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10. 절기들의규정을 지킴킴
Keeping the Prescribed Feasts
유대인의 절기에 있어서 신년제(Rosh Hashanah; 로쉬 하샤나)와 속죄일(Yom Kippur; The
Day of Atonement)이 있다.1 이 두날은 매년있는 절기들로써 유대인들이 지키는 절기이다.
이 두 절기는 10 동안을 거쳐서 지킨다.2 성경의 근원은 레위기서에서 나온다. 레위기서
23:24-25 절에 “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여 이르라 칠월 곧 그 달 일일로 안식일을
삼을찌니 이는 나팔을 불어 기념할 날이요 성회라 아무 노동도 하지 말고 여호와께 화제를
드릴찌니라.” 3 유대인의 새해는 성서에서 시작되었다. 그리고 민수기서 29 장 1 절에
이날을 성회에 모이라는 거룩한 공회를 말하고 있다.4 이때가 되면 유대인들은 아무일도
하지 않는다. 안식일 다음으로 중요한 이날 역시 유대인들은 기억하고 행하는 전례를
가진다.5
이들의 기억함은 아브라함이 그의 아들 이삭을 제물로드린 제사를 기억하고
행하는 것으로 일을 안하므로 지키는 것이다. 신년의 시작은 주전 6 세기에서 부터
시작되었다고 전해진다. 그 이유는 바벨론 포로생활을 마치고 돌아온 유대인들이
성경대로 준수하기 위해서 시작된 절기로 보기 때문이다.6
신년제(Rosh Hashanah)의 절기를 마치는 때에 속죄의 날을 지킨다.7 속죄일(Yom
Kippur)은 신년제의 마지막날인 10 일째 되는 날에 시작해서 하루를 회개하면서 지낸다.8
히브리어로 욤키퍼(Yom Kippur)는 또한 안식일의 안식일(히브리어,Shabbat Shabbaton
또는 The Sabbath of Sabbaths)이라고도 부를만큼 거룩한 날이다.9 이날에도 마찬가지로
유대인들은 노동 또는 일을 하지 않고 지낸다.
성경에서 근원을 찾으면 속죄의 날의 시작은 모세가 시내산에서 하나님으로 부터
10 계명을 받아서 40 일 만에 내려왔을때에 이스라엘백성들은 금송아지를 만들어놓고
제사를 지내고 방탕한 행동을 하고있었다. 이 광경을 본 모세는 돌판에 새긴 10 계명을
땅에 부숴뜨렸다.10 하나님께서 타락한 백성들을 심판하신후에 그를 다시 시내산으로
불러 두 번째의 돌판에 적힌 10 계명을 주었다. 모세가 시내산에 올라가 있었을때에
이스라엘백성들은 회개하고 있었다. 회개를 받아주시고 용서해주신 하나님께서 그날을
거룩하게 지키라고 명하셨다. 이것이 속죄의 날의 근원이 되었다. 그래서 오늘날에도
유대인들은 일년중에 속죄의 날을 귀중하게 지키고 있다.
성경에서 속죄의 날은 일년에 한번씩 대제사장이 지성소에 들어가 제사를 드렸다.
그리고 백성들의 죄의 용서함을 위해서 기도를 드렸다.
속죄일에 지키는 전례중에 하나가 금식하는 일이다.11 이 날은 유대인들이
먹거나 마시는 것을 금한다. 전통에 보며는 금식 외에도 다른 것들도 금하고 있다. 예를
들어서 세탁을 하거나 목욕을 하는것을 금하며, 몸에 로션이나 기름 바르는 일을 금하며,
성적관계를 금하며 또한 가죽신을 신는 일을 금한다. 이유는 가죽은 죽은 동물의 거죽이기
때문에 속죄의 날에는 살해해서 만든것들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금식의
시작은 보통절기의 금식과는 다르게 아침에 시작해서 저녁에 마친다. 그리고 금식을
준비하기 위해서 마지막 식사를 중요하게 여기기도 한다. 속죄일에 지키는 금식의 의미는
성경에서 명하는 것이기때문이다. 그리고 금식을 통해서 자신의 삶의 중요한 음식과 물은
자신을 부인하는 신앙의 모습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금식을 하면서 영적인 일을
생각하고 또한 자신의 허물을 돌아보는 귀한 시간이 되기 때문이다.
금식의 상징은 금식을 하는 자로서 그의 몸의 요구를 정복한것으로 보고있다. 음식의 갈급과 욕망을
억제하고 금하는 훈련은 영적삶에 도움이 된다. 그리고 사회적으로 볼때에 금식을 하면서
가난하고 배고픈자들을 생각하게 하고 이해할 수 도 있다. 그래서 속죄의 날의 금식은
영적으로나 육체적으로 또 사회적으로 많은 도움을 가져다 준다.
유대교전통에 보며는 금식을 안해도 되는 사람들이 있다. 예를 들어 임신했거나
나이가 아홉살미만의 자녀들 그리고 건강치 못한 자들은 제외된다.
속죄일의 예배는 중점을 개인의 회심과 회개에 둔다. 그리고 예배는 공동체
차원에서 드린다. 예배의 단어는 “나”라는 것은 없으며 “우리”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여기에서 유대교의 공동체의 정신을 볼 수있다. 개인도 중요하지만 개인이 또한 집단의
책임도 진다는 뜻으로도 본다.
신년제(Rosh Hashanah)과 속죄일(Yom Kippur)의 예배는 매우 특별한 예배로
드린다. 그리고 말씀봉독과 기도는 예배순서에 항상 있다.12 예배의 종류로는 첫 날
저녁에 드리는 ‘마아리브’예배(Ma`ariv)가 있다. 예배전에 ‘모든 서원’(All Vows) 또는 Kol
Nidre 홰개기도로 시작한다. 이 기도는 예배에서 매우 중요한 기도이다. 이렇게 속죄일
예배는 죄를 회개하는 ‘모든 서원’의 기도로서 저녁 예배기 시작된다.
기도의 내용속에인간의 죄악성된 모습 그리고 하나님의 율법대로 살지 못함을 애통함을 고백하는 것이다.
‘모든 서원’(골 니드레)의 노래는 유대교에서 가장 오래된 음악곡이기도 하다.13 그리고
다음날 아침에 드리는 예배(Shakhrit/Morning)가 있다. 그리고 ‘추가된예배’ (Musaf/
Additional) 를 드리고 오후에 있는 민카예배(Minkhah)14가 있다. 그리고
‘추모예배’(Memorial Service) 가 있다.15 추모예배를 잇츠골(Yizkor)이라고 부른다. 16
예배순서에는 죄고백의 기도(viddui)가 들어있고,17 골니드레 (Kol Nidre)예배때에는
이사야서를 봉독한다. 말씀은 57 장 14 절에서 58 장 14 절을 읽는 다. 이때에 또한 이미
세상을 떠난 자들을 위해서 기도도 드린다. 그리고 마지막 다섯번째 예배를 드린다. 하늘
문을 닫는 다는 의미를 가진 네이라 (Ne’ilah)예배이다. 그리고 나팔을 길게 분다음 모든
예배는 마친다.18
각주
Endnotes
10. 절기의규정을 지킴
Observing the Prescribed Days
1 Rosh Hashanah 는 유대인의 설날이며 Yom Kipper 는 속죄일로서 유대교에서는 매우 중요한 축제일들이다.
George Robinson, Essential Judaism: A Complete Guide to Beliefs, Customs, and Rituals (New York: Pocket Books,
2000). P. 92. Morris N. Kertzer, What Is a Jew?: A Guide to the Beliefs, Traditions, and Practices of Judaism That
Anersw Questions for Both Jew and Non-Jew, ed. A. Hoffman Lawrence (New York: A Touchstone Book: , 1993).
P. 214.
2 유대인들은신년과 속죄일을 10 일 동안 철저히 지킨다. 10 일 동안 회개와 기도를 드린다.
3 성경에서 언급하는 나팔을 불라는 명령을 준수하기 위해서 유대인들은 오늘도 양의 뿔로 만들어진 나팔을
분다. 이것을 소파(shofar)라고 부른다. 구약시대에서는 ‘소파’를 전달 또는 통신의 도구로 사용하였다. 특히
유대산에서 나팔을 불며는 온 지파들이 들을 수 있었다. Kertzer. P. 215.
4 나팔절에 대한 언급이 있음. 참조. 레 23:23ff. ; 민 29:1 ff. 그리고 성경이 언급되지 않은 절기는 미쉬나에서
발견된다. 미쉬나에서는 신년에 대한 언급이 나옴. (미쉬나 1.VII). J. Alberto Soggin, Israel in the Biblical
Period, ed. Trans. John Bowden (Edinburgh and New York: T & T Clark, 2001). Pp. 119-120.
555 유대인들은 이 두날들을 지키면서 이들이 일년 살어온 것을 기억하고 묵상하고 영적으로 도덕적으로
갱신의 날로 삼는다. 그리고 앞 날에 대해 자신의 존재의 의미, 미래를 계획하고 염두에 두며 지낸다. Marc-
Alain Ouaknin, Symbols of Judaism (New York: Assouline Publishing, 2003). P. 66.
6 Soggin. P. 120.
Ibid.7 속죄일을 히브리어로 Aseret Y’mei Teshuvah 라고 부른다. 의미는 10 일의 홰개(the Ten Days of
Repentance)임. Robinson. P. 95. 참조. 레 23:27 ff. 그리고 민수기에서도 언급을 하고 있음. (참조. 민 29:7 ff.)
88 히브리 달력으로는 티스리(Tishri 10)달이며 현대날로는 9 월 10 월이 된다. Ouaknin. p. 70. 속죄일은
신년절기 9 일째 되는 날 부터 시작된다. 그리고 다음날 저녁에 소파의 소리와 함께 마친다.
9 Robinson. P. 97.
10 출 32 장.
11 속죄일이 안식일에 거해도 금식을 해야 한다. 그리고 금식을 미루어서도 않됨. “Yom Kipper”,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Jewish Religion," ed. R. J. Zwi and Geoffrey Wigoder Werblowsky (New York an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P. 751.
12 유대교는 보편적으로 3 번의 예배가 있으며, 특별한 절기에는 5 번의 예배가 있음.Robinson. p. 98.
13 Kertzer. P. 217.
14 오후예배를 ‘민카’라 부름. Robinson, p. 584.
15 Robinson. 98.
16 Ibid. p. 98. ‘잇츠골’의 의미는 하나님이 기억하시기를 원합니다. “Yizkor”,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Jewish Religion." P. 748.
17 Robinson. Pp. 97-8.
18 네이라(ne’ilah) 예배는 다섯번째 드리는 예배이다. 의미로는 ‘문을 닫는다’이며 속죄일날 드리는 예배의
마지막 기도이다. 기도를 마지막때 저녁 또는 어두울때 금식을 마치면서 드려야 한다. “Ne`ilah”,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Jewish Religion." P. 498.
참고문헌 Bibliography
Kertzer, Morris N. What Is a Jew?: A Guide to the Beliefs, Traditions, and Practices of Judaism
That Anersw Questions for Both Jew and Non-Jew, Edited by A. Hoffman Lawrence.
New York: A Touchstone Book: , 1993.
Ouaknin, Marc-Alain. Symbols of Judaism. New York: Assouline Publishing, 2003.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Jewish Religion." edited by R. J. Zwi and Geoffrey Wigoder
Werblowsky. New York an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Robinson, George. Essential Judaism: A Complete Guide to Beliefs, Customs, and Rituals. New
York: Pocket Books, 2000.
Soggin, J. Alberto. Israel in the Biblical Period, Edited by Trans. John Bowden. Edinburgh and
New York: T & T Clark,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