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lcome to Martyr Sukbaknam Monastery נבחר שם מעשר רב מכסף ומזהב חן טוב׃
  • Home
    • Prayer Topics
  • Explore
    • About
    • Bak Nam Suk
    • EWBI >
      • Timeline of Christian Branches
      • Timeline of the Western Church 1st-10th century
      • Christianity in Asia >
        • Introduction
        • China Timeline History
        • Korea Timeline History
        • Syrian Connections
      • Online Classes
      • Recent Course Materials >
        • Christian Spirituality >
          • Guide to Christian Spirituality: Living in the Spirit
        • Song of Songs Survey >
          • Song of Songs: Love is Strong as Death
        • Syrian Christianity >
          • Registration Form
          • Survey Syrian Spirituality
          • SCS Note
          • SCS Outline
        • The Book of John 요한 복음 연구 >
          • 요한복음연구
      • Western Treasures >
        • Greek Manuscripts
    • Gospel
    • Lord's Prayer
    • Partners >
      • Missionaries
      • Friends
    • Purpose & History >
      • Affiliations
      • Ministries
      • Photo Gallery
    • Sainthood
    • Schedules
    • Alexander Pak >
      • Earlier years of Bro Alex's photos
      • CV
      • Papers and Writings from Prison
      • Written Works List
    • Terms of Service >
      • Contact
      • Privacy Policy
  • Resources
    • Articles and Writings >
      • On Passover in Jerusalem
      • In the Air
      • American Missionary John Livingstone Nevius (1829-1893)
      • Book Review: Reformation Sketches: Insights into Luther, Calvin, and the Confessions.
      • A Short History of Early Korean-American Churches in America (in Korean)
      • A Brief Introduction To A Secret of Survival of Jews: New Covenant People >
        • Book I Secret of Survival of Jews: New Covenant People >
          • I Chapter 1: In the Beginning
          • I Chapter 2: From Slavery to Freedom
          • I Chapter 3: Mt. Sinai
          • I Chapter 4: Keeping the Sabbath
          • I Chapter 5: Into the Promised Land
          • I Chapter 6: Kings in the Biblical Periods
          • I Chapter 7: The First Temple Period
          • I Chapter 8: The Fall of Kingdom of Judah and the Babylonian Captivity
          • I Chapter 9: Esther and Purim: Triumph of the Weak
          • I Chapter 10: Prescribed Feasts
          • I Chapter 11: Return to Zion and Alexander the Great
        • Book II: Victory Of Faith: Growth of Judaism >
          • II Chapter 1: Rebellion for the Religious Freedom
          • II Chapter 2: Patriarchal Rule
          • II Chapter 3: The Oral Tradition
          • II Chapter 4: The Talmud
          • II Chapter 5: Medieval Western Europe
          • II Chapter 6: Life of Jews among the Islam Setting
          • Affiliation2
          • II Chapter 7: Life of Jews in Eastern Europe
          • II Chapter 8: The Enlightenment and Freedom
        • Book III Victory of Faith: Inheriting the Land >
          • III Chapter 1: Jews in America
          • III Chapter 2: The Holocaust
          • III Chapter 3: Establishment Of Modern Israel
        • Timeline
        • Brief Outline of the Old Testament
        • Glossary
      • Introduction To Apologetics
      • The Existence of God: Revelations Introduced
      • On Humanity: Where Do We Come From?
      • The Person of Jesus: God’s Most Precious Gift
      • The Deity of the Holy Spirit
      • Christian Reformed Church Mission to China
      • A Brief Introduction To God’s Three-In- Oneness: The Trinity And The Council Of Nicaea, 325
      • Commentary on the Book of Revelation by Dr. Eun Kyu Park
      • Comparative Religious Study: Looking at Greek Orthodox Christianity and Understanding of Luther and Calvin On Scripture, Christology, the Holy Spirit and Church
      • Church Fathers
      • A Brief Intro. to Greek Orthodox Church
      • Brief Life's Sketches of the Church Fathers
      • The Council of Nicaea I, 325
      • Outline of the Council of Ephesus (A.D. 431)
      • Origen of Alexandria (185-c. 254)
      • Toward The Council Of Chalcedon, 451
      • The Development Of Episcopal Ministry For The Purpose Of Canon And Creed
      • Meaning of History
      • The Question of Authorities in Forming Christian Doctrine
      • Reflection on Theological Education (In Korean)
      • New Age and Its Impact on Churches and Society (in Korean)
      • Next-Generation Pastor’s Spirituality and Korean Church’s Well Being
      • Meditate on the Lord's Prayer
      • Councils of Nicaea, Ephesus and Chalcedon: Development of Episcopal Ministry
      • With Jesus in a Monastery
      • Antiochean Christology
    • Biblical Monastic Spirituality
    • BiblicalTraining Classes for Everyone
    • Books
    • Featured Book: Secret of  Survival of Jews—Triumph of the Weak
    • LEARNING BIBLICAL GREEK: DR BILL MOUNCE
    • Media

Chapter 1. 이야기의 시작
In the Beginning



20 세기는 유대인들1에게 가장 핍박과 역경이 많았던 세기이다.
이스라엘이란 나라가 생기기전에2 이들은 디아스포라(Diaspora 의 의미는
이스라엘 밖에 Outs ide of Is rae l) 였다. 디아스포라라는 것은 ` 흩어진 자들’이란
뜻이다.
유대인들의 근대 역사를 이야기 하자면 많은 학자들은 유대인들의 역사를
4000 (B.C.E. 2000)년도로 보고있다.3 물론 유대인들 조차도 그들의 역사를
이야기 하면 성경을 인용하며 근거로 시작한다.4 구약의 성경의 시대는 주전
2000 년 부터 450 년까지 보고 있다. 이 때는 아브라함에서 부터 에스라
느헤미야때까지를 말해준다. 그러나 주전 1000 년 이전의 기록은 자세히 알 수
가 없다. 구약을 살펴 볼때에, 모세 오경이 제일 먼저 나오는 다섯개의 책들을
말한다. 영어로 Pentateuch 이라고 부름. (의미는 다섯 책이라는 뜻. 또는 토라
Torah: 율법책이라고 부름). 모세오경은 성경 구약에 나오는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를 말하고 있다.5 하나님의 말씀 또는 토라(T orah)인 모세
오경은 모세가 이스라엘을 이끌고 출애굽(Exodus )하여 시내산(Mt. Sinai)에서
부터 모압(Moab)평지까지 약 40 년간 하나님께로 부터 받은 말씀을 이스라엘
자손에게 구두로 전해주었으며 하나님의 뜻대로 돌판에 기록해서 전해 내려온
하나님의 교훈 또는 지시이다.
유대인들이 처음 거하기 시작한 장소는 이야기 하자면 유대인들의 시조의
태초는 인류역사의 발생지였던 근동지방부터 이야기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곳을 비옥한 초승달지대(Fe rtile cre s cent valley)라고 부른다.6 이유는
초승달처럼 생긴 모양의 지역으로 푸른 초장이 있으며 오아시스 및 야자수
나무들이 있어서 사람이 살기에 매우 적합한 곳이기 때문이다.7 (그림: 초승달
지대) 이곳은 지금 두개의 강이 흐르고 있다. 유프라테스강(Euphrate s Rive r),
티그리스강(Tigris River)으로 말미암아 물이 풍부하고 초목이 청청하다.

이곳은 역사적으로 제일의 제국인 바벨론 제국(Babylon Empire )이
설립된곳이기도 하다. 바벨론 사람들을 또는 갈대아인(Chalde an)이라고도
부른다.8 이들은 또한 일월성신이라는 태양과 달을 숭배하였고 많은 신들을
섬기고도 있었다. 특히 우르와 하란에는 월신을 숭배하는 신전이 많이 있었다.
이런곳에서 아브라함의 부친 데라(T e rah)가 자녀들을 데리고 살았었다. 이들이
거했던 곳은 메소포타미아 (Me sopotamia 의 뜻은 강들사이 betwe en the
rivers 라는 의미가 있다)의 고대 도시인 ‘우르’(Ur)였다. 9 그래서 성경에서는
아브라함을 이야기 할때 갈대아 우르에서 나왔다고 말한다.10 이렇게 이스라엘의
족장인 아브라함의 조상들은 태양신을 섬기고 많은 신들을 섬기는 문화속에서
살았있엇다. 아브라함의 일족을 ‘아모리족’(Amorite s )이라고도 부른다.11

아모리족은 아라비아 사막에서 주전 (B.C.) 2000 년경에 물이 풍부한
유프라테스강 유역에서 자리잡고 산 이민자들이었다.12 그리고 이들은 그곳에
사는 수메르족(Sume rians )13을 정복하고 또한 그들의 문화, 학문, 종교의 태반을
섭취하고 나서 바벨론이란 제국을 설립한 민족이기도하다.14
아브라함은 이러한 풍습속에서도 부친을 따라 일월성신을 숭배하기
보다는 이러한 풍습을 배척하였으며, 그 부친의 생업이었던 철동상들을 다
파괴하고 말았다. 그리고 그는 우르에서 떠나 하란으로 그의 거처를 옮겼다.
그때부터 아브람은 방랑자의 삶을 시작하게 되었다.15

유대의 역사를 보며는 히브리인(Hebrew)이란 말이 나온다. 이 단어의
뜻은 히브리언어로써 “방랑자” 또는 “나그네”라는 의미가 담겨져있다.16 또
하나의 의미는 애굽어에서 “아비루”(‘Apiru) 라는 단어에서 나온 이야기도 있다.
“아비루”는 외국인이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아브라함과 그의 자손들이 애굽에서
있을때에 이들을 부르는 말로도 사용되기도 했다.17 또 하나의 히브리의 뜻은
“이벨”(Ebe r) 이라는 말이며, 성경에 나오는 족장의 후계로도 보고있다.18
중요한 사실은 히브리인의 선조는 성서에서 나오는 아브라함이다. 아브라함과
그의 후손은 방랑자로써 거처할곳이 정해지지 않았으며 여기저기 다니면서
살았던 자였다.

성경에 보며는 하나님께서 아브람의 이름을 바꾸시기 전에 하란에서 그를
부르시고 가족과 친지를 떠나 가나안으로 가라고 명령하셨다. 아브람은 거기서
말씀에 순종하고 즉시 떠났다.19 하나님께서 그에게 약속을 하신것이 그로
하여금 큰 민족을 이루게 하고 복을 주어 그의 이름을 창대케 할것을 약속으로
주셨다. 그리고 이름을 바꾸어 아브람(원명)에서 아브라함(Abraham 의 의미는
많은 민족의 아비)으로 만드셨다.20
지금도 이스라엘의 정치회당인 케넷스(Kne s s e e t)21에 가보면 벽에
이스라엘의 대표인 아브라함과 모세의 사진이 걸려있다. 이렇게 아브라함은
이스라엘 민족에게서는 없어서는 안 되는 인물이다.

` 방랑자’라는 의미를 가진 히브리인들은 나중에 아브라함의 아들 이삭,
이삭의 아들 야곱의 열두 아들중에 유다 (Judah)라는 족장의 이름을 사용하여서
유대인(Jew)이라고 자칭해 오늘날 까지 사용되오고 있다.
유대인이란 이름은 매우 섬세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먼저 유대인이란 세가지 종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로는 유대종교를 믿는
사람을 유대인이라 하고 둘째로 인종을 부를때 유대인이라고 한다. 여기서
유대인이 되려고 하며는 어머니가 유대인이거나 또는 2 대 조상중에 유대인의
피가 있는 자들을 가리킨다. 셋째로 유대교로 개종한 유대인이있다. 이들은 사실
이방인이지만 유대교로 개종했거나 유대교를 따르는 자들을 일컫는 말이다.
그러나 보통 말할 때 우리는 두번째 유대인들을 가리켜 말한다. 다시
말해서 저자가 알리려는 유대인들은 아브라함의 혈통을 지닌 자들에게 포커스를
맞추어서 쓰고자 한다.

성경에 보며는 하나님이 아브람에게 나타나셔서 그와 함께 언약을
맺으신다. 그 언약의 의미는 아브람이 그의 집과 가족을 떠나서 가나안땅으로
떠나 가라는 것이었다. 그리고 하나님께서 아브람으로 큰 민족을 이루고 복을
주어서 땅의 모든 족속이 복을 받을 것이라고 약속하셨다. 중요한 사실은
아브람이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순종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아브람이
하나님과의 언약을 확실히 하고 나서 부터 유대인들이 시작이 된것이다.
약속의 땅은 아직도 많은 의문점이 있다. 하나님께서 아브람에게 주신
땅은 과연 어떤 땅인가 하는 것이다. 성경에서는 하나님께서 아브람 후손들에게
주는 땅을 구체적으로 지적하고 있지만 (많은 학자들의 의견들이 갈리고 있다)

대체적으로 약속의 땅(the Promis ed land)으로 이야기 하고 있고 오늘날 까지도
이 약속의 땅의 한계가 어디인가 하는것은 계속해서 이스라엘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성경에서는 가나안땅을 약속의 땅으로 보고있지만 다른설에는 더
광범위하게 보는 경우도 있다.
아브람은 하란 (Haran)을 떠나 서쪽으로 발행하였다. 그와 같이한 자들은
그의 아내, 사래(Sarai), 그의 조카 롯(Lot) 그리고 그의 종들이었다. 그리하여
아브람은 방랑생활을 시작하였다. 아브람의 방랑생활은 그를 애굽으로
인도하였고 애굽에서 다시 가나안땅으로 옮겼다.22

아브람은 방랑생활을 하는 가운데 매우 용맹스러운 모습을 나타냈으며,
또한 사교에 능통한 자였다.23 그는 그와 만나는 사람들과 되도록 화해와 사교
정책을 사용해서 그의 어려운 일들을 극복해 나가기도 하였다.
하루는 세 나그네가 아브람의 거처에 나타났다. 아브람은 이 세나그네를
그의 텐트로 초청하고 음식으로 대접하였다. 이 세 나그네는 하나님이 보낸
자들이었으며 아브람에게 소돔과 고모라땅에 내릴 심판에 대해서 피할 대책을
말해주었다.24

그당시 소돔과 고모라땅은 매우 부패하였으며 하나님이 보시기에 매우
타락된 도시들이었다. 하나님의 심판을 들은 아브람은 하나님께 간구하기를
시작했다. 간구의 내용은 소돔과 고모라땅에 의인 열명이 있으면 그 땅을
심판에서 건져 주시기를 간구했다. 하나님은 그렇게 허락하셨으나, 애석하게도
그 도시들 가운데 의인 열명이 없었던 것이다.25 다만 구원을 받을 만한 가족은
오직 아브람의 조카 롯의 가족들이었다. 그 당시 롯과 그 가족은 소돔에 거주하고
있었다. 하나님은 아브람의 간구로 인하여 롯과 그의 가족을 피하게
허락하셨으며 그 후에 소돔과 고모라땅에 불로 심판하셨다. 성경에 보면
하나님께서 롯과 가족에게 피신할때 뒤를 돌아 보지 말라고 경고하셨다. 그러나
롯의 아내는 미련과 애착때문에 뒤를 돌아보고 말았다.26 그러자 그녀는
소금기둥이 되버리고 말았다.27 지금 사해바다(De ad Se a) 는 한때 소돔과
고모라 땅이기도 하다. (사해바다 밑의 사진을 보며는 소금기둥같은
형상이보이기도 한다.)28 유대인들의 정의의 정신은 아브람이 하나님께 드리는
간절한 호소와 간구를 통해서도 볼 수있다. 아브람이 소돔과 고모라와 같이
타락한 땅에서도 하나님께 정의를 구하는 모습은 오늘날 유대인들의 정의
정신에도 스며있다.

아브람은 이제 나이가 많이 들었다.29 그리고 십여년전에 맺은 언약에
대해서도 이제 의심을 하기 시작했다. 하나님께서는 그에게 많은 후손을
허락하셨는데도 불구하고 그에게는 아직도 자식이 없었던것이다. 그의 아내
사래도 역시 경수가 끊어진지 오래였다.
사래는 그가 아브람의 자식을 낳을 수 없는 것을 알고 그의 여종 하갈을
아브람에게 아내로 주었다.30 그당시에 이러한 풍습은 자연스러웠으며 가능한
때였다. 하갈은 아브람에게 아들을 낳아주었다. 그리고 아브람은 아들의 이름을
이스마엘(Ishmae l)31이라고 지어주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아브람에게 말씀하시되 이스마엘은 그의 후손이 될
수 없다고 하셨다. 그리고 이스마엘은 다른 민족의 족장이 될 것이라고
말씀하셨다. 성경에 보며는 하갈과 이스마엘은 아브람에게로 부터 떠나 사막에
거하는 가운데 하나님의 천사를 통해 보호를 받으며 자라 나중에
아랍(Arab)민족의 조상이 되었다.32

하나님께서 아브람에게 말씀하시되 단지 사래의 탯줄에서 낳을 자식이
그의 언약을 이어받을 자라고 말씀하셨다. 그리고 아브람의 이름을
아브라함(Abraham) 이라고 바꾸어 주셨다. 아브라함의 의미는 ` 만국의
아버지(Fathe r of many)’ 라는 뜻이다. 그리고 사래의 이름도 사라(Sarah)로
바꾸어주셨다.33 사라의 의미는 ` 공주’라는 뜻이다. 그리고 언약의 표징으로
할례를 하도록 명하셨다. 이스라엘의 사내로 태어난 아이들이 태어난지 제
팔일에 할례를 받아 하나님과 아브람함과 이스라엘 백성의 언약을 영원히
지키도록 명하셨다. 그리고 아브라함이 할례를 받은 나이는 구십 구세였다.
이삭(Is aac)은 아브람이 사래에게서 백세때 낳은 아들이었다. 이삭이라는
이름의 의미는 ` 웃음(laughte r)’ 이다.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백세에 아들을
낳을것이라는 것을 텐트밖에서 엿들었을때 웃었기 때문과 노후에 아브라함이
기쁨과 웃음이 있겠다는 의미로 이름을 이삭이라고 지었다.34 아브라함은 향년
백칠십오세에 숨을 거두었다.35 그리고 그의 아내옆인 지금의
헤브론(Hebron)땅에 묻혔다.36

이삭은 태어날 때부터 매우 수수께끼 같은 자였다. 그는 연약해 보였고
온순한 사람으로 나타나있다. 성경에 보면 그의 온순하고 연약한 모습이 그의
번제(Sacrifice )로 묶일때 나타났다.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의 믿음을
시험하실때에 이삭을 번제로 바칠것을 요구하셨다. 아브라함은 하나님의 명령에
즉각 순종하였고 이삭도 역시 아버지를 따라서 모리아산(Mount Moriah) 꼭대기
까지 따라 갔다. 그리고 거기서 아브라함은 이삭을 묶고 번제단에 놓은 다음에
칼로 그를 찌르려 했을때 하나님이 나타나사 이삭을 살리시고 대신에 양을
번제로 받으셨다. 이삭은 순종과 온순한 사람으로써 이스라엘의 족장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37

이삭은 그가 사십세가 되었을때 장가를 들었다. 그의 아내는 리브가
(Rebekah)였으며 그녀는 아브라함의 조상의 고향인 하란(Haran)땅에서
데려왔다.38 아브라함은 그가 살고 있었던 땅의 여인들을 택하지 않았으며 오직
신앙의 유산을 위해서 그의 고향땅에서 아들의 아내를 택한것이다.
잉태를 한 리브가의 태에는 쌍둥이가 들어있었다. 이 쌍둥이들의 과격한
성격과 열심은 리브가의 뱃속에서 부터 투쟁이 시작되었다39 . 어머니는
이들때문에 해산의 고통이 매우 심했으며 또한 쌍둥이가 태어날 때부터 다투면서
나왔다. 태어난 쌍둥이의 이름은 에서(Es au)와 야곱(Jacob)이었다. 이들의
이야기는 이스라엘 족장역사중에서도 매우 독특하며 유명하다. 

우선 이 두 형제의 태어남은 몇분차이였다. 이 말은 에서가 야곱보다 몇분 먼저 태어났으며
에서는 매우 털이 많은 자였으며 이와 반대로 야곱은 털이 없는 매끈한 피부를
가진 남자로 태어났다. 이들의 성격으로 말하자면 에서는 행동의 사람으로서
사냥을 좋아했으며 활쏘기를 즐기는 자였고 야곱은 그와 반대로 어머님을 도와
천막에서 조용히 지내는 사람이었다40 . 그리고 야곱은 영적인 사람으로
묵상하기를 즐겼고 무슨 일을 하기전에 먼저 생각을 하고 일을 하였다.
에서와 야곱이야기는 계속 된다. 에서와 야곱은 매우 경쟁심이 강했다. 이
경쟁심은 부모의 편견에 의해 더욱 강도가 심해졌다. 이삭은 에서를 더

사랑했으며 리브가는 야곱을 더 사랑함으로 이삭의 가정에는 사랑에 대한 편애가
심했다.
장자의 축복권은 매우 중요한 일이었다. 그리고 장자의 모든 축복권이
원래 에서에게로 돌아 가도록 되어있었다. 장자의 축복권은 물질의 축복, 권위
그리고 명예등등으로 매우 귀중한 것이었다. 그러나 장자의 축복권에 따르는
책임이 있었다. 이것은 조상에 대한 예의 그리고 아버지와 가족에 대한 명예
유지 및 책임을 지는 것이었다. 그러나 에서는 이러한 책임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었다. 그리고 그러한 장자권의 책임을 원치 않았던 것이다. 이러한 것은 그에게
대해 치명적인 실수를 가져다 주었다.
하루는 에서가 사냥을 하고 나서 매우 지치고 배가 매우 고팠다. 그때에
팥죽을 끓이고 있었던 야곱은 그의 형 에서에게서 팥죽 한 그릇으로 장자권을
사버렸다. 에서는 장자권과 축복을 팥죽 한 그릇에 팔아 버리고 만 것이다.41
이유는 그가 배가 고팠고 또한 장자권을 매우 중요시 여기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에서의 생각에는 배가 고파서 죽는 자에게 장자권이 무엇이 유익하겠냐고
생각했다. 결과적으로 그는 그의 동생에게 장자권을 빼앗긴 셈이 되고말았다.
이삭이 나이가 많이 들어서 죽게 되었을때에 그의 장자 에서를 불러
그에게 별미를 만들어 오라고 청했다.42 이말을 듣고 에서는 사냥을 하기 위해서
나갔으며 이말을 들은 리브가는 야곱에게 형의 옷과 짐승의 털을 그의 몸에
붙이고 이삭의 입에 맞는 음식을 만들어 가져 가게 하였다.43
나이로 인해 눈이 안보이는 이삭은 야곱을 에서로 착각하고 음식을 먹고
축복을 하려고 했다. 이삭은 다시한번 야곱에게 그의 장자 에서냐고 질문을
하였다. 그리고 야곱은 에서라고 거짓말을 하였다. 음성으로는 야곱이라고
생각하던 이삭은 그냥 장자의 축복을 야곱에게 해주고 말았다.44 장자의 축복,
에서가 받아야 할 축복을 야곱이 다 받아 버리고 만것이다.
사냥을 마치고 온 에서는 부지런히 아버지가 원하는 맛을 내면서 별미를
준비했다. 그리고 아버지에게 나타 났을 때에는 이미 다 늦은 상태였다. 이삭은
놀란 상태에서 할 말을 잃었다. 에서는 계속해서 다른 축복을 빌었지만 이삭은
에서에게 해줄 축복이 없었던 것이다.45 에서는 칼을 잡는 자로서 영적인 일과
조상의 전통을 무시한 자였으며, 야곱은 그와 반대로 영적인 일과 가족의 책임을
신중하게 생각한 이스라엘의 조상이었다.46

화가 난 에서는 이삭이 죽을 날이 얼마 남지 않음을 알고 그 날만 기다렸다.
그러나 동생을 죽이려는 에서의 마음을 안 리브가는 그의 아들 야곱을 오라비
집으로 보내기로 결심하였다. 그리고 이 길만이 그가 사랑하는 아들을 살리는
길이기도 했다. 리브가는 야곱의 아내를 그의 오라비가 사는 하란땅에서 얻기를
간청하면서 야곱을 하란으로 보냈다.47
아무것도 없이 고향을 떠난 야곱은 이제 쫓기는 신세로써 방랑자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48 그의 목적지는 어머니의 오라비가 사는 하란땅, 그리고
아무도 의지할 수 없는 상태였다. 야곱이 리브가의 오라비인 라반(Laban)의 집에
도착했을 때에는 이미 하나님께서 그의 길을 예비하시고 계셨다.
라반의 집에 도착한 야곱은 그의 사촌들을 만나게 되었다. 라헬(Rache l),
레아(Le ah)그리고 그들의 여종들인 실바(Zilbah)와 빌하(Bilhah)들이 기다리고
있었다.

야곱이 라반의 딸들을 좋아 하는것을 눈치 챈 라반은 야곱에게 딸을 주는
대신에 칠년을 일하기를 원했다. 그래서 야곱은 라반 밑에서 칠년을 일을 한 후에
결혼을 했으나 라반은 야곱을 속였다. 야곱이 원하던 아내는 라반의 차녀인
라헬이었으나 그의 형인 레아를 주었던 것이다. 라반은 야곱에게 칠년을 더
봉사하면 그가 사랑하는 라헬을 주겠다고 약속했다. 할 수없이 야곱은 다른
칠년을 봉사하게 되었고 모두해서 라반 밑에서 십사년을 수고했다. 라반은
레아와 라헬 및 그들의 종이었던 실바와 빌하도 야곱의 아내로 주었다.49
이제 많은 재산과 자녀들을 얻은 야곱은 아내들을 데리고 고향으로
가기로 결심했다. 그러나 결심가운데 야곱은 아직도 마음속에 걸리는 일이 하나
있었다. 이것은 그의 형과의 관계였다. 아직도 형은 나에게 화를 품고있는 것이
아닌가? 아니면 다 잊어버린 상태인가? 고향으로 가는 야곱은 드디어 형 에서가
사백명의 무리를 이끌고 자기 곁으로 온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의 심장은
가라앉았다.

야곱은 먼저 에서에게 선물을 보냈고 그리고 나서 그의 가족을 나누어 미리 앞서
보내고 나서 그는 홀로 밤을 보냈다.50
한밤중에 어떤이가 나타나서 야곱과 씨름을 하였다. 야곱은 밤새 껏
씨름하면서 나그네를 이겼다. 그리고 나서 나그네에게 축복을 요구했다.
나그네는 하나님의 천사였고 그는 야곱을 축복했다. 그리고 그에게 새 이름을
주었다. 새 이름은 ` 이스라엘 (Is rae l)’ 이었다. 이름의 의미는 “하나님과
씨름하다 (the one who wre s tled with God.)” 였다.

아침이 된 후 야곱은 다리를 절면서51 형 에서를 만났다. 형은 야곱을
껴안으면서 서로의 화해와 선물의 고마움을 표시하면서 야곱을 그들의 여행길에
인도자로 간청했지만 야곱은 선대에 감사하며 거절하였다.52
야곱은 가나안땅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지는 않았다. 다만 베냐민이 이곳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자식들이 태어난 곳은 메소포타미아와
시리아(Syria)지방이었다.

야곱은 그의 마지막 향년때에 그의 할아버지의 묘지가 있는 헤브론에 가있었다.
그리고 이삭역시 향년 백팔십년을 살고 나서 헤브론에53 묻혔다. 야곱이 나중에
애굽에 내려가서 살때에도 많은 히브리인들이 헤브론54에 거주하면서
살고있었다.
야곱의 열두 아들의 이름들은 다음과 같다. 르우벤(Reuben),
시므온(Simeon), 레위(Levi), 유다(Judah), 잇사갈(Is s achar), 스불론(Zebulun),
요셉(Jos eph), 베냐민(Benjamin), 단(Dan), 납달리(Naphtali), 갓(Gad),
아셀(Ashe r). 레아의 아들로는 르으벤 시므온 레위 유다 가 있으며 라헬의
아들들로서는 요셉과 베냐민이있다. 빌하에게서 단과 납달리를 낳았으며, 실바는
갓과 아셀을 낳았다.55

유대인들의 신앙의 특징은 유일신을 믿는 일이다.56 그들이 다른 민족과
다른 점 중에 하나는 이들에게서는 다원신의 숭배를 찾아 볼 수 없는 것이다.
아직 까지도 유일신의 개념이 오늘 날 같이 뚜렷하지는 않지만 성경에서 말하는
유일신, 여호와 하나님을 숭배하고 있었던것 만은 사실이다. 유일신의 사상은
유대인들로 하여금 특별한 민족임을 보여주고있으며, 민족의 단합면에 있어서도
효력을 발하고 있다. 그리고 아브람을 이들의 조상으로 보면서 이들의 세상을
창조하신 유일신에대한 신앙과 역사는 더욱더 두드러진다. 57



각주
Endnote s

Chapte r 1
이야기의 시작
In the Be ginning
1 유대인들이란 의미는 여러가지로 구분될 수 있음. 종교적 또는 문화적으로
유대교를 받아드리는 자를 말하며, 인종적으로는 부모가 유대인일때 유대인으로
부르기도 함. Rabbi Morris N. Kertzer (Rev. by Rabbi Lawrence A. Hoffman), What is
Jew? (New York: A Touchstone Book, 1993), pp. 7-8.
2 1948 년 5 월 14 일에 이스라엘이 영국의 지배로 부터 독립이 선언되면서 국가로
형성되었음. "Israel", Encyclopaedia Judaica, IX, (New York: McMillan, 1971), p. 363.
3 많은 학자들은 이스라엘의 조상을 아브라함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그의 시대를
주전 (B.C.) 2000 년으로 보고있음. Rabbi Morris N. Kertzer (Rev. by Rabbi Lawrence
A. Hoffman),p. xxiv. 일반학문계에서는 그리스도 기원전 (주후)(B.C. Before Christ)
대신에 Before the Common Era, B.C.E.를 사용하며, 그리고 그리스도 기원(서기)
(A.D. Anno Domini) 대신에 Common Era, C.E.를 사용하기도 한다.
4 표면적으로 보면 성경은 한 권의 책같이 보이나 사실은 여러 종류의 글들과
책으로 구성되어있다. 성서의 영어 표기인 ‘The Bible’은 ‘books’ 라는 뜻의 헬라어
‘ biblia'에서 유래한것이다. 한마디로 성서는 유대교와 기독교 공동체들에 의해
“거룩한 글들로 고백된, 여러 종류의 문학들이 집합된 도서관이기도 하다. 이원우,
성서: 거룩한 글들의 도서관 (서울: 살림, 2005). P. 25.
5 부록에 구약 성경전체에 대한 개요 및 간단한 설명이 되어있음.
6 4000 년전에 반원형지역으로 알려진 아라비아 사막을 “비옥한 초생달
지역”이라고 부름. Keller Werner. Trans. B. H. Rasmussen, The Bible as History 2nd. Ed.
(New York: William Morrow and Company, 1981), p. 27.
7 그러나 비옥한 땅 때문에 침략도 항상 많았음. Lawrence Boadt, Reading the Old
Testament: An Introduction (New York: Paulist Press, 1984). P. 33
8 바벨론인과 앗수르인을 포괄적으로 아카드(Akkadian)인이라고 부름. William S.
Lasor, Daivid Allan Hubbaard, Fredrick WM. Bush, Old Testament Survey: The Message,
Form, and Background of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2), p. 27.
9 ‘우루’지역이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으나 ‘갈대아’는 메소포타미아 지대에
있었음은 확실함.Keller, Werner. Trans. B. H. Rasmussen, p. 31.
10 사도행전 7 장
11 Amorites was a Semetic language, closely affiliated to the western Semetic group to
which later Hebrew belongs. Amérlie Kuhrt, The Ancient Newar East c. 3000- 330 B.C.
Vol. I.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1995), p. 75.
12 아모리인들이 메소포타미아지역에서 서쪽으로 이주했기 때뭉에
서방인이라고도 함.Boadt. p.
13 수메르인들은 메소포타미아 남부지역에서 주거하고 있었으며 이미 주전 (B.C.)
3000 년 전에 문명을 소유하고 있었음. Crane Brinton, John B. Christopher, Robert Lee
Wolfe and Robin, W. Winks, A History of Civilization: Volume I: Prehistory to 1715 6th
Ed. (New Jersey: Prentice-Hall, 1984), p. 11.
14 LaSor, p. 91.
15 아브라함의 부친 데라는 메소포타미아의 고대 도시 우르 출신이었으며
아브라함의 일족은 ‘아모리족’이라고 알려져있음. 강석호, 평신도가 이해한 성서:
구약, (은혜기획: 1998), p. 30.
16 . P. 160.
17 ‘히브리’인이란 단어는 아브라함이 사용하였으며 또한 이방나라사람들이
이스라엘 후손들을 부를때 도 사용되었음. 블레셋전쟁후 이 단어는 사라진다.
LaSor, 94.
18 창세기 11: 14-17
19 창세기 12 장
20 창세기 17: 5
21 이스라엘의 입법부 행정집권기관임. 예루살렘 기밧 람(Givat Ram)에 위치함.
22 창세기 12- 13 장
23 창세기 14: 1-16. 아브람이 그의 조카 롯(Lot)을 소돔과 고모라의 두성읍의
사람들로 부터 구출해냄. 그 당시 소돔과 고모라왕들과 아드마, 스보임, 소알의
왕들은 (5 왕) 북방의 4 왕들(시날, 엘라살, 엘람, 고임)과 전쟁을 벌였다. 그 결과 4
왕이 승리하여 소돔과 고모라의 재물을 빼앗았으며 롯까지 사로 잡았다. 이
소식을 들은 아브람은 그의 용사 318 명을 거느리고 단(Dan)과 다메섹의 좌편
호바(Hobah)까지 추적해 롯과 부녀와 백성을 구출해냈음.
24 창세기 18 장
25 창세기 18: 16-33
26 창세기 19: 26.
27 창세기 19:17
28 소돔은 아브라함의 조카 롯이 살던 곳이며, 죄의 도시로 유황불의 심판을 받아
멸망한 곳이다. 이 때의 유황불에 의해 사해가 유황분이 함유되었다고 하는 자도
있음. Kang Soo Ja, The Promised Land of Israel (Seoul, Yang Suh Publishing Co., 1986),
p. 260.
29 아브람은 나이 95 세, 사래는 85 세로 단산기에 접어들었음. 그러나 아직도
이들에게는 후손이 없었음.
30 창세기 16 장
31 이스마엘의 이름의 의미는 ‘하나님이 들으셨다” (God hears.)
32그는 아브라함의 장자이며, 아라비아 12 왕 조상이 되며 사람 중에서 길 들이기
어려운 야성에 찬들나귀같이도리라는 예언을 받기도 하였음. 아라비아 민족에게서
마호멧이 나왔다. 그들은 오늘날 까지도 자기들이 하갈의 자손이라 믿고 있다.
강석호, p. 34.
33 창세기 17: 15
34 이삭은 아브라함과 사라사이에 태어난 아들임. 하나님의 천사의 말에 웃은
아브라함과 사라에게 아들의 이름을 ‘이삭’이라고 부르라고 명함.(창 17:17-19)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후 25 년 만에 얻게된 아들임. 노년에 얻게된 아들은 낳은
기쁨은 형용하기가 어려웠을 것임.
35 창세기 25: 7-10
36 “마므레 앞 헷 족속 소할의 아들 에브론의 밭에 있는 막벨라 굴에 장사하였으니
이것은 아브라함이 헷 족속에게서 산 밭이라” (창세기 25: 9-10)
37 이삭의 긍극적인 시험은 그의 순종과 희생정신이었음. 영어로 ‘aquedah 로
불리움.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서 자신을 희생하는 정신임. “Isaac,”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Jewish Religion. Ed. R. J. Zwi Werblowsky and Geoffrey Wigoder
(New York & Oxford: OUP, 1997), p. 356.
38 창세기 24 장
39 아브라함의 아들 이삭은 40 세의 밧단 아람 족속 중의 브두엘의 딸을 아내로
삼았으나 20 년이 지나도록 잉태하지 못했음. 하나님께 간구함으로 쌍둥이를
잉태하게 되었음. 태중의 두 아들을 통해 두 국가와 민족이 나누어 질 것이며 큰
자는 어린자를 섬길것을 예언 받음. 강석호, p. 41.
40 창세기 27 장
41 창세기 25:34
42 창세기 27:1-4
43 창세기 27: 9-10
44 창세기 27: 27-29
45 창세기 27:37-40
46 하나님께서 야곱에게 특별한 보호와 땅을 정복 할 것을 약속하심.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Jewish Religion, p. 364.
47 창세기 27: 41-45
48 창세기 28: 10
49 야곱의 타향살이 는 20 년으로 본다. 야곱이 라반에게 14 년을 봉사하고 아내들을
얻었음. 그리고 6 년을 더 섬김. (창세기 29, 30 장)
50야곱과 라반의 투쟁은 두 교묘한 자들의씨름이었음. 그런 야곱이 얍복강에서
어떤 사람과 씨름을 하게 됨, 야곱은 이 만남을 하나님의 만남으로 고백함. LaSor, p.
115.
51 야곱이 어떤 사람과 씨름하다가 야곱의 힘이 몹시 강하여 그 사람이 자기가
야곱을 이기지 못함을 알고 (야곱이 회개하지 않고있음을 뜻함) 야곱을 철저하게
응징하기 위하여 야곱의 환도뼈를 치매 환도뼈가 위골되었다. 외골되었을 때에
야곱이 비로소 자기를 부정하고 진심으로 회개하기 시작했다. 환도뼈를 친 것은
하나님꼐서 나타나 행하신 징계였다. 이로 인하여 야곱은 상대방이 보통사람이
아닌 천사인 줄 알았다. 그 사람이 말하기를 “날이 새려 하니 나로 가게 하라” 고
할 때 야곱이 열심으로 그를 만류했다. “당신이 내게 축복하지 아니하면 가게 하지
아니하겠나이다.” 야곱은 환도뼈가 부러져 힘을 읽흔 결과로 그 사람의 축복을
받지 않고서는 안 되곘다는 것을 느꼈다. 강석호, p. 50-51.
52 창세기 33: 1-17
53 창세기 35: 29
54 헤브론은 예루살렘에서 남쪽으로 약 35km 지점에 있는 해발 927 m의 유대
지방이며 원래의 이름은 “기럇 아르바”라고 부름. 그 뜻은 아낙 사람 아르바의
동네라는 뜻이다. 기럇 아르바란 이름의 전설로는 막벨라 굴에 묻혀진 네 쌍의 무덤
(아브라함, 이삭, 야곱과 아담의 무덤)으로 부터 유래되어 “넷”이란 “아르바”와
“동네”라는 “가럇”이 합해서 되었다고 한기도 한다. Kang, Soo Ja, p. 213-214.
55 창세기 29: 15-30: 24. 베냐민만이 가나안 땅에서 태어났음. 창세기 35: 16-18.
라헬이 난 아들들은 요셉과 베냐민 뿐임.
56 유대교에 있어서 이들은 유일신을 믿는 신앙이 매우 투철하다. 이들은 하루에
두번은 적어도 “쉐마”(Shema: Hear)를 암송하거나 낭독한다. 신명기 6 장 4 절,
“이스라엘아 들으라 우리 하나님 여호와는 오직 하나인 여호와시니”은 유대교에
있어서 유일신을 내포해주고 있다. 이 뜻은 또한 세상에 다신교에 대한 거부를 말해
주기고 한다. The Shema is in Jewish thought the supreme affirmation of the unity of
God and is frequently called ‘the acceptance of the yoke of the Kingdom of Heaven’. The
original meaning of the first verse may have been that, unlike the pagain gods who have
different guises and localities, God is one. At first the main emphasis in the Shema was
seen to be in opposition to polytheism; there is only one God, not many gods. “Shema”,
Encyclopaedia Judaica, XIV (New York: McMillan, 1971), p. 1373-4.
57 유대교가 인류에게 준 영향은 종교적임. “Judaism”, Encyclopaedia Judaica, X
(New York: McMillan, 1971), p. 396.

참고문헌 Bibliography
Brinto, Crane, John B. Christopher, Robert Lee Wolfe and Robin, W. Winks, A History
of Civilization: Volume I: Prehistory to 1715 6th Ed. New Jersey: Prentice-Hall, 1984.
Encyclopaedia Judaica. New York: McMillan, 1971.
Kang Soo Ja, The Promised Land of Israel. Seoul, Yang Suh Publishing Co., 1986.
Kertzer, Morris N. (Rev. by Rabbi Lawrence A. Hoffman), What is Jew? New York: A
Touchstone Book, 1993.
Kurt, Amérlie. The Ancient Newar East c. 3000- 330 B.C. Vol. I.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1995.
LaSor, William S., Daivid Allan Hubbaard, Fredrick WM. Bush, Old Testament Survey:
The Message, Form, and Background of the Old Testament . Grand Rapids: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2.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Jewish Religion. Ed. R. J. Zwi Werblowsky and Geoffrey
Wigoder (New York & Oxford: OUP, 1997.
Werner, Keller. Trans. B. H. Rasmussen, The Bible as History 2nd. Ed. New York:
William Morrow and Company, 1981.


Site Map
MSBNM-EWBI is a community of witnessing, sharing, and dialoguing on Christianity,
spirituality, and theology, and mission. 
Biblical Monastic Spirituality
​Welcome to Syrian Christianity Seminar
Online Class Catalog 
Purposes​
History
Photo Gallery
Martyr Sukbaknam
EWBI
HermitageHome
​Timeline of the Western Church 1st-10th century
​Christianity in Asia
​Syrian Connections​
About
​Books
​Media
Partners

​Western Treasures

Contact 
Privacy Policy
Terms of Service
                                                                                                            copyright@2022 Martyr Sukbaknam Monastery-EastWest Bible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 Home
    • Prayer Topics
  • Explore
    • About
    • Bak Nam Suk
    • EWBI >
      • Timeline of Christian Branches
      • Timeline of the Western Church 1st-10th century
      • Christianity in Asia >
        • Introduction
        • China Timeline History
        • Korea Timeline History
        • Syrian Connections
      • Online Classes
      • Recent Course Materials >
        • Christian Spirituality >
          • Guide to Christian Spirituality: Living in the Spirit
        • Song of Songs Survey >
          • Song of Songs: Love is Strong as Death
        • Syrian Christianity >
          • Registration Form
          • Survey Syrian Spirituality
          • SCS Note
          • SCS Outline
        • The Book of John 요한 복음 연구 >
          • 요한복음연구
      • Western Treasures >
        • Greek Manuscripts
    • Gospel
    • Lord's Prayer
    • Partners >
      • Missionaries
      • Friends
    • Purpose & History >
      • Affiliations
      • Ministries
      • Photo Gallery
    • Sainthood
    • Schedules
    • Alexander Pak >
      • Earlier years of Bro Alex's photos
      • CV
      • Papers and Writings from Prison
      • Written Works List
    • Terms of Service >
      • Contact
      • Privacy Policy
  • Resources
    • Articles and Writings >
      • On Passover in Jerusalem
      • In the Air
      • American Missionary John Livingstone Nevius (1829-1893)
      • Book Review: Reformation Sketches: Insights into Luther, Calvin, and the Confessions.
      • A Short History of Early Korean-American Churches in America (in Korean)
      • A Brief Introduction To A Secret of Survival of Jews: New Covenant People >
        • Book I Secret of Survival of Jews: New Covenant People >
          • I Chapter 1: In the Beginning
          • I Chapter 2: From Slavery to Freedom
          • I Chapter 3: Mt. Sinai
          • I Chapter 4: Keeping the Sabbath
          • I Chapter 5: Into the Promised Land
          • I Chapter 6: Kings in the Biblical Periods
          • I Chapter 7: The First Temple Period
          • I Chapter 8: The Fall of Kingdom of Judah and the Babylonian Captivity
          • I Chapter 9: Esther and Purim: Triumph of the Weak
          • I Chapter 10: Prescribed Feasts
          • I Chapter 11: Return to Zion and Alexander the Great
        • Book II: Victory Of Faith: Growth of Judaism >
          • II Chapter 1: Rebellion for the Religious Freedom
          • II Chapter 2: Patriarchal Rule
          • II Chapter 3: The Oral Tradition
          • II Chapter 4: The Talmud
          • II Chapter 5: Medieval Western Europe
          • II Chapter 6: Life of Jews among the Islam Setting
          • Affiliation2
          • II Chapter 7: Life of Jews in Eastern Europe
          • II Chapter 8: The Enlightenment and Freedom
        • Book III Victory of Faith: Inheriting the Land >
          • III Chapter 1: Jews in America
          • III Chapter 2: The Holocaust
          • III Chapter 3: Establishment Of Modern Israel
        • Timeline
        • Brief Outline of the Old Testament
        • Glossary
      • Introduction To Apologetics
      • The Existence of God: Revelations Introduced
      • On Humanity: Where Do We Come From?
      • The Person of Jesus: God’s Most Precious Gift
      • The Deity of the Holy Spirit
      • Christian Reformed Church Mission to China
      • A Brief Introduction To God’s Three-In- Oneness: The Trinity And The Council Of Nicaea, 325
      • Commentary on the Book of Revelation by Dr. Eun Kyu Park
      • Comparative Religious Study: Looking at Greek Orthodox Christianity and Understanding of Luther and Calvin On Scripture, Christology, the Holy Spirit and Church
      • Church Fathers
      • A Brief Intro. to Greek Orthodox Church
      • Brief Life's Sketches of the Church Fathers
      • The Council of Nicaea I, 325
      • Outline of the Council of Ephesus (A.D. 431)
      • Origen of Alexandria (185-c. 254)
      • Toward The Council Of Chalcedon, 451
      • The Development Of Episcopal Ministry For The Purpose Of Canon And Creed
      • Meaning of History
      • The Question of Authorities in Forming Christian Doctrine
      • Reflection on Theological Education (In Korean)
      • New Age and Its Impact on Churches and Society (in Korean)
      • Next-Generation Pastor’s Spirituality and Korean Church’s Well Being
      • Meditate on the Lord's Prayer
      • Councils of Nicaea, Ephesus and Chalcedon: Development of Episcopal Ministry
      • With Jesus in a Monastery
      • Antiochean Christology
    • Biblical Monastic Spirituality
    • BiblicalTraining Classes for Everyone
    • Books
    • Featured Book: Secret of  Survival of Jews—Triumph of the Weak
    • LEARNING BIBLICAL GREEK: DR BILL MOUNCE
    • 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