Into the Promised Land
          • I Chapter 6: Kings in the Biblical Periods
          • I Chapter 7: The First Temple Period
          • I Chapter 8: The Fall of Kingdom of Judah and the Babylonian Captivity
          • I Chapter 9: Esther and Purim: Triumph of the Weak
          • I Chapter 10: Prescribed Feasts
          • I Chapter 11: Return to Zion and Alexander the Great
        • Book II: Victory Of Faith: Growth of Judaism >
          • II Chapter 1: Rebellion for the Religious Freedom
          • II Chapter 2: Patriarchal Rule
          • II Chapter 3: The Oral Tradition
          • II Chapter 4: The Talmud
          • II Chapter 5: Medieval Western Europe
          • II Chapter 6: Life of Jews among the Islam Setting
          • Affiliation2
          • II Chapter 7: Life of Jews in Eastern Europe
          • II Chapter 8: The Enlightenment and Freedom
        • Book III Victory of Faith: Inheriting the Land >
          • III Chapter 1: Jews in America
          • III Chapter 2: The Holocaust
          • III Chapter 3: Establishment Of Modern Israel
        • Timeline
        • Brief Outline of the Old Testament
        • Glossary
      • Introduction To Apologetics
      • The Existence of God: Revelations Introduced
      • On Humanity: Where Do We Come From?
      • The Person of Jesus: God’s Most Precious Gift
      • The Deity of the Holy Spirit
      • Christian Reformed Church Mission to China
      • A Brief Introduction To God’s Three-In- Oneness: The Trinity And The Council Of Nicaea, 325
      • Commentary on the Book of Revelation by Dr. Eun Kyu Park
      • Comparative Religious Study: Looking at Greek Orthodox Christianity and Understanding of Luther and Calvin On Scripture, Christology, the Holy Spirit and Church
      • Church Fathers
      • A Brief Intro. to Greek Orthodox Church
      • Brief Life's Sketches of the Church Fathers
      • The Council of Nicaea I, 325
      • Outline of the Council of Ephesus (A.D. 431)
      • Origen of Alexandria (185-c. 254)
      • Toward The Council Of Chalcedon, 451
      • The Development Of Episcopal Ministry For The Purpose Of Canon And Creed
      • Meaning of History
      • The Question of Authorities in Forming Christian Doctrine
      • Reflection on Theological Education (In Korean)
      • New Age and Its Impact on Churches and Society (in Korean)
      • Next-Generation Pastor’s Spirituality and Korean Church’s Well Being
      • Meditate on the Lord's Prayer
      • Councils of Nicaea, Ephesus and Chalcedon: Development of Episcopal Ministry
      • With Jesus in a Monastery
      • Antiochean Christology
    • Biblical Monastic Spirituality
    • BiblicalTraining Classes for Everyone
    • Books
    • Featured Book: Secret of  Survival of Jews—Triumph of the Weak
    • LEARNING BIBLICAL GREEK: DR BILL MOUNCE
    • 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