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풀이
Glossary
A
아리야(Aliyah): 아리야는 히브리어로 “올라간다”는 뜻이다. 유대교 예배 때에
토라를 읽을때 축복을 하는 것을 말함. 또 다른의미로느 아리야는 또 이스라엘로
이주하는것을 말함.
반유대주의 (Anti-Semitism): 셈족을 증오하는 말이며 구체적으로는 유대인들을
배척한다는 뜻이다.
법궤(Art of the Covenant): 십계명을 새긴 두 장의 돌판이 넣어져 있던 궤이다. 조각
목제로 만들어 지고 전면 금으로 씌어졌다. 그 위에는 순금의 덮개가 놓여지고,
속죄소로 불리었다. 법궤는 하나님의 영이 임재하심을 상징했다. 처음 히브리
제사장이 메고 백성과 함께 이동하기도 하였다.
아슈케나지 유대인(Ashkenazic Jews, Ashkenazim): 프랑스, 독일과 동유럽에
살았던 유대인들이다. 그리고 이들의 후손을 말한다.
아우슈비츠-빌케나우 강제수용소(Auschwitz-Birkenau): 폴란드 남서부의 도시에
위치한 (크라카우 근처)악명높은 나찌의 강제수용소였다. 이곳에서 백만명의
유대인들이 목숨을 잃었다. 처음에는 노동수용소로 알려졌으나 1942 년부터는
죽음의수용소로 사용되었다.
B
바벨로니안 탈무드(Babylonian Talmud): 6 세기에 유대인의 학자들이 편찬한 해석
율법및 전설집이다. 가장 권위있고 정통적인 탈무드이다.
바 미츠바(Bar Mitzvah): 16 살된 유대인 소년의 성인식이다. 단어의 뜻은 “언약의
아들”이라는 것이다. 종교적인 의식을 가지고 있다.
바트 미츠바(Bat Mitzvah): 12 살된 유대인 소녀의 성인식이다. 단어의 의미는
“언약의 딸”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13 살이 되며는 의식을 행한다.
피의책임(Blood Libel) 12 세기때에 유대인들이 그리스도교인들의 자녀들을 죽인후
피를 안식일 식사때 사용했다는 주장이었다.
브릿 밀라(Brit Milah): 할례의 언약의 뜻.
C.
찰라(Challah): 안식일 때 사용하는 달콤한 빵이며 여러가지 모양을 띄고 있다.
그리고 찰라는 유대인의 신년제 때(Rosh Hashanah) 사용되기도 한다.
차멧트(Chametz): 누룩이 섞인 곡식 음식들이다. 유월절때는 유대인가정에서
먹지않는 음식들이며 또한 집에 이러한 음식들을 두지도 않는다.
카누카(Chanukah): 8 일동안 지키는 유대인 절기이다. 이날은 성전 재헌당을
기념하는 날이다. 유대인들이 기원전 165 년에 시리아와 반란을 통해 성전을
재헌당식하는 날이다.
차잔(Chazzan) 회당에서 음악과 기도를인도하는자를 말함.
보수파유대교(Conservative Judaism): 유대의 율법을 받아들이면서 또한 재해석과
변화를 인정하는 유대교파임. 또한 이들은 율법은 하나님께로 부터 온 것을
인정하나 계명은 아니라고 주장함.
D
에베의 날(Days of Awe): 로쉬 하냐나에서 욤키퍼까지의 열흘날.
디아스포라(Diaspora): 이스라엘이 아닌 다른나라에서 거처하는 유대인들을 말함.
시대로 이야기 할때는 두번째 성전 파괴부터 1948 년 이스라엘의 국가 설립때
까지일컬음.
E
에렛츠 이스라엘(Eretz Yisrael): 이스라엘의 땅. 언약의 땅.
에세네파(Essence): 에세네파의 신도들. 유대교의 신비주의자들과 운둔자들의
운동임. 기원전 200 년에 나타났으며 두번째 성전 파괴때 사라짐.
G
갈룻(Galut): 타향살이. 유대인들의 방랑 생활을 나타내는 말.
게마라(Gemara): 미슈나를 해석한 주석들. 5 세기 율법학자들이 편찬한 책.
게마라와 미슈나를 합해서 탈무드라고 말함.
겟토(Ghetto): 유대인들의 제한된 곳에서 살았던곳. 해자와 둘레근처에서 제한 된
지역에서 산 곳.
대의회, 이스라엘 국회 (The Great Assembly, Knesset Ha-Gadol): 약 5 세기때
에스라가 설립한 공회이다. 이 의회의 200 명 멤버가 유대교와 유대인들의 삶을
다스렸음.
H
하가나(Hagana): 유대인들의 국방군대. 영국위탁통치정부 때 이스라엘땅을 방어한
군대. 나중에는 IDF (Israel Defense Forces)로 이름을 바꾸었음.
하가다(Haggadah): 유월절 식사 때 읽는 성서. 하가다 내용에는 출애굽의 이야기가
나오며 각종 기도와 축도가 담겨져있다.
할라카(Halakkah): 유대인들이 준수해야하는 유대인의 종교법.
하시딤(Hasidism, or Chasidism): 유대교의 한 파임. 하시딤은 정통유대교인들임.
18 세기에 동유럽의 바알 셈 토브가 설립한 유대교임. 벳트(Besht)라고도 함.
하스칼라(Haskalah): 유대인들의 18 세기의 계몽운동. 추종자들을
마스킬림(maskilim)이라고 부름.
하 틱크바(Ha-Tikvah): 시온주의 애국가.
히브리어(Hebrew): 토라의 언어. 기도때 사용하는 언어. 근대 이스라엘의 국어.
중요한 절기들(High Holidays, High Holy Days): 로쉬 하샤나, 아베의 날, 욤 키퍼.
홀로커스트(Holocaust): 나찌정권때 합작나라와 함께 조직적으로 유대인들을
대량학살 사건
J
예루살렘 탈무드(Jerusalem Talmud): 5 세기에 랍비들과 율법학자들이 편찬한
율법해석책. 바벨로니안 탈무드 보다는 짧고 또한 더 복잡함.
K
카발라(Kabbalah): 유대교의 신비주의.
카라이즘(Karaism): 유대교의 한 파. 구두로 내려오는 전통을 인정치 않음. 그리고
토라는 문자대로 준수하는 것을 가르침. 오늘날 카라트파는 이스라엘, 크림, 미국과
유럽에 있다.
카슈릇(kashrut):유대인들의 율법에 따른 음식법.
케힐롯(Khillot): 유대인의 공회. 특히 유럽에 사는 유대인들을 지도한 공동체.
키브츠(Kibbutz): 이스라엘의 공동체. 이 공동체는 농업에 많이 종사함.
키디쉬(Kiddush): 안식일 그리고 절기때 잔을 대할때 축복하는 문.
클리즈머(Klezmer): 이디시인의 음악가들의 비 공식적모임.
코하님(Kohanim): 아론계에서 내려온 제사장들.
콜 니드레(Kol Nidre): 욤 키퍼(속죄의 날) 저녁에 드리는 기도.
L
라디노(Ladino): 쉐파딕 유대인들의 방언. 이 언어는 스페인인어와 히브리어의
복합된 방언임.
랜드스람(Landsman): 이디시어로 “고향에서 온 자들”이라는 뜻. `같은 동지’라는
뜻도 됨.
레위(Levites): 레위의 후손들. 야곱의 아들중에 한 명임. 레위는 성전에서 봉사를
맡는 자였음.
M
마겐 다윗(Magen David, Star of David): 다윗의 별. 6 각형으로 생긴 별.
마메 로센(Mame loshen): 모국어라는 의미. 이디시어를 묘사함.
마라노스(Marranos): 그리스도교도 개종한 스페니쉬계와 폴르투갈계 유대인.
이들은 비밀히 유대교도 준수했음.
마사다(Masada):유대땅에 있는 요지. 2 세기때 유대교의 열정파들이 로마군인들과
대항할때 마지막까지 버틴곳임. 로마군인에게 항복하지않고 이곳에서 자살을했음.
마시길(Maskil): 하스칼라멤머.
마츠바(Matzah): 유월절식사때 사용하는 누룩을 넎지 않은 마른빵.
메노라(Merona): 유대교의 제식때 사용하는 촛불. 일곱가지의 촛대.
메시야(Messiah): 히브리어의 “모시야”임. `기름을 부은 자’라는 뜻임.
유대교에서는 이 세상의 악과 선민을 구속하고 세상에 평화와 정의를 가지고 올
왕을 칭함.
메쥬자(Mezuzah): 곽에 넣어논 성구가 적힌 두루마리. 유대인들 집 문또는 방에
붙여놓기도 함.
미드라쉬(Midrash): 율법해석을 모은책. 도덕적인 것에 관해서도 기록되어 있음.
미슈나(Mishna): 기원전 200 년에 랍비 유대 하나시가 편집한 유대법
불성문율집이다.
미트나그딤(Mitnagdim): 하시디파의 유대교를 반대하는 정통유대인.
미츠바(Mitzvah): 613 개의 계명으로 유대인들이 준수해야하는 계명. 또는
유대인들이 지켜야할 책임계명들.
O
구두의 토라(Oral Torah): 2 세기 부터 내려온 유대인의 가르침에 있어서 구두로
전해진 율법의 해석과 전통.
정통파 유대교(Orthodox Judaism): 유대교파 중에서 가장 보수파. 율법은
하나님께로부터 온것이므로 변화가 있을 수 없다고 믿는다. 정통파
유대교내에서도 극정통파(Ultra-Orthodox)와 근대정통파(Modern Orthodox)파가
있다.
P
Pale 정착(Pale Settlement): 러시아 정부에서 러시아 유대인들의 살곳으로
25 구역을 분리해 놓은 지역.
유월절(Passover, Pesach): 이집트에서 탈출했을때를 기념하는 유대교 절기이다. 이
절기는 유대교에서 3 개의 순례절기이다.
부족장(Patriarchs): 아브라함, 이삭, 야곱(이스라엘)
바리세인(Pharisees): 3 세기 유대교의 보수파운동이었다. 바리세인들은 기록된
토라와 구두의 토라는 동등하다고 믿었다. 그리고 이들은 랍비유대교의
선조들이었다.
소수민족학살(Pogrom): 러시아어로 “파괴”라는 뜻이며, 유대인 공동체에게
조직적인 학살사건임.
(The Protocols of the Elders of Zion):
부림절(Purim): 성경에 “에스더”서에서 유대인들은 페르샤에서 구원을 받은 날을
기념하는 절기이다.
R
랍비(Rabbi): 유대교의 율법을 가르치고 해석하는 자이며 또한 민사의 소송도
수습하는 지도자이다. 근래에는 성직자의 직분과도 동일하다.
라비의 유대교(Rabbanical Judaism): 바리새인파에서 내려온 후예 유대교를 일컴음.
S.
사두개(Sadducees): 바리새인파의 반대파. 구두의 토라와 문자적해석을 부인함.
산헤드린(Sanhedrin): 라빈의 시대에 유대교의 가장 높은 회의였다. 유대인들의
종교적인것과 입법에 대해 처리했다.
세더(Seder): 히브리어로 “질서”라는 뜻. 유월절 식사때 지켜야할 관례와 하가나를
읽는 관습이다.
세파르디 유대인(Sephardic Jews): 스페인, 포르투갈, 북아프리카와 중동나라에
정착한 유대인들.
샤브옷(Shavuot): 추수를 기념하는 절기. 또는 시내산에서 토라를 받은 것을
기념하는 절기.
세켈(Shekel): 성경시대에 사용한 유대인의 동전이름. 오늘날에도 이스라엘에서
사용하는 은화의 단위임.
쉐마(Shema): 유대인들의 중요한 신앙고백의 기도.
쇼아(Shoah): 히브리어로 “대이변”이라는 뜻. 홀로코스트를 가르치는 단어.
쇼파(Shofar): 양나팔. 절기를 알릴때 사용한 나팔.
술(Shul): 이디시어로 “회당” 또는 학당이라는 뜻.
슐찬 아룩크(Shulchan Arukh): 16 세기에 기록된 기호로 기록된 유대율법.
심챳 토라(Simchat Torah): 일년에 한 번씩 토라를 읽는 절기. 특히 토라읽기의
끝나는 날과 시작하는 날을 기념하는 절기.
숙카(Sukkah): 성경에 나오는 초막절때 사용하는 초막.
숙코(Sukkot): 성경에 나오는 초막절. 초막절은 유대인들이 이집트에서 나와서
광야에서 40 년동안 지내다가 약속의 땅에 들어가기전에 받은 절기이다. 초막절은
3 개의 순례의 절기중하나다. (나머지 2 개는 유월절과 샤부옷이다.)
회당(Synagogue): 유대교의 예배를 드리는 장소.
T
탈무드(Talmud): 유대인들의 구두의 율법과 해석을 편찬 해 놓은 책. 탈무드는
미슈나와 게마라가 포함되었다.
타낙트(Tanakh): 약성어로써 토라와 선지자들과 문서를 나타낸다.
성전(Temple): 솔로몬과 두번째 성전을 말함. 근래에 와서는 회당을 이야기한다.
티샤 바브(Tisha B’Av):솔로몬성전과 두번째 성전의 파괴에 대한 9 일간 애통 해
하는 절기.
토라(Torah): 모세 오경 또는 히브리 성경의 첫 다섯권의 책들.
이스라엘의 열 두 족장들(Twelve Tribes of Israel): 루우벤, 시므온, 레위, 유다,
잇사갈, 스블론, 요셉, 베냐민, 단, 납달리, 갓, 아셀
차딕(Tzaddik): 유대교에서 의로운자. 또는 하시딤에서 신비주의 자.
서쪽 벽(Western Wall):예루살렘 성전에서 마지막으로 남은 부분. 또는 통곡의
벽으로 알려져있음.
기록된 토라(Written Torah): 구약성경을 말함.
Y
야미카(Yarmuka): 이디시어로 유대인 남자들이 머리에 쓰는 자그마한 모자.
이디시(Yiddish): 아쉬키나지 유대인들의 방언. 독일어와 히브리어의 혼합된 언어.
이슈브(Yishuv): 이스라엘 국가설립 전 팔레스타인에 정착한 유대인 공동체.
욤 하 아츠마웃(Yom Ha-Atzmaut): 이스라엘의 독립일
욤 하 쇼아(Yom Ha-Shoah): 유대인 대량학살기념일
욤 하 지카론(Yom Ha-Zikkaron): 유대인 현충일
욤 키퍼(Yom Kippur): 속죄의 날. 이 절기에는 금식과 기도와 회상을 함.
Z
질랏(Zealots): 유대교의 운동. 기원전 200 년경에 생겨난 극단 유대교파였다.
두번째 성전과 마사다의 정복으로 이 파는 사라졌다.
시온주의(Zionism): 유대인들의 정치적 운동. 특히 이스라엘의 나라를
건립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시작함. 오늘날 이스라엘국가 설립을 가능케하였음.
조하르(The Zohar): 카발라의 문서화된 책.